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chevron_left
chevron_right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chevron_left
chevron_right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chevron_left
chevron_right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Diptera
(파리목)
>
Nematocera
(모기아목)
>
Bibionomorpha
(털파리하목)
>
Bibionoidea
(털파리상과)
>
Bibionidae
(털파리과)
>
Pleciinae
>
Plecia
>
longiforceps
(붉은등우단털파리)
❍ 몸길이는 6-6.5mm임
❍ 수컷의 더듬이는 9마디이며 암컷의 더듬이는 11마디임
❍ 가슴등판 전체와 가슴 옆면 일부는 붉은색을 띠는데 주홍색에서 암갈색까지 변이가 있고, 가운데가슴등판에는 세로로 주름이 뚜렷하게 파임
❍ 날개는 갈색이며 길이는 수컷은 5.5-7.0mm, 암컷은 8.0-10.0mm임
❍ 다리는 암갈색에서 검은색이며, 수컷 뒷다리 제1발목마디는 폭보다 6-7배 길음
❍ 수컷 복부 제9배판 앞부분 중앙부는 막질이며 뒷부분은 깊게 갈라지고, 제9복판 양 옆은 뒤쪽으로 길게 돌출하여 집게 모양을 이룸
❍ 생식미돌기가 둥글게 말려 생식기절 일부와 함께 고리 모양임
-
❍ 국내 : 서울 등 수도권 일부지역 대발생(Kim et al., 2022)
❍ 국외 : 중국과 일본(오키나와) 4~5월, 9~10월에 연 2회 발생(Duda, 1934; Tone & Osada, 2020) -
가) 생활사
❍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완전한 생활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음
❍ 국내에서는 성충이 6월 말부터 7월 초까지 출현하며, 유충으로 월동하고 6월에 번데기가 됨
※ 중국과 일본(오키나와)에서는 성충이 4-5월과 9-10월에 연 2회 발생(Duda, 1934; Tone & Osada, 2020)
나) 서식환경
❍ 유충은 산림의 낙엽이나 부후목 아래의 부식토에 주로 서식하며 수십에서 수백 마리의 무리로 발견
❍ 성충은 산림 사이 또는 주변의 열린 공간에서 무리지어 비행하며 짝짓기 후 흙 표면에 산란(한마리당 300-500여개)
다) 천적정보
❍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생물학적 방제 방법에 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으나 성충 시기에는 거미류, 조류 등이 포식자 역할을 함
라) 행동 특성
❍ 유충은 부식토 안에서 무리지어 생활하며, 번데기는 우화하기 직전 흙 표면으로 올라옴
❍ 성충은 우화 후 근처 식생에서 휴식하며, 꽃에서 흡밀하고, 숲 틈 등 열린 공간에서 무리지어 비행하며 짝을 찾는 습성이 있음
마) 피해 정보
❍ 본 종은 대량으로 발생하고 주거지역에 출현하여 시민들의 불편과 혐오감을 유발
❍ 국내에서는 2022년부터 서울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대발생함(Kim et al., 2022)
❍ 해외에서는 일본 오키나와에 유입되어 대발생이 보고된 바 있음(Tone & Osada, 2020; Aoyagi, 2022) -
○ (참고문헌)
- 환경문제 생물종 특성 연구(5차년도). 188 pp.
※ 발간연도 : 국립생물자원관. 2023
- 대발생 생물 발생원인 및 관리방안 마련 연구(2024년). 290 pp.
※ 발간연도 : 국립생물자원관. 2024. -
□ 대응 연구
❍ (모니터링) 수도권 발생지역 포함 전국 분포현황 모니터링
※ 네이처링 등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통한 민관협력 모니터링 추진
❍ (원인분석) 국내‧외 비교 조사를 통한 대발생 원인분석 연구
※ 환경요소에 따른 생활사 및 발생 양상 조사, 도시환경에 따른 집단 유인 효과 연구, 곤충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 사망률 조사, 국내외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등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IN0001009072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 붉은등우단털파리 서울특별시 은... / 2023-06-22 액침표본 1건 NIBRIN0001061800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 붉은등우단털파리 서울특별시 양... / 2024-06-14 액침표본 1건 NIBRIN0001061801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 붉은등우단털파리 서울특별시 성... / 2024-06-14 액침표본 1건 NIBRIN0001061802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 붉은등우단털파리 서울특별시 성... / 2024-06-14 액침표본 1건 NIBRIN0001061844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 붉은등우단털파리 서울특별시 관... 관악산 / 2024-06-2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영상 플레이어
특허 정보
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