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고들빼기

Crepidiastrum koidzumianum (Kitam.) Pak & Kawano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QR코드

고도가 높은 산지 숲속, 햇빛이 다소 드는 곳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40cm로 곧추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회청색이다. 뿌리잎은 개화 전에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4.5~6.5cm, 폭 2.5~3.0cm인 장타원형으로서 3~4쌍의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중축에 날개가 있고 잎자루 기부는 넓어져 줄기를 감싼다. 열편은 난상 장타원형으로 굵은 톱니가 있고 털이 없다. 꽃은 9~10월에 머리모양꽃차례로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꽃싸개잎이 1~3개이다. 모인꽃싸개는 길이 7.5~8.0mm이며, 바깥쪽 모인꽃싸개 조각은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안쪽 모인꽃싸개 조각은 5개로 선형이다. 꽃은 황색으로 머리모양꽃차례 1개당 5~6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3.5~4.0mm인 방추형, 11개의 능선이 있으며, 끝이 부리처럼 뾰족해지고, 우산털은 백색이다. 우리나라 지리산 이북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까치고들빼기와 비슷하지만 잎몸이 깃 모양으로 불완전하게 갈려 인접한 우편 사이에 날개로 연결되고, 각 우편에 자루가 없는 점에서 구별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지리산꼬들빽이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