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벼과

QR코드

길가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옆으로 기는줄기의 마디에서 뿌리와 줄기가 나고, 줄기는 비스듬히 선다. 높이는 20~40cm이며, 마디에는 털이 없다. 잎집의 입구와 가장자리에는 긴 털이 있다. 잎혀의 길이는 0.5mm 정도이고 끝은 납작하다. 잎몸은 길이 2~7cm이고, 너비 5~10mm이고, 피침상 난형이다. 꽃은 8~10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2~6개의 가지가 달리고, 길이 4~6cm이다. 가지의 마디마다 자루가 긴 작은이삭과 자루가 짧은 것이 쌍으로 달리며, 마디와 작은이삭의 아래쪽에는 털이 있다. 작은이삭의 길이는 3.0~3.5mm이고 불염성과 임성의 꽃이 한 개씩 들어 있다. 제1포영은 가운데 맥이 없이 4~6개의 맥이 있고, 길이 3.0~3.5mm이며, 제2포영은 제1포영과 길이가 같고 3개의 맥이 있다. 임성인 두 번째 꽃의 호영은 길이 1.5~2.0mm이고 끝이 갈라지고 6~8mm의 까락이 달린다. 내영은 없거나 흔적만 있다. 수술은 2개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큰듬성이삭새에 비해 잎이 넓고, 한 마디에 달린 두 작은이삭은 모두 자루가 있고 수술이 두 개이므로 구별된다. 대잎바랑이새, 댓잎새, 민바랭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