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배경

환경부가 이 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은 국제적으로 생물다양성협약에 의해 생물자원에 대한 국가의 권리가 인정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자국의 생물자원 보호와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생물자원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 고유생물의 해외유출 등 그동안 생물자원 관리가 소홀했기 때문입니다.

사업개요

연구방법

연구내용

우리나라에 밝혀진 생물종에서 한국 고유종을 구분하고 그 대상 생물종을 분류군별로 파악하여 제시하기 위해서, 1, 2차년도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국 고유종을 구분하고, 분류군별로 파악하였습니다. 분류군 중에서 분류학적 연구가 미진하거나, 해당 분류 전문가가 부족하여 분류학적 판단이 어려운 분류군은 본 연구에 의한 한국 고유종 목록작성에서 일단 제외하였습니다.

1. 원생생물, 미생물, 미세조류 및 하등균류 등은 분류군의 특성상 분류군의 한계 및 고유종의 판정 기준에 상당한 문제점이 현존하고, 분류학적 연구의 기반이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본 연구 사업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