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개복수초 Adonis pseudoamurensis W.T. Wang

바닷가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12-35cm이고, 아래쪽에 막질 비늘잎이 3-11장 있다. 잎은 어긋나며, 5-12장이 달리고, 1-2회 갈라지는 깃꼴겹잎이다. 줄기 아래쪽 잎은 비늘잎 겨드랑이에서 나며, 길이 10-50cm이다. 꽃은 2-4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1개씩 피며, 노란색이고, 지름 1.5-5.0cm이다. 꽃받침은 5-6장이며, 길이 0.7-2.0cm로서 꽃잎보다 짧고, 막질이다. 꽃잎은 11-20장이고, 장타원형 내지 도란형으로 길이 0.8-3.0cm, 막질, 앞면은 황색, 뒷면은 황록색 또는 녹색이다. 수술과 암술은 각각 30-100개 정도로서 많다. 열매는 많은 수과가 모여 길이와 너비 각각 1cm 정도의 수과덩이를 이루며, 4-7월에 익는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바로가기
먹는것이금지종 포획채취금지종 수출수입허가대상종 한국의고유생물종

멧토끼 Lepus coreanus Thomas, 1892

토끼목 토끼과에 속하는 초식성 포유류이다. 몸통은 길이 42-49cm이며, 꼬리는 5-11cm이다. 털색은 보통 회색을 띠며, 허리와 꼬리는 담회갈색이다. 겨울털은 일반적으로 길고 부드러우며 빽빽하게 나 있으나 여름 털은 거칠고 짧다. 전국의 야산에 서식한다. 집토끼와 달리 굴을 파지 않으며 덤불, 나무 밑 등을 은신처로 이용한다. 주로 아침과 저녁에 활동한다. 1년에 2-3회 번식하며, 한 배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바로가기
포획채취금지종 수출수입허가대상종

원앙 Aix galericulata (Linnaeus, 1758)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조류로 비교적 흔한 텃새이자 겨울철새이다. 몸길이 약 45cm. 번식기 수컷의 깃 색이 화려하여 다른 종과 혼동이 없다. 수컷의 부리는 붉은색이며 끝은 흰색이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회색 바탕에 몸 아랫면에 흰색 얼룩점이 있으며, 눈 뒤로 흰색의 가는 눈선이 있고 부리는 검은색이다. 수컷의 겨울깃은 암컷과 비슷하지만 부리가 붉은색이다. 산림 주변의 늪지대나 계곡, 냇가 등에서 각종 식물의 열매나 수서곤충, 연체동물, 작은 어류 등을 먹는다. 냇가와 인접한 오래된 나무 위나 바위틈에서 번식한다. 중국 동북부, 한국, 러시아 극동, 사할린, 일본에서 분포한다. 겨울철에는 전국의 호소, 하천, 해안 등 우리나라 전역에서 서식한다.

바로가기

설앵초 Primula farinosa subsp. modesta var. koreana T. Yamaz.

앵초과 앵초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근경은 짧고 줄기는 곧게 선다. 꽃대는 곧추서 길이 15cm 정도로 자란다. 모든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는데 사각상 난원형으로 길이 10cm 정도로 잎몸이 길다. 잎은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는 것이 있고 얕고 둔한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은황색 가루로 덮여 있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뿌리에서 자란 긴 꽃대 끝에 10개 정도가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꽃이 필 때는 길이 1.5cm 정도, 털이 없으며 꽃이 진 다음 길어진다. 포는 선형이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다소 부풀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긴 통꽃으로 되어 있으나 꽃잎은 끝이 다섯 갈래로 깊이 갈라져 있으며 꽃잎마다 다시 얕게 갈라지고 꽃의 하부는 가늘고 길다. 꽃통은 꽃받침에 싸여 있고 꽃 모양은 벚꽃과 닮은 데가 있다. 꽃부리는 홍자색이고 지름 10~14mm로서 열편 끝이 파진다. 열매는 삭과로 짧은 원주형이며 길이 5~8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초가을에 성숙된다. 우리나라 경상남도 가야산, 신불산, 제주도 한라산 등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이 넓은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현저히 말리고 톱니가 불분명하며 기부가 급히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르고 과시에 소경이 짧아지므로 유사종과 구별된다. 좀설앵초는 설앵초에 비해 전체가 소형이며 잎은 좁고 길며 거의 톱니가 없으므로 구별된다.

바로가기
먹는것이금지종 포획채취금지종 수출수입허가대상종 수렵동물

고방오리 Anas acuta Linnaeus, 1758

전국적으로 흔한 겨울철새이다. 수면성 오리로, 강이나 하구, 저수지에서 무리를 이루고, 자맥질해 수중의 수초 및 식물의 종자를 먹는다.

바로가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먹는것이금지종

구렁이 Elaphe schrenckii (Strauch, 1873)

유린목 뱀과에 속하는 파충류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뱀이며 몸길이는 1.1-2.0m이다. 몸통 전체에 가로줄 무늬가 있으며, 몸 색깔이 다양하다. 7-8월에 20개 정도의 알을 낳으며, 한 달 반에서 두 달 만에 부화한다. 소형 설치류, 조류, 새알 등을 먹고 산다. 마을과 집을 지키는 영물로 알려져 왔으나 근래 잘못된 보신 문화로 남획되어, 멸종 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서식하며, 중국과 러시아에 분포한다.

바로가기
국외반출승인대상종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B. U. Oh

저지대 활엽수림 밑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뿌리는 지름 1~2cm이다. 잎은 방사형으로 오각형에 가까운 원형, 3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폭 2~3cm이다. 꽃줄기는 뿌리에서 하나씩 나며, 길이 11~29cm다. 꽃은 2~3월에 피는데 꽃줄기 끝에 하나씩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1~1.9cm이다. 꽃받침은 5~10장이고, 길이 1.0~1.9cm, 폭 0.9~2.0cm이다. 꽃잎은 4~11장이고, 꽃받침 위 수술들 속에 섞여 깔때기 모양으로 난다. 꽃잎의 중앙 아랫부분이 옅은 노란색이며 위쪽 가장자리가 짙은 녹색이고, 길이 2.5~3.7mm이다. 우리나라 경기도 풍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변산바람꽃과 유사하나 꽃잎의 크기가 매우 커서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바로가기
국가생물자원정보 통합검색

국립생물자원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표본/소재/유전정보 검색이 가능합니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