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등 현 상태 지속 시 많은 생물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고,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이에 서식지보전과 함께 자생력을 상실한 멸종위기종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증식·복원 관련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이에 멸종위기종을 보전하기 위하여 멸종위기종의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증식·복원을 통해 한반도 생물종 다양성을 제고하고 생태계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하여 국가 차원의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종합계획(환경부. 2006)에 근거하여 조사ㆍ연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종 복원사업 진행 현황(총괄)

- 현재 멸종위기종 Ⅰ급 51종과 Ⅱ급 195종, 총 246종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증식·복원 수정계획(2011년 4월)」 에 따라 멸종위기종 중 총 43종이 증식·복원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2013년 1월 “복원 계획” 대상(43종) 중 36종, “계획 외” 96종에 대하여 증식·복원 관련 연구, 증식·복원 진행하고 있습니다
 (132종 : 동물 61, 식물 71).
    ※ “서식지외보전기관”에서만 보전사업 진행 : 98종(동물 33종, 식물 65종)

복원계획종
< 증식·복원 대상종 현황(43종) >
구분 복원종
동물(31) 포유류 (6)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사향노루, 스라소니, 대륙사슴
조류 (5) 황새, 두루미, 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따오기
파충류 (5) 남생이, 구렁이, 금개구리, 표범장지뱀, 비바리뱀
어류 (8) 꼬치동자개, 감돌고기, 미호종개, 퉁사리, 얼룩새코미꾸리, 흰수마자, 모래주사, 묵납자루
곤충류 (6) 장수하늘소, 상제나비, 소똥구리, 꼬마잠자리, 붉은점모시나비, 비단벌레
무척추동물 (1) 두드럭조개
육상식물 (12) 광릉요강꽃, 노랑만병초, 나도풍란, 만년콩, 암매, 개병풍, 나도승마, 산작약, 선제비꽃, 제주고사리삼, 조름나물, 털복주머니란

* 밑줄(7종)은 증식ㆍ복원 미추진 중인 종(계획상 총 43종 중 36종 복원 중)

복원추진종
(단위 : 종)
구분 총계 동물 육상식물
소계 포유류 조류 양서ㆍ파충류 어류 곤충 무척추동물
종 수 132 61 13 14 7 12 6 9 71
구분 증식ㆍ복원(연구사업 포함) 종 현황
총 132 종
동물 (61종) 포유류 (13) Ⅰ급 : 대륙사슴, 반달가슴곰, 산양, 스라소니, 사향노루, 여우, 수달, 표범, 호랑이, 늑대
Ⅱ급 : 담비, 삵, 큰바다사자
조 류(14) Ⅰ급 : 두루미, 황새, 검독수리, 참수리, 혹고니, 흰꼬리수리
Ⅱ급 : 따오기, 노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수리부엉이, 올빼미, 재두루미, 참매, 큰고니
양서·파충류(7) Ⅰ급 : 비바리뱀, 수원청개구리
Ⅱ급 : 구렁이, 금개구리, 남생이, 표범장지뱀, 맹꽁이
어 류(12) Ⅰ급 : 감돌고기, 꼬치동자개, 미호종개, 얼룩새코미꾸리, 퉁사리, 흰수마자
Ⅱ급 : 모래주사, 묵납자루, 가는돌고기, 꾸구리, 돌상어, 다묵장어
곤충류(6) Ⅰ급 : 장수하늘소
Ⅱ급 : 꼬마잠자리, 붉은점모시나비, 두점박이사슴벌레, 물장군, 애기뿔소똥구리
무척추동물(9) Ⅰ급 : 나팔고둥, 남방방게
Ⅱ급 : 갯게, 대추귀고둥, 둔한진총산호, 밤수지맨드라미, 붉은발말똥게, 자색수지맨드라미, 해송
육상식물 (71종) Ⅰ급 : 광릉요강꽃, 나도풍란, 만년콩 등 9종
Ⅱ급 : 각시수련, 가시연꽃, 초령목 등 62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