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논우렁이 bookmark_add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종명
[원기재명]
Paludina malleata Reeve, 1863
[학명이명]
Cipangopaludina malleata
Cipangopaludina malleatus
Viviparus melleatus Reeve, 1863
[국명이명]
(북한명) 논고동
(북한명) 논우렁이
(북한명) 우렁
(북한명) 우렁이
(북한명) 토라

고설목 논우렁이과에 속하는 담수산 연체동물로 몸길이는 3cm쯤이다. 나선상 탑은 원추형이고 5층으로 되어 있다. 검은 갈색 또는 진한 녹색을 띠는 갈색이며, 짙은 색의 불규칙한 세로선이 있다. 입 부위(각구)는 달걀 모양이며, 입 부위의 테두리(순연)는 뒤로 젖혀지지 않고 얇다. 수초나 조개류 등을 섭식하며, 암수딴몸으로 체내수정을 한다. 전국의 수초가 있는 논, 저수지, 호수에 살며, 세계적으로는 인도차이나에서 북미대륙까지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인도차이나에서 북중국 지역, 일본, 북미대륙. 북미대륙의 개체군은 중국에서 이입된 것으로 밝혀졌다. [2]

    전국 [2]

  • 잡식성으로 수초나 조개류 등을 섭식한다. 암수딴몸으로 체내수정을 하며, 태생으로 암컷 몸 안에 자궁과 같은 주머니가 있어서 이곳에서 알을 부화시키며, 시기가 되면 제법 큰 어린 새끼를 낳는다. 50~100개 정도의 알을 가지고 있다. 예로부터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기농법에 많이 이용한다. 이는 우렁이류가 바닥의 유기물 찌꺼기들을 먹는 습성을 이용한 것이다. 수명은 대략 3~5년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이보다 긴 경우도 있으며, 늦가을 진흙질의 땅속으로 들어가 겨울을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변산과 노령이 전하는 생물이야기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0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47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촌가구급방 《백일방》 나력의 치료: 큰 우렁이를 소존성하여 깨진 것은 말려서 붙이고, 깨지지 않은 것은 기름을 섞어서 붙인다. 【껍질도 쓴다.】 약용 공개
    계절에 상관없이 냇물에서 우렁(논우렁이)를 잡아 술로 담가 파란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3개월 정도 지난 후 무릎통증에 마신다. 약용 공개
    계절에 상관없이 우렁(논우렁이)을 잡아 끓인 뒤 식혀서 귀고름 병에 귀에 넣는다. 약용 공개
    10~11월에 논에서 재배한 무를 반절로 자르고 여러 개의 구멍을 우렁이(논우렁이) 크기에 맞게 뚫어서 우렁이들을 각각 넣고 자른 무를 다시 원래대로 합쳐서 심은 후 봄에 해당 무에서 싹이 트고 꽃이 피면 월동한 우렁이를 잡아서 구우면 나오는 물을 귓병, 귀 아릴 때 귀에 넣거나 마시면 낫는다. 약용 공개
    촌가구급방 《식의심감》 소갈로 계속 물을 마시고 소변이 잦을 때의 치료 : 우렁이 5되를 물 1말에 하룻밤 담갔다가 갈증이 나면 마시는데, 매일 한 차례씩 물을 바꾼다. 살아 있는 우렁이가 지극히 효과가 있다. 약용 공개
    시기에 관계없이 논에서 민물고동(논우렁이)를 채집해 천식이 있을 때 소주에 담가두고 퍼렇게 변하면 마신다. 약용 공개
    우렁이(논우렁이)를 산 채로 찧어서 옻 오른데 사용한다. 약용 공개
    해동농서 생우렁이 3개 소금 1 숟가락을 넣고 껍데기와 함께 찧어 배꼽 아래 1치 3푼 되는 곳을 덮고 비단으로 싸매주면 즉시 변통한다. 대변불통(大便不通)에 대한 구급방(救急方) 공개
    촌가구급방 《기효양방》 투정창 치료 : 우렁이를 껍질 채로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경분(염화수은)을 넣어서 환부에 문지른다. 약용 공개
    쇠스랑에 다쳐서 상처에 구더기가 생겼는데 우렁, 개똥, 미나리뿌렝이를 같이 넣고 찧어 붙여주었더니 나음 계속 싱싱한 것으로 바꿔 붙여주었음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0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47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촌가구급방 《백일방》 나력의 치료: 큰 우렁이를 소존성하여 깨진 것은 말려서 붙이고, 깨지지 않은 것은 기름을 섞어서 붙인다. 【껍질도 쓴다.】 약용 공개
    계절에 상관없이 냇물에서 우렁(논우렁이)를 잡아 술로 담가 파란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3개월 정도 지난 후 무릎통증에 마신다. 약용 공개
    계절에 상관없이 우렁(논우렁이)을 잡아 끓인 뒤 식혀서 귀고름 병에 귀에 넣는다. 약용 공개
    10~11월에 논에서 재배한 무를 반절로 자르고 여러 개의 구멍을 우렁이(논우렁이) 크기에 맞게 뚫어서 우렁이들을 각각 넣고 자른 무를 다시 원래대로 합쳐서 심은 후 봄에 해당 무에서 싹이 트고 꽃이 피면 월동한 우렁이를 잡아서 구우면 나오는 물을 귓병, 귀 아릴 때 귀에 넣거나 마시면 낫는다. 약용 공개
    촌가구급방 《식의심감》 소갈로 계속 물을 마시고 소변이 잦을 때의 치료 : 우렁이 5되를 물 1말에 하룻밤 담갔다가 갈증이 나면 마시는데, 매일 한 차례씩 물을 바꾼다. 살아 있는 우렁이가 지극히 효과가 있다. 약용 공개
