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잠두진딧물

Aphis (Aphis) fabae Scopoli, 176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잠두진딧물

Aphis (Aphis) fabae Scopoli, 176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잠두진딧물

Aphis (Aphis) fabae Scopoli, 176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잠두진딧물 Aphis (Aphis) fabae Scopoli, 1763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Hemiptera (노린재목) > Sternorrhyncha (진딧물아목) > Aphidoidea (진딧물상과) > Aphididae (진딧물과) > Aphidinae (진딧물아과) > Aphidini (진딧물족) > Aphidina (진딧물아족) > Aphis (진딧물속) > Aphis > fabae (잠두진딧물)
이명정보
[원기재명]
Aphis fabae Scopoli, 1763
[학명이명]
Aphis abietaria Walker, 1852
Aphis addita Walker, 1849
Aphis adducta Walker, 1849
Aphis advena Walker, 1849
Aphis aparinis Blanchard, 1840
Aphis apii Theobald, 1925
Aphis apocyni Koch, 1854
Aphis bervisiphona Theobald, 1913
Aphis carpathica Tshumak, 1995
Aphis chaerophylli Koch, 1854
Anuraphis cynariella Theobald, 1924
Aphis dahliae Mosley, 1841
Aphis erecta Guercio, 1911
Aphis fumariae Blanchard, 1840
Aphis hortensis Gmelin, 1790
Aphis indistincta Walker, 1849
Aphis inducta Walker, 1849
Aphis insularis Blanchard, 1923
Aphis ligustici Fabricius, 1779
Aphis phlomoidea Guercio, 1911
Aphis polianthis Sulzer, 1776
Aphis polyanthis Passerini, 1863
Myzus roseum Macchiati, 1881
Myzus rubra Macchiati, 1884
Myzus rubrum Guercio, 1900
Aphis silybi Passerini, 1861
Aphis thlaspeos Schrank, 1801
Aphis translata Walker, 1849
Aphis tuberosae Boyer de Fonscolombe, 1841
Aphis polianthis tuberosae Sulzer, 1776
Aphis valerianina Guercio, 1911
Aphis watsoni Theobald, 1929

감초, 고추 등 다양한 식물의 어린잎에 군집을 형성하는 광식성의 기주이동성 진딧물이다. 다리와 더듬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주로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을 띠고 광택을 갖고 있다. 전체적으로 흰 밀랍가루를 덮어쓰고 있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동, 유럽, 아프리카, 미국 [1]

    한국(중부, 남부) [1]

  • 시설재배지의 고추, 콩, 토마토 등에서 유성세대 없이 연중 발생한다. 유럽에서는 기주전환을 하며 완전생활환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차기주는 노박덩굴, 참빗살나무, 백당나무 등이 알려져 있고 이차기주는 콩과, 가지과, 국화과 식물 등 아주 다양하다. 다양한 식물에서 서식하는 생태적 특징 때문에 외국에서는 경제적 피해가 큰 종으로 경계하고 있다. 개미와 공생한다. 약충은 밀랍을 분비한다. 발생시기: 5-8월 서식부위: 잎 뒷면 기주식물: 콩, 돌콩, 토마토, 해바라기, 국화, 까마중, 뽀리뱅이, 지칭개 등 [2]

    기주: 감초, 고추, 곰취, 돌콩, 목화, 콩, 토마토, 해바라기 등 다양한 식물과에 서식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20), 한국의 진딧물 I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