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Á.Löv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Á.Löv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Á.Löv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Á.Löve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ryophyllidae (석죽아강) > Polygonales (마디풀목) > Polygonaceae (마디풀과) > Fallopia (닭의덩굴속) > convolvulus (나도닭의덩굴)
이명정보
[원기재명]
Polygonum convolvulus L.
[학명이명]
Tiniaria convolvulus Webb & Moq.
Bilderdykia convolvulus Dumort.
Fagopyrum convolvulus Gross
Reynoutria convolvulus Shinners

양지바른 들판, 길가, 숲속에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으며, 가지를 치고 길이 5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삼각형으로 길이 3~5cm, 폭 2~4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심장형, 가장자리는 둔하다. 잎자루는 길이 1~5cm이다. 잎집에 짧고 미세한 돌기가 있다. 꽃은 5~10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녹백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타원형이고, 표면에 반구형의 돌기가 있으며, 광택이 없다. 가축의 먹이로 이용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닭의덩굴속 식물 중에서 열매가 맺은 후에도 화피에 날개가 없는 점에서 구분된다. 열매는 가축의 먹이로 이용한다. 모밀덩굴, 닭모밀덩굴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2]

    전국 [2]

  •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10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