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표범 bookmark_add Panthera pardus orientalis

식육목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몸길이는 수컷이 140~160cm, 암컷이 120cm쯤으로 대형이다. 몸 색깔은 일반적으로 황색 또는 황적색이다. 몸통과 팔, 다리 그리고 꼬리에 매화 형태의 현저한 반점이 산재한다. 몸은 늘씬하고 강하며 팔, 다리의 길이는 중위이고 귀는 짧고 둥글며 귀 끝에 총모는 없다. 수염은 짧으며 꼬리는 길어서 항상 몸통 길이의 절반을 넘는다. 발톱은 반달 모양으로 생겼고 강하고 날카롭다. 머리는 크고 둥글며 코는 다소 뾰족하며 목은 짧고 눈은 둥글다. 밀림 지대에 주로 산다. 동작이 민첩할 뿐만 아니라 빠른 걸음과 점프로서 더 빠르게 움직인다. 물에 대해 공포감이 있지만 필요한 때에는 넓은 강도 헤엄쳐 건너가므로 호랑이와는 다르다. 노루, 토끼, 멧닭, 꿩, 오소리, 너구리, 들쥐를 잡아먹는다. 과거 전국에서 서식했던 기록은 있으나, 한반도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아프리카,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자바 등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중국,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아프리카,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자바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2]

    국내에는 전국(경기도 광릉,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전남 천태산, 묘향산)에서 서식했던 기록이 있으나,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2]

  • 고산 지대의 산림 속에 살며 해진 뒤나 새벽에 활동한다. 동작이 민첩할 뿐만 아니라 걸음걸이가 빠르다. 점프로 더 빠르게 움직이며 노루나 사슴과 같은 동물을 추적하기에 알맞다. 물에 대해 공포감이 있지만 필요한 때에는 넓은 강도 헤엄쳐 건너간다. 노루, 토끼, 멧닭, 꿩, 오소리, 너구리, 들쥐를 잡아먹는다. 1월에 교미하며 임신 기간은 100일간이고, 한배의 새끼는 2~5마리이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1건)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7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용재총화 <용재총화 제1권> 간관은 그렇지 않으므로 존비의 예가 없다. 상ㆍ하가 기다리지 않고 들어가는데, 만약 상관이 먼저 들어오고 하관이 나중에 들어오면 상관이라 할지라도 북면(北面)하고 서서 하관을 기다려 서로 읍하고 자리에 앉는다. 제좌하는 날에 약을 마시는 것과 공사(公事)를 행하는 것은 한결같이 대부(臺府)와 같이하며, 완의석(完議席)을 베풀고 술상을 차려 아란배(鵞卵杯)로 서로 주작하여 술이 취해야 술자리를 거둔다. 또 뒤뜰의 모정(茅亭)에 나아가 옷도 벗고 누워서 쉬며, 원(院)의 안이 추우나 물건이 없으면 선생의 책상을 가져다 앉기도 하고, 표범과 사슴의 껍질을 깔기도 한다. 혹 정원의 배나 대추를 따서 각 사(司)로 돌려 팔기도 하는데, 포물(布物)을 얻으면 반드시 주식(酒食)의 비용에 충당한다. 평상시에 소요되는 경비는 오로지 헌부(憲府)에 의지한다. 간직(諫職)을 배수한 사람은 술자리를 차려 동료를 청하여 함께 마시고 여러 곳에서 모여 마실 때에도 역시 참석한다. 생활용 비공개
    용재총화 <용재총화 제5권> 장님은 아내의 등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오늘밤이 무슨 밤이기에 이처럼 좋은 사람을 만났는고. 만약에 음식에 비유하면, 그대는 웅번(熊膰 곰의 발바닥. 팔진미(八珍味)의 하나)이나 표태(豹胎 표범의 태(胎))와 같고, 우리 집사람은 명아주국이나 현미 밥과 같구나.” 하고 재물을 많이 주었다. 새벽이 되어 아내가 먼저 그의 집에 가서 이불을 안고 앉아 졸다가 장님이 들어오는 것을 보고 묻기를, “어젯밤에는 어디서 주무셨소.” 하니 장님은, “아무 정승집에서 경(經)을 외다가 밤추위로 인하여 배탈이 났으니, 술을 걸러 약으로 쓰게 하오.” 하였다. 아내가 매우 꾸짖기를, “웅번ㆍ표태를 많이 먹고 명아국과 현미 밥으로 오장육부를 요란하게 하였으니 어찌 앓지 않을 수 있겠소.” 하니 장님은 아무 대꾸도 하지 못하고 그제야 아내에게 속은 줄을 알았다. 기타 비공개
