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QRCODE

산사나무 bookmark_add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종명
[원기재명]
Crataegus pinnatifida f. betulifolia (자작잎산사)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경사 지대에 자라는 낙엽 작은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4~8m이며, 가시가 있고, 줄기껍질은 회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도란형, 길이 6~8cm, 폭 5~6cm, 깃꼴로 갈라진다. 잎 뒷면은 맥을 따라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6cm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15~20개가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고, 지름 1.0~2.0cm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겉에 털이 난다. 열매는 이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고 흰 반점이 있다. 열매는 이과이며, 둥글고, 9~10월에 붉게 익고 흰 반점이 있다.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아광나무는 잎이 얕게 갈라지며, 뒷면에 잔털이 많으므로 구분된다. 또한 잎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지 않는 미국산사와 구별된다. 관상용, 밀원용으로 심으며, 목재는 공예품을 만든다. 열매는 약용 및 식용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중국 [3]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2]

    전국 [2]

  • 낙엽활엽수로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맺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3] 국립생물자원관(2012),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135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Comparation of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in High-Fat Emulsion-Induced Hyperlipidemia Rats. Feng Shao,Lifei Gu,Huijuan Chen,Ronghua Liu,Huilian Huang,Gang Ren Comparation of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in High-Fat Emulsion-Induced Hyperlipidemia Rats. 조회
    Neuroprotective effects of hawthorn leaf flavonoids in Aβ<sub>25-35</sub> -induced Alzheimer's disease model. [Ying Xu, Ting Deng, Linjiang Xie, Tao Qin, Tao Sun] Phytotherapy research : PTR 2023
    Rapid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by NIRS and chemometrics Ye, Tianya;Zheng, Yuhui;Guan, Ying;Sun, Yue;Chen, Chao;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2023
    한방천연물 및 약용버섯을 첨가한 조미간장소스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정엽;박소영;박시현;염은선;정우용;김수민;송효남;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23
    Antioxidant and Anti-α-Glucosidase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Major Bioactive Components from the Fruits of <i>Crataegus pinnatifida</i>. [Yen-Ting Lin, Hsiang-Ru Lin, Chang-Syun Yang, Chia-Ching Liaw, Ping-Jyun Sung, Yueh-Hsiung Kuo, Ming-Jen Cheng, Jih-Jung Chen] Antioxidants (Basel, Switzerland) 2022
    Antioxidant and Anti-α-Glucosidase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Major Bioactive Components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Lin, Yen-Ting;Lin, Hsiang-Ru;Yang, Chang-Syun;Liaw, Chia-Ching;Sung, Ping-Jyun;Kuo, Yueh-Hsiung;Cheng, Ming-Jen;Chen, Jih-Jung; Antioxidants 2022
    Antioxidant potential and in vitro inhibition of starch digestion of flavonoids from <i>Crataegus pinnatifida</i>. [Xin Huang, Yuanyuan Bian, Tianzhi Liu, Zhuang Xu, Ziqi Song, Fei Wang, Tuoping Li, Suhong Li] Heliyon 2022
