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ctinopterygii (조기강) > Pleuronectiformes (가자미목) > Pleuronectidae (가자미과) > Platichthys (강도다리속) > stellatus (강도다리)

몸길이는 40cm 정도이고 둥근 마름모꼴이다. 눈은 보통 몸의 왼쪽에 있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여러 개의 흑색 띠가 있다. 눈 있는 쪽 색깔은 짙은 갈색, 눈 없는 쪽은 연한 노란색을 띤다. 다른 가자미과 어류와 다르게 눈의 위치는 넙치와 같은 위치에 몰려 있다. 수심 150m 내외의 연안역 저층에 서식하며, 종종 하천에 출현하기도 한다. 소형 갑각류, 연체류, 갯지렁이류 등을 먹는다. 2~3월에 강어귀에 알을 낳는다. 우리나라 동해 북부에 출현한다. 일본 북부, 오호츠크 해, 베링 해, 캘리포니아 남부 등지에 분포한다. 회, 건어물, 찜, 구이 등으로 이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북부, 오호츠크 해, 베링 해, 캘리포니아 남부에 분포한다. [2]

    우리나라 동해 북부에 출현한다. [2]

  • 수심 150m 내외의 연안역 저층에 서식하며, 종종 하천에 출현하기도 하며, 소형 갑각류, 연체류, 갯지렁이류를 섭식한다. 산란기는 2~3월이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2), 유용자생어류100선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0건)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P0000004928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강원도 강릉시... / 2005-08-18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9103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경상북도 울진... / 2008-11-24 액침표본 1건
    NIBR-P0000015892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강원도 강릉시... / 2011-12-14 액침표본 1건
    NIBR-P0000018350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경상북도 울진... / 2012-06-08 액침표본 1건
    NIBR-P0000019703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경상남도 거제... 남해 / 2012-03-21 액침표본 1건
    NIBR-P0000020153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강원도 동해시... 동해 / 2013-04-13 액침표본 1건
    NIBR-P0000020154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강원도 동해시... 동해 / 2013-04-13 액침표본 1건
    NIBR-P0000021805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경상남도 거제... / 2013-09-10 액침표본 1건
    NIBR-P0000024010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7)" / 강도다리 강원도 고성군... 오호천 / 2014-06-28 액침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김익수 , 윤창호 ( Ik Soo Kim , Chang Ho Youn ) (1994) 한국산 가자미아목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6 (2) : 99 – 131

      경상도 포항시 죽도동 ( 19930813 19234-19237 ) 강원도 삼척군 근덕면 ( 19930416 19227 )
    • 변순규 ( Soon Gyu Byun ) , 이배익 ( Bae Ik Lee ) , 이종하 ( Jong Ha Lee ) , 구학동 ( Hak Dong Ku ) , 박상언 ( Sang Un Park ) , 윤성민 ( Seong Min Yun ) , 황선영 ( Seon Young Hwang ) , 김이청 ( Yi Cheong Kim ) , 한형균 ( Hyung Gyun Han ) (2007)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난발생과 자치어의 형태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9 (4) : 350 – 359

      한국 ( )
    • 오승용 ( Sung Yong Oh ) , 장요순 ( Yo Soon Jang ) , 노충환 ( Choong Hwan Noh ) , 최희정 ( Hee Jung CHoi ) , 명정구 ( Jung Goo Myoung ) , 김종관 ( Chong Kwan Kim ) (2009)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치어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한국어류학회지 21 (1) : 1 – 6

      한국 강원도 속초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