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고사리

Deparia pterorachis (H. Christ) M. Kato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개고사리과

QR코드

산지의 음습한 숲속 전석지에서 군락을 이루어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양치식물이다. 키는 80~170cm 정도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짧게 기고, 덩어리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30~70cm, 기부가 현저하게 부풀며, 측면 부속체가 있고, 비늘조각이 많이 붙는다. 잎몸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하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며, 길이 0.5~1m, 1회 깃꼴겹잎이다. 우편은 장타원상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13~25cm, 가장자리는 심렬하며, 우편의 자루는 없다. 우축은 날개가 있다. 소우편은 선상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깊고 날카로운 톱니이거나 중렬한다. 최종 열편의 측맥은 2개 이상 차상으로 분지한다. 포자낭군은 소우축 근처에 붙거나 보다 축에 치우쳐 붙는다. 포막은 막질이고, 선형 또는 장타원형, 드물게 갈고리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잘게 째져 갈고리형 또는 말굽형이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함경북도 등 북부, 강원도, 경상북도 울릉도 등에 나며, 중국 동북부, 일본 중부 이북,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몸의 최종 열편은 선상 장타원형으로 측맥이 대부분 2회 이상 차상으로 갈리는 점에서 곱새고사리와는 구별된다. 개면마, 수캐면마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