    Antioxidant potential and in vitro inhibition of starch digestion of flavonoids from Crataegus pinnatifida Huang, Xin;Bian, Yuanyuan;Liu, Tianzhi;Xu, Zhuang;Song, Ziqi;Wang, Fei;Li, Tuoping;Li, Suhong; Heliyon 2022
    Botany,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i>Crataegus pinnatifida</i> (Chinese hawthorn): a review Zhang, Shi-Yao;Sun, Xiao-Lei;Yang, Xing-Liang;Shi, Peng-Liang;Xu, Ling-Chuan;Guo, Qing-Mei;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22
    Comparative metabolomic analysis of different-colored hawthorn berries (Crataegus pinnatifida) provides a new interpretation of color trait and antioxidant activity Yang, Chunjie;Wang, Xin;Zhang, Ju;Li, Nan;Wu, Ruixiao;Wang, Tian;Ding, Wu; LWT-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2

    특허 (52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A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UNCARIA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DORON, Ravid 2021-12-09 조회
    SHAN-ZHA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DORON, Ravid 2021-06-08 조회
    Herbal Supplement for Liver Purification Wang Nan Yip 2019-08-22 조회
    NOVEL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LEE, Yong Hyun|이용현|BECK, Bo Ram|백보람|KANG, Ji Hee|강지희|JEONG, Do Yeun|정도윤|PARK, Gun Seok|박건석|IM, Sung Hoon|임성훈|SONG, Won Ho|송원호 2019-06-10 조회
    NOVEL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Yong Hyun LEE|Bo Ram BECK|Ji Hee KANG|Do Yeun JEONG|Gun Seok PARK|Sung Hoon IM|Won Ho SONG 2019-06-10 조회
    COMBINATION OF OFFICINAL PLANT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SLEEP DISORDERS Pizzoni, Angelo|Pizzoni, Paolo 2018-11-20 조회
    种新的雪梨猪肺汤配方 | A new pear and pork lung soup formulation WEI, Wei 2016-05-31 조회
    Culture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flavonoid content and varieties of auricularia auricula | 种提高黑木耳黄酮含量和种类的培养方法 | Culture method for increasing black fungus flavone content and species HE, Ting-ting | JIN, Zhi-min | WANG, Bao-qing | CHAI, Jun-hong | ZHONG, Du-bo 2016-04-19 조회
    种阿胶大果山楂及其制备方法 | Donkey-hide gelatin crataegus pinnatifid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ZHANG, Xiao-sheng | ZHANG, Gu-quan 2016-04-15 조회
    MEDICINAL PLANTS EXTRACT USING PROCESSING OF HERBAL MEDICINE AND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HE SAME PARK, Jun Seong | PARK, Hye Yoon | KIM, Dong Hyun | MOON, Eun Jeong | CHUNG, Ji Hye | LEE, Jae Kyoung | KIM, Duck Hee | KIM, Han Kon 2016-04-07 조회

    전통지식(문헌) (72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의본 추맥(껍질을 남긴 채 볶는다) 5돈, 인동(껍질과 마디를 제거한 뒤 볶는다) 3돈, 생률(겉껍질을 남긴다) 9개(자른다), 생강 1덩이(잘게 자른다). 혹은 교맥(껍질을 남긴 채 볶는다) 2돈과 총백 4뿌리를 더해 달여 먹는다. 혹 식상(食傷)일 경우에는 산사와 신곡을 더한다 약용 공개
