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람 발간 사업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2008년부터 ‘한반도 고유종 특성평가 및 총람발간’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유종 목록을 개정하고 고유종 총람을 발간함으로써 그 보전과 관리에 힘쓰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덕우기름나물 등 관속식물 3종, 다실미역 등 해조류 2종, 고하목 5종에 대하여 외부형태 및 미세구조 관찰,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 등의 방법을 통해 한반도 고유종에 대한 고유성을 확인하였으며 주권적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2014년까지 보고한 고유종 2,242종에 대한 국명, 학명, 분류체계 등을 재검토하여 관속식물 15종, 양서류의 꼬리치레도롱뇽 1종, 구 기자뿔나방 등 곤충 128종, 무척추동물 5종을 추가하였으며 다른 나라에서 서식중인 서울똥풍뎅이 등 곤충 138종을 삭제하여 최종적으로 총 2,253종의 고유종 목록을 정리하였습니다.
「한반도 고유종」은 고유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 1권으로 통합 발간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고유종의 학명, 국명, 분류 체계, 형태, 생태, 분포, 표본 소장기관, 고찰, 원기재문, 참고문헌 등을 정리하여 분류군별로 분리·발간하였으며 이로써 2013년 「한반도 고유종」 3권(관속식물, 척추동물, 해조류 및 균류편)과 2014년에 발간한 4권(곤충Ⅰ·Ⅲ, 무척추동물Ⅰ·Ⅱ)에 이어 2015년에 곤충 Ⅱ편을 발간함으로써 6개 분류군에 대한 「한반도 고유종」을 완간하였습니다.
한반도 고유종은 한반도에만 국한되어 자연적으로 분포·서식하는 생물종으로 세계적으로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 생물자원으로써 국가 생물주권 확립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본 사업에서는 한반도 고유종에 대한 주권적 권리를 보장 받기 위해 고유종의 실체를 규명하며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것입니다.
「한반도 고유종」 발간 현황
구분 | '05년 | '11년 | '13년 | '14년 | '18년 | |
---|---|---|---|---|---|---|
수행 | 환경부 | 국립생물자원관 | ||||
총계 | 2,322종 | 2,177종 | 2,098종 | 2,242종 | 2,289종 | |
분류군 | 관속식물 | 515종 | 527종 | 436종 | 436종 | 451종 |
척추동물 | 73종 | 76종 | 76종 | 76종 | 77종 | |
무척추동물 | 639종 | 451종 | 451종 | 555종 | 560종 | |
곤충 | 1,031종 | 1,097종 | 1,097종 | 1,137종 | 1,127종 | |
해조류 | 26종 | 22종 | 35종 | 35종 | 35종 | |
총람 발간 |
균류 | 3종 | ||||
분류군 통합 |
분류군 통합 국문('11), 영문('12) |
식물,해조류,척추 |
곤충Ⅰ․Ⅲ, 무척추Ⅰ․Ⅱ |
분류군 통합 영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