    용재총화 기타 비공개
    고사십이집 방물수목(方物數目) - <주청 (奏請)> 황제 앞으로는 황세저포 20필, 백세저포 20필, 황세면주 20필, 자세면주 20필, 백세면주 30필, 용문염석 2장, 황화석 10장, 만화석 20장 잡채화석 10장, 달피(獺皮: 수달피) 20장, 청서피(靑黍皮: 담비가죽<镦 皮〉의 일종) 30장, 백면지 2천 권, 황모필 1백 자루, 유매묵 50정이다. 황태후 앞으로는 홍세저포 10필, 백세저포 10필, 백세면주 20필, 만화석 10장, 잡채화석 10장이다. 황후는 황태후와 같다. 황태자 앞으로는 백세저포 20필, 백세면주 20필, 황화석 10장, 잡채화석 10장, 표피(豹皮: 표범가죽) 2장, 백면지 5백권, 황모필 40자루, 유매묵 40정이다. 진주(陳奏)의 방물도 같다.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칙사예단(勅使禮單) - 정사와 부사는 각기 안마(鞍馬) 1필, 안장 없는 말 1필, 은자(銀子) 5백 냥부사는 1백 냥을 감한다. 면주(綿紬) 2백 필, 세저포 60필, 면포(綿布) 2백 필, 표피(豹皮) 10장, 수달피 30장, 청서피(靑黍皮) 15장, 대지(大紙) 50권(卷), 소지(小紙) 1백 권, 화석(花席) 20장, 녹비(鹿皮) 7장, 순도(順刀) 2자루, 은장도(銀粧刀) 10자루, 화말(靴襪: 신발) 1부(部).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국서여왜 (國書與倭) <별폭(別幅: 예물 목록)> 안장 갖춘 준마[駿馬鞍具] 2필, 호피(虎皮: 호랑이가죽) 15장, 표피(豹皮: 표범가죽) 20장, 초피(貂皮) 20령(令), 청서피(靑黍皮) 30장, 어피(魚皮)밴4) 1백장, 색지(色紙) 30권, 인삼 50근, 대수자(大嬬子) 10필, 대단자(大緞子) 10필, 백면주 50필, 백저포 30필, 생저포(生苧布) 30필, 흑마포(黑麻布)열새30필, 채화석(彩花席) 20장, 색필(色筆) 50자루[柄]용편자루[龍鞭柄] 17자루, 대모자루[玳瑁柄] 17자루, 홍당죽자루[紅唐竹柄] 16자루 참먹[眞墨] 50홀(笏), 황밀(黃蜜) 1백 근(斤), 청밀(淸蜜) 10말[斗], 매[鷹] 20연(連). 연 월일 이하는 서로 같다.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먹 잘 보관하기[墨妙收藏] - 동파(東波)의 시에서, 먹은 족히 30년을 지탱할 만하다고 하였는데, 먹이 오래 가는 것은 비록 제조를 잘하는데 달려있기도 하지만 역시 저장하는 방법이 올바르게 되어야 하는 것이기도 하다. 먹을 잘 저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표범가죽 주머니에 넣어두되 습기를 멀리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고, 둘째는 숙애(熟文: 오래 묵은 쑥)에 섞어서 간수하되 매월(梅月 : 음력 4월)을 만났을 때는 석회(石灰) 속에 저장하는 것이다. 먹을 갈 때 비조(肥후: 무환자나무 열매 육질)에 담갔던 물로 갈면 유지(油紙) 위에다가도 글씨를 쓸 수 있다.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기타 비공개
    조선부 가죽으로는 범, 표범, 고라니, 사슴과 여우, 담비, 살쾡이, 초피이니,(본바닥 사람들은 초피를 돈피라고 하고, 살쾡이의 가죽은 알지 못한다.) 가져다 무늬 자리, 겹 갖옷, 전통, 활집들을 만든다. 기타 비공개
    패관잡기 기타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7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용재총화 <용재총화 제1권> 간관은 그렇지 않으므로 존비의 예가 없다. 상ㆍ하가 기다리지 않고 들어가는데, 만약 상관이 먼저 들어오고 하관이 나중에 들어오면 상관이라 할지라도 북면(北面)하고 서서 하관을 기다려 서로 읍하고 자리에 앉는다. 제좌하는 날에 약을 마시는 것과 공사(公事)를 행하는 것은 한결같이 대부(臺府)와 같이하며, 완의석(完議席)을 베풀고 술상을 차려 아란배(鵞卵杯)로 서로 주작하여 술이 취해야 술자리를 거둔다. 또 뒤뜰의 모정(茅亭)에 나아가 옷도 벗고 누워서 쉬며, 원(院)의 안이 추우나 물건이 없으면 선생의 책상을 가져다 앉기도 하고, 표범과 사슴의 껍질을 깔기도 한다. 혹 정원의 배나 대추를 따서 각 사(司)로 돌려 팔기도 하는데, 포물(布物)을 얻으면 반드시 주식(酒食)의 비용에 충당한다. 평상시에 소요되는 경비는 오로지 헌부(憲府)에 의지한다. 간직(諫職)을 배수한 사람은 술자리를 차려 동료를 청하여 함께 마시고 여러 곳에서 모여 마실 때에도 역시 참석한다. 생활용 비공개