    의본 방법은 고약을 만드는 것과 같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트림하거나 신물을 토하거나 멀건 물을 토하는 경우는 창출(蒼朮), 천궁(川芎), 사인, 향부자(香附子), 신곡(神麯), 산사(山査)를 쓰는데, 목향(木香)을 조금 넣어서 막힌 기운을 잘 돌게 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관중양위탕(寬中養胃湯) 흉격(胷膈)이 창만하여 음식이 당기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창출(蒼朮) - 볶은 것, 4냥 -, 향부자(香附子)〔香附〕 - 7푼 -, 지각(枳殼)ㆍ후박(厚朴)ㆍ곽향(藿香)ㆍ반하(半夏)ㆍ복령(茯苓) - 각 5푼 -, 신곡(神麯) - 볶은 것 - ㆍ맥아(麥芽) - 볶은 것 - ㆍ지실(枳實) - 각 4푼 -, 산사(山査)ㆍ사인(砂仁) - 갈아 둔 것 - ㆍ빈랑(檳榔)ㆍ청피(靑皮)ㆍ감초(甘草) - 구운 것, 각 3푼 -, 진피(陳皮) - 1돈 -. 위의 약들을 썰어 1제(劑)로 하여, 생강〔薑〕 3쪽, 대추〔棗〕 1알을 함께 넣고 물에 달인 다음 밥 먹은 지 한참 뒤에 복용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보화환(保和丸). 일체의 식적(食積)을 치료하고 비장의 기운을 튼튼하게 한다. 산사(山査) - 6냥 -, 신곡(神麯)ㆍ반하(半夏)ㆍ복령(茯苓) - 각 2냥 -, 진피(陳皮)ㆍ연교(連翹)ㆍ나복자(蘿蔔子) - 각 1냥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찐 떡〔蒸餠〕과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매번 70환씩 끓인 물과 함께 넘긴다. - 《의학입문(醫學入門)》에 나온다. ○백출(白朮) 6냥을 더한 처방은 이름을 ‘대안환(大安丸)’이라고 한다. - 약용 공개
    의본 산사육(씨를 빼고 곱게 가루를 낸다) 1냥, 계피(곱게 가루를 낸다) 1돈, 강물 1되. (위의 약을) 같이 달여 쌀가루를 넣고 죽을 만들어 꿀과 복용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청위이격음(淸胃利膈飮 위장과 흉격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처방) 오래도록 기침을 하며 새벽녘에 극심해지는 증을 치료한다. 폐를 고르게 하고 기침을 멎게 하는 약을 여러 번 복용하고서도 약효를 못 본 경우는 음식을 많이 먹어서 위장의 기운이 막히고 맑은 기운이 퍼져 나가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침이 나는 것이다. 밥 먹는 양을 삼분의 일 정도 줄이고 이 약을 복용하게 한다. 진피(陳皮)ㆍ맥아(麥芽) - 각 1돈 -, 산사(山査)ㆍ백출(白朮)ㆍ복령(茯苓) - 각 1돈 2푼 -, 지실(枳實)ㆍ청피(靑皮) - 각 8푼 -, 반하(半夏) - 6푼 -, 향부자(香附子) - 1돈 -. 위의 약들을 물 2잔에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수시로 복용한다. 상한(傷寒)병에 표증인지 이증인지 애매한 경우 쓰는 약이다. - 《의방집략(醫方集略)》 〈위문(胃門)〉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양명경(陽明經)〔陽明〕에 침투한 습사ㆍ열사가 대장(大腸)에 들어가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나고, 아랫배에서 음모(陰毛)가 자라는 부위〔毛際〕 사이가 답답하여 참을 수 없는 경우. 산치(山梔), 도인(桃仁), 지핵(枳核), 산사(山査)에 생강〔薑〕을 넣어 달인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평위산(平胃散 본문에 나온다)에 청피(靑皮), 볶은 산사육(山査肉), 맥아(麥芽), 사인(砂仁), 인삼(人參)을 더하고, 창출(蒼朮) 분량의 1/3은 백출(白朮)로 바꿔서 쓴다. 열이 있으면 사인을 빼고 볶은 황련(黃連)을 더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만형원(蔓荊圓) 대풍창을 치료한다. 만형자ㆍ창이자(蒼耳子)ㆍ구기자(枸杞子)ㆍ우방자(牛蒡子) 【볶은 것】 ㆍ흑견우자〔黑牽牛〕 【볶은 것】 ㆍ참깨ㆍ백지(白芷)ㆍ하수오(何首烏)ㆍ위령선(威靈仙)ㆍ형개수(荊芥穗)ㆍ독활(獨活)ㆍ질려(蒺藜) 【볶아서 가시를 제거한 것】 ㆍ세신(細辛) 【흙과 털을 제거한 것】 ㆍ백강잠(白殭蠶) 【볶아서 털을 제거한 것】 ㆍ도인두(道人頭) 【가시는 제거하고 씨만 햇볕에 말린 것, 각 반냥】, 백협자(白莢刺) 【검게 볶은 것】 ㆍ고삼(苦蔘)〔苦參〕ㆍ대초오(大草烏) 【껍질과 끝부분을 제거한 날 것, 각 1냥.】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대풍유와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圓〕을 만들고 매번 24환〔圓〕씩 식전에 찻물로 넘긴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에 나온다.】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135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Comparation of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in High-Fat Emulsion-Induced Hyperlipidemia Rats. Feng Shao,Lifei Gu,Huijuan Chen,Ronghua Liu,Huilian Huang,Gang Ren Comparation of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in High-Fat Emulsion-Induced Hyperlipidemia Rats. 조회
    Neuroprotective effects of hawthorn leaf flavonoids in Aβ<sub>25-35</sub> -induced Alzheimer's disease model. [Ying Xu, Ting Deng, Linjiang Xie, Tao Qin, Tao Sun] Phytotherapy research : PTR 2023
