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괭이눈

Chrysosplenium macrostemon Maxim.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QR코드

산골짜기의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털이 없다. 뿌리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넓은 난형, 밑부분은 쐐기 모양,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4~50mm, 밑부분은 쐐기 모양,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모여난다. 꽃잎은 없다. 꽃받침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1.8mm다. 수술은 8개, 길이 2~3mm다. 암술은 2개, 곧게 자라며, 수술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삭과, 2갈래로 갈라진다. 씨는 난형, 겉에 10개의 세로로 능선이 있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중부 이북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선괭이눈 비해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잎을 생성하지 않으며, 수술은 꽃 밖으로 길게 나오고 씨앗의 돌기가 비교적 크므로 구분되며, 괭이눈과 비교하여 수술은 8개, 꽃받침보다 길며, 씨앗 겉에 10개의 세로로 능선이 있어 다르다. 그러나 최근 선괭이눈을 잘못 동정했다는 견해가 있다. 전초를 약용한다. 바위괭이눈풀이라고도 한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