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저리고사리

Dryopteris maximowiczii (Baker) Kuntze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관중과

QR코드

다소 높은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키 30~70cm의 양치식물이다. 잎자루는 전체에 비늘조각이 다소 빽빽이 붙는다. 잎자루의 비늘조각은 타원상 난형으로 대부분 시들어 떨어지며, 담갈색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몸은 오각상 난형으로 길이 15~32cm, 3~4회 깃꼴겹잎이고, 초질이다. 우편은 삼각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18~22cm, 뒷면에 비늘조각이 없다. 기부우편은 다소 비대칭으로 기부 외측편이 기부 내측편보다 넓다. 소우편은 삼각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다. 최종 열편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이모양톱니이다. 최종 열편의 측맥은 가장자리에 닿거나 닿지 않는다.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근처에 붙는다. 포막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포자기는 7~9월이다. 우리나라 제주도 한라산,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 등에 나며, 일본 중부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몸이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3~4회 깃꼴로 갈라지고, 샘털이 없으며, 뿌리줄기는 길게 뻗고 비늘조각은 일찍 떨어지므로 구분된다. 한라고사리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