    Rapid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by NIRS and chemometrics Ye, Tianya;Zheng, Yuhui;Guan, Ying;Sun, Yue;Chen, Chao;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2023
    한방천연물 및 약용버섯을 첨가한 조미간장소스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정엽;박소영;박시현;염은선;정우용;김수민;송효남;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23
    Antioxidant and Anti-α-Glucosidase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Major Bioactive Components from the Fruits of <i>Crataegus pinnatifida</i>. [Yen-Ting Lin, Hsiang-Ru Lin, Chang-Syun Yang, Chia-Ching Liaw, Ping-Jyun Sung, Yueh-Hsiung Kuo, Ming-Jen Cheng, Jih-Jung Chen] Antioxidants (Basel, Switzerland) 2022
    Antioxidant and Anti-α-Glucosidase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Major Bioactive Components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Lin, Yen-Ting;Lin, Hsiang-Ru;Yang, Chang-Syun;Liaw, Chia-Ching;Sung, Ping-Jyun;Kuo, Yueh-Hsiung;Cheng, Ming-Jen;Chen, Jih-Jung; Antioxidants 2022
    Antioxidant potential and in vitro inhibition of starch digestion of flavonoids from <i>Crataegus pinnatifida</i>. [Xin Huang, Yuanyuan Bian, Tianzhi Liu, Zhuang Xu, Ziqi Song, Fei Wang, Tuoping Li, Suhong Li] Heliyon 2022
    Antioxidant potential and in vitro inhibition of starch digestion of flavonoids from Crataegus pinnatifida Huang, Xin;Bian, Yuanyuan;Liu, Tianzhi;Xu, Zhuang;Song, Ziqi;Wang, Fei;Li, Tuoping;Li, Suhong; Heliyon 2022
    Botany,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i>Crataegus pinnatifida</i> (Chinese hawthorn): a review Zhang, Shi-Yao;Sun, Xiao-Lei;Yang, Xing-Liang;Shi, Peng-Liang;Xu, Ling-Chuan;Guo, Qing-Mei;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22
    Comparative metabolomic analysis of different-colored hawthorn berries (Crataegus pinnatifida) provides a new interpretation of color trait and antioxidant activity Yang, Chunjie;Wang, Xin;Zhang, Ju;Li, Nan;Wu, Ruixiao;Wang, Tian;Ding, Wu; LWT-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2

    특허 (52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A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UNCARIA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DORON, Ravid 2021-12-09 조회
    SHAN-ZHA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DORON, Ravid 2021-06-08 조회
    Herbal Supplement for Liver Purification Wang Nan Yip 2019-08-22 조회
    NOVEL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LEE, Yong Hyun|이용현|BECK, Bo Ram|백보람|KANG, Ji Hee|강지희|JEONG, Do Yeun|정도윤|PARK, Gun Seok|박건석|IM, Sung Hoon|임성훈|SONG, Won Ho|송원호 2019-06-10 조회
    NOVEL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Yong Hyun LEE|Bo Ram BECK|Ji Hee KANG|Do Yeun JEONG|Gun Seok PARK|Sung Hoon IM|Won Ho SONG 2019-06-10 조회
    COMBINATION OF OFFICINAL PLANT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SLEEP DISORDERS Pizzoni, Angelo|Pizzoni, Paolo 2018-11-20 조회
