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명 | 등급 | 추진현황 | 추진기관 |
---|---|---|---|
스라소니 | I | 2005년 북한산 1쌍 도입, 인공수정 추진 | 서울대공원 |
반달가슴곰 | I | 8회에 걸쳐 총 34마리 방사, 지리산 야생에서 12마리의 새끼 곰 출산, 현재 29마리 서식 | 국립공원 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산양 | I | 2006년 월악산 산양복원팀 설치(국립공원공단), 2006년 사업 초기 6마리 서식, 현재 43마리까지 증가, 전국적으로 약 857마리 서식 추정 | 국립공원 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종명 | 등급 | 추진현황 | 추진기관 |
---|---|---|---|
황새 | I | 1996년 독일과 러시아로부터 2마리 도입, 2002년 인공번식 최초 성공, 2013년 현재 150마리 인공사육장 서식, 2015년 야생방사 예정 | 황새복원연구센터 |
두루미 | I | 2008년 일본으로부터 2쌍 도입, 2009년 2마리 인공번식 최초 성공, 2013년 현재 26마리 인공사육장 서식, 2014년 야생방사 예정 | 경북대 조류생태환경연구소 |
따오기 | II | 2008년 중국으로부터 1쌍 도입, 2009년 2마리 인공번식 최초 성공, 2013년 현재 26마리 인공사육장 서식, 2017년 야생방사 예정 | 우포따오기복원센터 |
종명 | 등급 | 추진현황 | 추진기관 |
---|---|---|---|
남생이 | II | 2005년 인공부화 성공, 2009년 4마리, 2010년 3마리 방사, 2010년 이후 평균 25마리 자연번식 | 서울대공원 |
구렁이 | II | 2013년 6마리 야생방사(치악산국립공원), 2013년 현재 18마리 보유 | 치악산 국립공원사무소 |
금개구리 | II |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추진(2006∼2009), 서식지 분석, 유전적 특성 및 분석, 개체종 복원기법 개발 |
종명 | 등급 | 추진현황 | 추진기관 |
---|---|---|---|
꼬치동자개 | I | 2008년 1,000마리 야생방사(경남 황강, 위천천) |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감돌고기 | I | 2010년 2,000마리 야생방사(대전 유등천), 2011년 5,000마리 야생방사(충남 부여 웅천천) |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미호종개 | I | 2010년 4,000마리 야생방사(충남 공주 유구천), 2011년 5,000마리 야생방사(충남 공주 유구천) | 순천향대멸종위기어류복원센터 |
퉁사리 | I | 2011년 1,000마리 야생방사(광주 황룡강 | 순천향대멸종위기어류복원센터 |
얼룩새코미꾸리 | I | 2011년 5,000마리 야생방사(경남 임천) | 국립생물자원관 |
흰수마자 | I | 2011년 3,000마리 야생방사(경북 고령 회천) | 순천향대멸종위기어류복원센터 |
묵납자루 | II | 2011년 3,000마리 야생방사(경기 양평 흑천) | 순천향대멸종위기어류복원센터 |
종명 | 등급 | 추진현황 | 추진기관 |
---|---|---|---|
장수하늘소 | I | 2012년 인공번식 최초 성공(1쌍), 유충 12마리 야생 적응실험(오대산국립공원), 원주지방환경청 | 영월곤충박물관 |
꼬마잠자리 | II |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추진(2006∼2009), 대체 서식지 조성기법 개발, 개체종 복원기법 개발, 현지방사기법 개발 | |
붉은점모시나비 | II | 2006년 4개체로 증식 시작, 2012년 900개체 이상, 2011년 10쌍 야생방사(강원 삼척), 2012년 20쌍 |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
종명 | 등급 | 추진현황 | 추진기관 |
---|---|---|---|
광릉요강꽃 | I |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추진(2007∼2010), 증식ㆍ복원 및 서식지보전기술 개발, 조직배양기술 및 종자 발아조건 규명 | |
노랑만병초 | II | 종자 발아 및 생육특성 연구, 2011년 100주 증식 |
평강식물원
한국자생식물원 |
암매 | I | 종자 발아 및 조직배양 증식 | 한라수목원 |
개병풍 | II |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추진(2004∼2007), 대량번식법 개발, 종자 및 생체 보급체계 개발, 270주 증식 |
평강식물원
한국자생식물원 한택식물원 |
털복주머니란 | I |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추진(2007∼2010), 조직배양기술 및 종자 발아조건 규명 |
※ 추진기관을 누르시면 관련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