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CN 세계적색목록(global red list) 범주(categories)와 기준(criteria)은 6년간에 걸친 연구와 다양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처 1994년에 그 결과를 처음 발행하였습니다. 1994년도 판 IUCN 범주와 기준은 종의 보전 상태를 평가할 때 객관성과 투명성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1996년도 판 적색목록은 많은 종을 대상으로 범주와 기준에 맞추어 평가해 문제점을 검토하였고, 1998년부터 1999년에 걸쳐 문제점을 보완하여 IUCN 적색목록 범주와 기준 3.1판(2001년)이 새롭게 발표되었고,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IUCN 세계적색목록 범주는 다음과 같이 9개로 분류됩니다.
- 절멸(Extinct; EX)은 마지막 개체가 죽었다는 점에 대해 합리적으로 의심할 여지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 야생절멸(Extinct in the Wild; EW)은 분류군이 자연 서식지에서는 절멸한 상태이나 동물원이나 식물원 등지에서 사육 또는 재배하는 개체만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위급(Critically Endangered; CR)은 가장 유효한 증거가 위급에 해당하는 기준 A부터 E까지의(평가방법 항 참조) 그 어떤 하나와 일치한 상태로 위급으로 평가된 분류군은 야생에서 극단적으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간주한다.
- 위기(Endangered; EN)는 가장 유효한 증거가 위기에 해당하는 기준 A부터 E까지의 그 어떤 하나와 일치한 상태로 야생에서 매우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간주한다.
- 취약(Vulnerable; VU)은 가장 유효한 증거가 취약에 해당하는 기준 A부터 E까지의 그 어떤 하나와 일치한 상태로 야생에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간주한다.
- 준위협(Near Threatened; NT)은 기준에 따라 평가했으나 현재에는 위급, 위기, 취약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가까운 장래에 멸종우려 범주 중 하나에 근접하거나 멸종우려 범주 중 하나로 평가될 수 있는 상태이다.
- 관심대상(Least Concern; LC)은 기준에 따라 평가했으나 위급, 위기, 취약, 준위협에 해당하지 않은 상태로 널리 퍼져 있고 개체수도 많은 분류군이 이 범주에 해당한다.
- 정보부족(Data Deficient; DD)은 확실한 상태 평가를 하기에는 정보가 부족한 분류군을 강조하기 위한 범주이다.
- 미평가(Not Evaluated; NE)는 적색목록 기준에 따라 아직 평가하지 않은 분류군에 적용하는 범주이다. 정보부족과 미평가 범주는 분류군의 위협 정도를 반영하지 않는다.
![[그림 1] 세계적색목록 범주](../images/Redlist/imgChart1.jpg)
※ 적색목록 범주 중 위급, 위기, 취약 범주를 합하여 멸종우려(Threatened)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