    种新的雪梨猪肺汤配方 | A new pear and pork lung soup formulation WEI, Wei 2016-05-31 조회
    Culture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flavonoid content and varieties of auricularia auricula | 种提高黑木耳黄酮含量和种类的培养方法 | Culture method for increasing black fungus flavone content and species HE, Ting-ting | JIN, Zhi-min | WANG, Bao-qing | CHAI, Jun-hong | ZHONG, Du-bo 2016-04-19 조회
    种阿胶大果山楂及其制备方法 | Donkey-hide gelatin crataegus pinnatifid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ZHANG, Xiao-sheng | ZHANG, Gu-quan 2016-04-15 조회
    MEDICINAL PLANTS EXTRACT USING PROCESSING OF HERBAL MEDICINE AND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HE SAME PARK, Jun Seong | PARK, Hye Yoon | KIM, Dong Hyun | MOON, Eun Jeong | CHUNG, Ji Hye | LEE, Jae Kyoung | KIM, Duck Hee | KIM, Han Kon 2016-04-07 조회

    전통지식(문헌) (72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의본 추맥(껍질을 남긴 채 볶는다) 5돈, 인동(껍질과 마디를 제거한 뒤 볶는다) 3돈, 생률(겉껍질을 남긴다) 9개(자른다), 생강 1덩이(잘게 자른다). 혹은 교맥(껍질을 남긴 채 볶는다) 2돈과 총백 4뿌리를 더해 달여 먹는다. 혹 식상(食傷)일 경우에는 산사와 신곡을 더한다 약용 공개
    의본 방법은 고약을 만드는 것과 같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트림하거나 신물을 토하거나 멀건 물을 토하는 경우는 창출(蒼朮), 천궁(川芎), 사인, 향부자(香附子), 신곡(神麯), 산사(山査)를 쓰는데, 목향(木香)을 조금 넣어서 막힌 기운을 잘 돌게 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관중양위탕(寬中養胃湯) 흉격(胷膈)이 창만하여 음식이 당기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창출(蒼朮) - 볶은 것, 4냥 -, 향부자(香附子)〔香附〕 - 7푼 -, 지각(枳殼)ㆍ후박(厚朴)ㆍ곽향(藿香)ㆍ반하(半夏)ㆍ복령(茯苓) - 각 5푼 -, 신곡(神麯) - 볶은 것 - ㆍ맥아(麥芽) - 볶은 것 - ㆍ지실(枳實) - 각 4푼 -, 산사(山査)ㆍ사인(砂仁) - 갈아 둔 것 - ㆍ빈랑(檳榔)ㆍ청피(靑皮)ㆍ감초(甘草) - 구운 것, 각 3푼 -, 진피(陳皮) - 1돈 -. 위의 약들을 썰어 1제(劑)로 하여, 생강〔薑〕 3쪽, 대추〔棗〕 1알을 함께 넣고 물에 달인 다음 밥 먹은 지 한참 뒤에 복용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보화환(保和丸). 일체의 식적(食積)을 치료하고 비장의 기운을 튼튼하게 한다. 산사(山査) - 6냥 -, 신곡(神麯)ㆍ반하(半夏)ㆍ복령(茯苓) - 각 2냥 -, 진피(陳皮)ㆍ연교(連翹)ㆍ나복자(蘿蔔子) - 각 1냥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찐 떡〔蒸餠〕과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매번 70환씩 끓인 물과 함께 넘긴다. - 《의학입문(醫學入門)》에 나온다. ○백출(白朮) 6냥을 더한 처방은 이름을 ‘대안환(大安丸)’이라고 한다. - 약용 공개
    의본 산사육(씨를 빼고 곱게 가루를 낸다) 1냥, 계피(곱게 가루를 낸다) 1돈, 강물 1되. (위의 약을) 같이 달여 쌀가루를 넣고 죽을 만들어 꿀과 복용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청위이격음(淸胃利膈飮 위장과 흉격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처방) 오래도록 기침을 하며 새벽녘에 극심해지는 증을 치료한다. 폐를 고르게 하고 기침을 멎게 하는 약을 여러 번 복용하고서도 약효를 못 본 경우는 음식을 많이 먹어서 위장의 기운이 막히고 맑은 기운이 퍼져 나가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침이 나는 것이다. 밥 먹는 양을 삼분의 일 정도 줄이고 이 약을 복용하게 한다. 진피(陳皮)ㆍ맥아(麥芽) - 각 1돈 -, 산사(山査)ㆍ백출(白朮)ㆍ복령(茯苓) - 각 1돈 2푼 -, 지실(枳實)ㆍ청피(靑皮) - 각 8푼 -, 반하(半夏) - 6푼 -, 향부자(香附子) - 1돈 -. 위의 약들을 물 2잔에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수시로 복용한다. 상한(傷寒)병에 표증인지 이증인지 애매한 경우 쓰는 약이다. - 《의방집략(醫方集略)》 〈위문(胃門)〉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양명경(陽明經)〔陽明〕에 침투한 습사ㆍ열사가 대장(大腸)에 들어가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나고, 아랫배에서 음모(陰毛)가 자라는 부위〔毛際〕 사이가 답답하여 참을 수 없는 경우. 산치(山梔), 도인(桃仁), 지핵(枳核), 산사(山査)에 생강〔薑〕을 넣어 달인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평위산(平胃散 본문에 나온다)에 청피(靑皮), 볶은 산사육(山査肉), 맥아(麥芽), 사인(砂仁), 인삼(人參)을 더하고, 창출(蒼朮) 분량의 1/3은 백출(白朮)로 바꿔서 쓴다. 