    시기에 관계없이 논에서 민물고동(논우렁이)를 채집해 천식이 있을 때 소주에 담가두고 퍼렇게 변하면 마신다. 약용 공개
    우렁이(논우렁이)를 산 채로 찧어서 옻 오른데 사용한다. 약용 공개
    해동농서 생우렁이 3개 소금 1 숟가락을 넣고 껍데기와 함께 찧어 배꼽 아래 1치 3푼 되는 곳을 덮고 비단으로 싸매주면 즉시 변통한다. 대변불통(大便不通)에 대한 구급방(救急方) 공개
    촌가구급방 《기효양방》 투정창 치료 : 우렁이를 껍질 채로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경분(염화수은)을 넣어서 환부에 문지른다. 약용 공개
    쇠스랑에 다쳐서 상처에 구더기가 생겼는데 우렁, 개똥, 미나리뿌렝이를 같이 넣고 찧어 붙여주었더니 나음 계속 싱싱한 것으로 바꿔 붙여주었음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446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IV0000026762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전라남도 영광... / 2006-10-11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03514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 2008-07-21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03540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강원도 정선군... / 2008-07-21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13522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강원도 강릉시... 염석천 / 2007-08-20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14309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 2007-05-19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18516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전라남도 영광... / 2006-08-30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18525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전라남도 영광... / 2006-08-30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20908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충청남도 예산... / 2007-05-16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20919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충청남도 예산... / 2007-03-16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21340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충청남도 서산... / 2006-07-08 액침표본 1건

    소재 (총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90779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경상남도 함안... 남강 / 2010-07-27 조직 1건
    NIBRGR0000090934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경상남도 함안... 남강 / 2010-07-27 DNA 1건
    NIBRGR0000121600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경상북도 경주... / 2011-07-04 조직 1건
    NIBRGR0000122028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경상북도 경주... / 2011-07-04 조직 1건
    NIBRGR0000122029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경상북도 경주... / 2011-07-04 조직 1건
    NIBRGR0000158464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경상북도 경주... / 2011-07-04 DNA 1건
    NIBRGR0000631300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 논우렁이 경상북도 경주... / 2011-07-04 DNA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1863) 논우렁이 COI LCO/HCO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박갑만, 이준상, 송호복, 권오길 (1988) 한국산 논우렁이 (논우렁이과)의 세포학적 연구. 한국패류학회지 4 (1) : 42 – 49

      강원도 춘천시 ( 198804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