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나도닭의덩굴 bookmark_add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종명
[원기재명]
Polygonum convolvulus L.
[학명이명]
Tiniaria convolvulus Webb & Moq.
Bilderdykia convolvulus Dumort.
Fagopyrum convolvulus Gross
Reynoutria convolvulus Shinners

양지바른 들판, 길가, 숲속에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으며, 가지를 치고 길이 5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삼각형으로 길이 3~5cm, 폭 2~4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심장형, 가장자리는 둔하다. 잎자루는 길이 1~5cm이다. 잎집에 짧고 미세한 돌기가 있다. 꽃은 5~10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녹백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타원형이고, 표면에 반구형의 돌기가 있으며, 광택이 없다. 가축의 먹이로 이용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닭의덩굴속 식물 중에서 열매가 맺은 후에도 화피에 날개가 없는 점에서 구분된다. 열매는 가축의 먹이로 이용한다. 모밀덩굴, 닭모밀덩굴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2]

    전국 [2]

  •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10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9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2,3-cis-2R,3R-(-)-epiafzelechin-3-O-p-coumarate, a novel flavan-3-ol isolated from Fallopia convolvulus seed, is an estrogen receptor agonist in human cell lines. Jennifer C Brennan,Michael S Denison,Dirk M Holstege,Prokopios Magiatis,Jerry L Dallas,Elisa G Gutierrez,Anatoly A Soshilov,James R Millam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 조회
    Survival of weed seeds and animal parasite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ion at meso- and thermophilic conditions. Anders Johansen,Henrik B Nielsen,Christian M Hansen,Christian Andreasen,Josefine Carlsgart,Henrik Hauggard-Nielsen,Allan Roepstorff Waste management (New York, N.Y.) 2012 조회
    Wild buckwheat is unlikely to pose a risk to buckwheat-allergic individuals. Julie A Nordlee,Rakhi Panda,Joseph L Baumert,Richard E Goodman,Steve L Taylor Journal of food science 2012 조회
    Three new flavonoids from the active extract of Fallopia convolvulus. Chao-Feng Zhang,Jing Chen,Li-Qing Zhao,Dan Zhang,Mian Zhang,Zheng-Tao Wang Journal of Asian natural products research 2011 조회
    [Chemical constituents from aerial parts of Fallopia convolvulus]. Jing Chen,Chaofeng Zhang,Mian Zhang Zhongguo Zhong yao za zhi = Zhongguo zhongyao zazhi =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2011 조회
    Performance of potential non-crop or wild species under OECD 208 testing guideline study conditions for terrestrial non-target plants. Ken Pallett,Jon Cole,Christian Oberwalder,John Porch Pest management science 2006 조회
    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 Micheal D K Owen,Ian A Zelaya Pest management science 2005 조회
    Relationships between sulfonylurea herbicide treatment of host plants and the performance of herbivorous insects. C Kjaer,U Heimbach Pest management science 2002 조회
    Toxicity and bioaccumulation of copper to black bindweed (Fallopia convolvulus) in relation to bioavailability and the age of soil contamination. M B Pedersen,C Kjaer,N Elmegaard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2000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0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9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2,3-cis-2R,3R-(-)-epiafzelechin-3-O-p-coumarate, a novel flavan-3-ol isolated from Fallopia convolvulus seed, is an estrogen receptor agonist in human cell lines. Jennifer C Brennan,Michael S Denison,Dirk M Holstege,Prokopios Magiatis,Jerry L Dallas,Elisa G Gutierrez,Anatoly A Soshilov,James R Millam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 조회
    Survival of weed seeds and animal parasite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ion at meso- and thermophilic conditions. Anders Johansen,Henrik B Nielsen,Christian M Hansen,Christian Andreasen,Josefine Carlsgart,Henrik Hauggard-Nielsen,Allan Roepstorff Waste management (New York, N.Y.) 2012 조회
    Wild buckwheat is unlikely to pose a risk to buckwheat-allergic individuals. Julie A Nordlee,Rakhi Panda,Joseph L Baumert,Richard E Goodman,Steve L Taylor Journal of food science 2012 조회
    Three new flavonoids from the active extract of Fallopia convolvulus. Chao-Feng Zhang,Jing Chen,Li-Qing Zhao,Dan Zhang,Mian Zhang,Zheng-Tao Wang Journal of Asian natural products research 2011 조회
    [Chemical constituents from aerial parts of Fallopia convolvulus]. Jing Chen,Chaofeng Zhang,Mian Zhang Zhongguo Zhong yao za zhi = Zhongguo zhongyao zazhi =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2011 조회
    Performance of potential non-crop or wild species under OECD 208 testing guideline study conditions for terrestrial non-target plants. Ken Pallett,Jon Cole,Christian Oberwalder,John Porch Pest management science 2006 조회
    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 Micheal D K Owen,Ian A Zelaya Pest management science 2005 조회
    Relationships between sulfonylurea herbicide treatment of host plants and the performance of herbivorous insects. C Kjaer,U Heimbach Pest management science 2002 조회
    Toxicity and bioaccumulation of copper to black bindweed (Fallopia convolvulus) in relation to bioavailability and the age of soil contamination. M B Pedersen,C Kjaer,N Elmegaard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2000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0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3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35524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경상남도 함안... 군유산 / 1998-06-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61303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강원도 철원군... / 2008-07-2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61328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강원도 철원군... / 2008-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64398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경상북도 봉화... 묘산 / 2004-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65460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경기도 수원시... / 2004-07-19 건조표본 2건
    NIBRVP0000229932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전라남도 무안... 승달산 / 2003-09-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9934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제주특별자치도... / 2001-06-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55427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전라남도 장성... 입암산 / 2009-05-3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56536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강원도 강릉시... 석병산 / 2009-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6569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전라남도 영광... / 2010-08-1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386945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경기도 부천시... / 2016-09-15 종자 1건
    NIBRGR0000603859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전라북도 군산... / 2019-05-21 조직 1건
    NIBRGR0000619417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전라북도 군산... / 2019-05-21 DNA 1건
    NIBRGR0000675439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 나도닭의덩굴 / 2021-08-27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나도닭의덩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