열이 있으면 사인을 빼고 볶은 황련(黃連)을 더한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만형원(蔓荊圓) 대풍창을 치료한다. 만형자ㆍ창이자(蒼耳子)ㆍ구기자(枸杞子)ㆍ우방자(牛蒡子) 【볶은 것】 ㆍ흑견우자〔黑牽牛〕 【볶은 것】 ㆍ참깨ㆍ백지(白芷)ㆍ하수오(何首烏)ㆍ위령선(威靈仙)ㆍ형개수(荊芥穗)ㆍ독활(獨活)ㆍ질려(蒺藜) 【볶아서 가시를 제거한 것】 ㆍ세신(細辛) 【흙과 털을 제거한 것】 ㆍ백강잠(白殭蠶) 【볶아서 털을 제거한 것】 ㆍ도인두(道人頭) 【가시는 제거하고 씨만 햇볕에 말린 것, 각 반냥】, 백협자(白莢刺) 【검게 볶은 것】 ㆍ고삼(苦蔘)〔苦參〕ㆍ대초오(大草烏) 【껍질과 끝부분을 제거한 날 것, 각 1냥.】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대풍유와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圓〕을 만들고 매번 24환〔圓〕씩 식전에 찻물로 넘긴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에 나온다.】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45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00017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전라북도 남원... 천황산 / 2006-08-18 종자/포자 1건
    NIBRVP0000100117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674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111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서울특별시 은... / 2001-07-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213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삼척시... 덕항산 / 1997-05-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215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철원군... 적근산 / 2000-08-3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216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정선군... / 2000-06-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217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평창군... / 1998-06-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218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충청북도 진천... 두타산 / 2003-07-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219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충청북도 진천... 두타산 / 2003-07-08 건조표본 1건

    소재 (총83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140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경기도 연천군... 종자산 / 2008-05-07 조직 1건
    NIBRGR0000052141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경기도 연천군... 종자산 / 2008-05-07 DNA 1건
    NIBRGR0000068056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2007-09-08 조직 1건
    NIBRGR0000068414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평창군... 청옥산 / 2008-07-01 DNA 1건
    NIBRGR0000068434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평창군... 청옥산 / 2008-07-01 조직 1건
    NIBRGR0000069625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태백시... 검룡소 / 2009-09-03 조직 1건
    NIBRGR0000072491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05-09-10 조직 1건
    NIBRGR0000083854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 2009-05-15 조직 1건
    NIBRGR0000084581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강원도 춘천시... / 2009-05-08 조직 1건
    NIBRGR0000084917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산사나무 경기도 가평군... 명지산 / 2009-05-28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rbcL 국립생물자원관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