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박주가리

Tylophora floribunda Miq.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용담목 > 박주가리과

QR코드

산지 숲속 및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수평으로 퍼지며, 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가늘고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폭 1~5cm, 끝은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형이다. 잎자루는 1~2cm이다. 뒷면은 녹색을 띤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지름 4~5mm, 흑자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골돌로 7월에 익으며 좁은 피침형이다. 우리나라 경기도 광릉, 소요산 등에 나며, 일본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덩굴식물인 점에서 민백미꽃을 비롯한 곧추서는 종들과 구별된다. 잎몸은 긴 삼각상 피침형인 점에서 난상 심장형인 박주가리, 큰조롱과 구별되고, 꽃은 잎겨드랑이의 잎보다 큰 취산꽃차례에 흑자색으로 피고, 안쪽에 털이 없는 점에서 잎보다 작은 우산꽃차례에 흰색으로 피고, 안쪽에 잔털이 밀생하는 세포큰조롱과 구별된다. 관상용을 이용할 수 있다. 양반박주가리, 양반풀, 좀양반풀이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