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두메꿀풀

Prunella vulgari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두메꿀풀

Prunella vulgari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두메꿀풀

Prunella vulgari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두메꿀풀 Prunella vulgaris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idae (국화아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Prunella (꿀풀속) > vulgaris (두메꿀풀)
이명정보
[원기재명]
Prunella vulgaris var. aleutica Fernald

북부지방의 산기슭과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아래쪽에서 갈라져서 곧게 자라며, 기는줄기는 없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다. 꽃은 7~8월에 푸른 보라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층층이 달려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아시아와 유럽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아시아, 유럽 [2]

    북부지방 [2]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9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xploring the mechanism of bioactive components of Prunella vulgaris L. in trea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based on network pharmacology. [Huahua Tu, Yanqing Feng, Wei Wang, Huadong Zhou, Qinghe Cai, Yong Feng] Chemical biology & drug design 2024
    2 Chromosome-level genome assembly of Prunella vulgaris L. provides insights into pentacyclic triterpenoid biosynthesis. [Sixuan Zhang, Fanqi Meng, Xian Pan, Xiaoxiao Qiu, Caili Li, Shanfa Lu] The Plant journal : for cell and molecular biology 2024
    3 Effect and mechanism of Prunella vulgaris L. extract on alleviating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mastitis in protecting the blood-milk barrier and reducing inflammation. [Hongshan Luo, Yamei Li, Jingchen Xie, Chunfang Xu, Zhimin Zhang, Minjie Li, Bohou Xia, Zhe Shi, Limei Li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4
    4 Exploring the Antibacterial Potential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i>Prunella vulgaris</i> L. on Methicillin-Resistant <i>Staphylococcus aureus</i>. [Ziyin Li, Qiqi He, Feifei Xu, Xinxin Yin, Zhuofan Guan, Jia Song, Zhini He, Xingfen Yang, Chen Situ] Foods (Basel, Switzerland) 2024
    5 Integrative transcriptomic, proteomic and metabolomic analysis reveals the dynamic regulation of secondary metabolism upon development of Prunella vulgaris L. [Zhimin Zhang, Qian Su, Bohou Xia, Yamei Li, Xinyi Qin, Hongshan Luo, Yan Lin, Jingchen Xie, Ping Wu, Limei Lin, Duanfang Liao] Fitoterapia 2022
    6 Wound healing acceleration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Prunella vulgaris L.: From conventional use to preclinical scientific verification. [Esra Küpeli Akkol, Gülin Renda, Mert İlhan, Nurdan Yazıcı Bektaş]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2
    7 Screening out the anti-insomnia components from Prunella vulgaris L. based on plasma pharmacochemistry combined with pharmacodynamic experiments and UPLC-MS/MS analysis. [Tian-Feng Lin, Jun-Na Qiu, Shuang Zhang, Yan Zhang, Yu Zhang, Meng Sun, Jin-Hua Zhang, Bin Liu, Fa-Feng Cheng, Yan-Yan Jiang]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
    8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haracteristic components from compound of Lysionotus pauciflorus Maxim. by LC-MS/MS and its application to a pharmacokinetic study. [Caijuan Liang, Jintuo Yin, Yinling Ma, Xia Zhang, Lantong Zhang]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2020
    9 Characterization and anti-uterine tumor effect of extract from Prunella vulgaris L. [Yan Lin, Chao Yang, Jie Tang, Chun Li, Zhi-Min Zhang, Bo-Hou Xia, Ya-Mei Li, Qing-Zhi He, Li-Mei Lin, Duan-Fang Liao] BMC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2020
    10 Invivo hepatoprotective potential of extracts obtained from floral spikes of Prunella vulgaris L. [Gazanfar Ahmad, Mubashir H Masoodi, Nahida Tabassum, Sameer Ahmad Mir, Mir Javaid Iqbal] Journal of Ayurveda and integrative medicine 2020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하고초(가루 낸다) 6돈, 감초(가루 낸다) 1돈. 고루 섞어서 한번에 2돈씩 찻물에 타서 넘긴다. 또는 이 약 1냥을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 표본 (총3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10862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전라남도 완도... / 2003-05-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64431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경기도 포천시... 수원산 / 2005-08-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49002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백두산 / 2007-06-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64971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강원도 정선군... . / 2009-05-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35798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 2012-10-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35799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 2012-10-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35800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 2012-10-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14274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 2013-02-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60979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 2004-07-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64405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전라남도 구례... / 1933-0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3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83814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강원도 정선군... . / 2009-05-14 조직 1건
    NIBRGR0000662733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 2022-04-23 조직 1건
    NIBRGR0000675474 Prunella vulgaris L. / 두메꿀풀 / 2021-09-10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runella vulgaris L. 두메꿀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김종홍(Jong Hong Kim),장석모(Seok Mo Chang) (1983) 보문 : 오동도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6 (3) : 208 – 226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 오동도 ( 19820400 )
    • 김성삼 ( Sung Sam Kim ) , 허문수 ( Moon Soo Heo ) , 김기영 ( Gi Young Kim ) , 최광식 ( Kwang Sik Choi ) , 이기완 ( Ki Wan Lee ) , 여인규 ( In Kyu Yeo ) , 이경준 ( Kyeong Jun Lee ) , ( German Bueno Galaz ) (2007) 연구논문 : 두메꿀풀 (Prunella vulgaris) 열수추출액과 미생물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액의 사료 내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과학회지 40 (5) : 300 – 307

      제주특별자치도 서부지역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