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방울란

Habenaria chejuensis Y. N. Lee & K. Lee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QR코드

약간 습한 숲의 돌이나 땅 위에서 높이 20cm가량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자생란이다. 뿌리는 덩이줄기에서 나며, 덩이줄기는 보통 2개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2cm, 너비 1.3cm이다. 줄기 기부에 도란상 피침형의 잎 3~5개가 짧은 간격으로 어긋나며 길이 8~11cm, 너비 2~3cm 정도이고, 위로 가면서 길이 1.5~2cm, 너비 2.3~3mm 정도의 크기가 작은 좁은 피침형의 잎이 달린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총상꽃차례로 길이 5~7cm이며 12~17개의 꽃이 달린다. 꽃의 꽃싸개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0.5~1.6cm, 너비 2~5mm이다. 등꽃받침잎은 난형으로 길이 2.5~3mm, 너비 2~2.5mm 정도이고 끝이 뾰족하며 3맥이 있고, 곁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길이 3~4mm, 너비 1.5~2mm이다. 입술꽃잎은 3갈래로 갈라지며, 가운데 갈래는 길이 3mm 정도이고 위쪽으로 말려 등꽃받침잎 끝에 붙으며, 2개의 곁갈래는 길이 2.5mm 정도이고 양 옆으로 퍼진다. 꽃뿔은 3~4mm로 씨방보다 짧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방울난초에 비해 입술꽃잎의 가운데 갈래가 크고, 곁갈래가 편모형처럼 가늘지 않으며, 방울난초와 달리 말랐을 때 검은색으로 변하지 않으므로 구별된다.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주방울난초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