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지네고사리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 Chr.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관중과

QR코드

산지의 부식토가 풍부한 숲속에서 군락을 이루어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북방계 양치식물이다. 키는 90~120cm이다. 잎자루는 전체에 비늘조각이 빽빽이 붙지만 일반적으로 잎자루의 중부 이상의 비늘조각은 조락한다. 잎몸은 장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35~75cm, 1회 또는 2회 깃꼴겹잎이고, 두꺼운 지질이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15~20cm이다. 최종 열편은 기부 근처에서는 다른 열편과 독립적이며,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끝이 바늘 모양인 이모양톱니이다. 최종 열편의 측맥은 1~3회 차상으로 분지한다. 포자낭군은 보다 가운데 잎맥에 치우쳐 붙는다. 포막은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일본 중부 이북,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왕지네고사리는 잎몸이 대부분 1회 깃꼴겹잎인 점과 잎자루 기부 근처의 비늘조각이 피침형 내지 난상 피침형인 점에서 2~3회 깃꼴겹잎으로 잎자루의 비늘조각이 선상 피침형 내지 좁은 피침형인 바위틈고사리와 뚜렷이 다르다. 참왕지네고사리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