    용재총화 <용재총화 제5권> 장님은 아내의 등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오늘밤이 무슨 밤이기에 이처럼 좋은 사람을 만났는고. 만약에 음식에 비유하면, 그대는 웅번(熊膰 곰의 발바닥. 팔진미(八珍味)의 하나)이나 표태(豹胎 표범의 태(胎))와 같고, 우리 집사람은 명아주국이나 현미 밥과 같구나.” 하고 재물을 많이 주었다. 새벽이 되어 아내가 먼저 그의 집에 가서 이불을 안고 앉아 졸다가 장님이 들어오는 것을 보고 묻기를, “어젯밤에는 어디서 주무셨소.” 하니 장님은, “아무 정승집에서 경(經)을 외다가 밤추위로 인하여 배탈이 났으니, 술을 걸러 약으로 쓰게 하오.” 하였다. 아내가 매우 꾸짖기를, “웅번ㆍ표태를 많이 먹고 명아국과 현미 밥으로 오장육부를 요란하게 하였으니 어찌 앓지 않을 수 있겠소.” 하니 장님은 아무 대꾸도 하지 못하고 그제야 아내에게 속은 줄을 알았다. 기타 비공개
    용재총화 기타 비공개
    고사십이집 방물수목(方物數目) - <주청 (奏請)> 황제 앞으로는 황세저포 20필, 백세저포 20필, 황세면주 20필, 자세면주 20필, 백세면주 30필, 용문염석 2장, 황화석 10장, 만화석 20장 잡채화석 10장, 달피(獺皮: 수달피) 20장, 청서피(靑黍皮: 담비가죽<镦 皮〉의 일종) 30장, 백면지 2천 권, 황모필 1백 자루, 유매묵 50정이다. 황태후 앞으로는 홍세저포 10필, 백세저포 10필, 백세면주 20필, 만화석 10장, 잡채화석 10장이다. 황후는 황태후와 같다. 황태자 앞으로는 백세저포 20필, 백세면주 20필, 황화석 10장, 잡채화석 10장, 표피(豹皮: 표범가죽) 2장, 백면지 5백권, 황모필 40자루, 유매묵 40정이다. 진주(陳奏)의 방물도 같다.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칙사예단(勅使禮單) - 정사와 부사는 각기 안마(鞍馬) 1필, 안장 없는 말 1필, 은자(銀子) 5백 냥부사는 1백 냥을 감한다. 면주(綿紬) 2백 필, 세저포 60필, 면포(綿布) 2백 필, 표피(豹皮) 10장, 수달피 30장, 청서피(靑黍皮) 15장, 대지(大紙) 50권(卷), 소지(小紙) 1백 권, 화석(花席) 20장, 녹비(鹿皮) 7장, 순도(順刀) 2자루, 은장도(銀粧刀) 10자루, 화말(靴襪: 신발) 1부(部).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국서여왜 (國書與倭) <별폭(別幅: 예물 목록)> 안장 갖춘 준마[駿馬鞍具] 2필, 호피(虎皮: 호랑이가죽) 15장, 표피(豹皮: 표범가죽) 20장, 초피(貂皮) 20령(令), 청서피(靑黍皮) 30장, 어피(魚皮)밴4) 1백장, 색지(色紙) 30권, 인삼 50근, 대수자(大嬬子) 10필, 대단자(大緞子) 10필, 백면주 50필, 백저포 30필, 생저포(生苧布) 30필, 흑마포(黑麻布)열새30필, 채화석(彩花席) 20장, 색필(色筆) 50자루[柄]용편자루[龍鞭柄] 17자루, 대모자루[玳瑁柄] 17자루, 홍당죽자루[紅唐竹柄] 16자루 참먹[眞墨] 50홀(笏), 황밀(黃蜜) 1백 근(斤), 청밀(淸蜜) 10말[斗], 매[鷹] 20연(連). 연 월일 이하는 서로 같다.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먹 잘 보관하기[墨妙收藏] - 동파(東波)의 시에서, 먹은 족히 30년을 지탱할 만하다고 하였는데, 먹이 오래 가는 것은 비록 제조를 잘하는데 달려있기도 하지만 역시 저장하는 방법이 올바르게 되어야 하는 것이기도 하다. 먹을 잘 저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표범가죽 주머니에 넣어두되 습기를 멀리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고, 둘째는 숙애(熟文: 오래 묵은 쑥)에 섞어서 간수하되 매월(梅月 : 음력 4월)을 만났을 때는 석회(石灰) 속에 저장하는 것이다. 먹을 갈 때 비조(肥후: 무환자나무 열매 육질)에 담갔던 물로 갈면 유지(油紙) 위에다가도 글씨를 쓸 수 있다. 문화용 비공개
    고사십이집 기타 비공개
    조선부 가죽으로는 범, 표범, 고라니, 사슴과 여우, 담비, 살쾡이, 초피이니,(본바닥 사람들은 초피를 돈피라고 하고, 살쾡이의 가죽은 알지 못한다.) 가져다 무늬 자리, 겹 갖옷, 전통, 활집들을 만든다. 기타 비공개
    패관잡기 기타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