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Fraxinus mandshurica subsp. brevipedicellata S.Z.Qu & T.C.Cui
Fraxinus elatior Thunb. ex Palib.
Fraxinus mandshurica var. japonica Maxim.
깊은 산의 골짜기나 냇가에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높이 30m, 지름 2m까지 자란다. 수피는 연한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홀수 1회 깃꼴겹잎으로 작은잎은 보통 9~11장이다. 작은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8~22cm, 폭 2~8cm, 끝은 뾰족하다.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밑부분에 갈색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에 피며, 묵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겹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시과, 장타원상 피침형, 길이 2.5~4cm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목재는 가구재, 건축재, 선박재로 쓰고, 껍질은 약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극동), 일본, 중국(동북부) [2]
전국 [2]
-
낙엽큰키나무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6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IL-4 분비 및 발현 억제 측정 IL-production assay 4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5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6 항염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ffects of Ascorbic Acid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of Fraxinus mandshurica Cheng, Xue;Xie, Tianyi;Yang, Ling;Shen, Hailong;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 2 Metabolomic Analysis Reveals Domestication-Driven Reshaping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in Soybean Seeds. [Xuetong Li, Sujuan Li, Jian Wang, Guang Chen, Xiaoyuan Tao, Shengchun Xu] Antioxidants (Basel, Switzerland) 2023 3 Cadmium exposure through the food chain reduces the parasitic fitness of Chouioia cunea to Hyphantria cunea pupae: An ecotoxicological risk to pest control. [Mingtao Tan, Hongfei Wu, Yaning Li, Aoying Zhang, Jinsheng Xu, Rusong Chai, Zhaojun Meng, Shanchun Yan, Dun Jiang]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3 4 Integrated metabolomic and transcriptomic strategies to reveal alkali-resistance mechanisms in wild soybean during post-germination growth stage. [Xiaoning Wang, Yunan Hu, Yuming Wang, Yida Wang, Shujuan Gao, Tao Zhang, Jixun Guo, Lianxuan Shi] Planta 2023 5 Effects of Ascorbic Acid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of <i>Fraxinus mandshurica</i>. [Xue Cheng, Tianyi Xie, Ling Yang, Hailong Shen]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2 6 <i>Ichnocarpus frutescens</i> (L.) R. Br. root derived phyto-steroids defends inflammation and algesia by pulling down the pro-inflammatory and nociceptive pain mediators: An <i>in-vitro</i> and <i>in-vivo</i> appraisal Das, Niranjan;Bhattacharya, Abhijit;Kumar Mandal, Sudip;Debnath, Utsab;Dinda, Biswanath;Mandal, Subhash C.;Kumar Sinhamahapatra, Prabir;Kumar, Amresh;Dutta Choudhury, M.;Maiti, Sabyasachi;Palit, Partha; Steroids 2018 특허 (총 1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COLORANT COMPOSITION AND COATED ARTICLE YU, Naiwo 2022-10-26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어업 도리깨, 도리깨아들, 도리깨아비 용도로 1~5, 9~12월에 채취한 들미나무 줄기를 껍질을 벗겨서 말린 후 가공한다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2 구전 공예 성에 용도로 1~2, 11~12월에 채취한 들메나무 원줄기를 베어서 말린 후 껍질을 벗겨 가공한다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공예 쟁기(보구레(논), 흙쟁이(밭)) 용도로 1~2, 10~12월에 채취한 들메나무의 줄기를 베어서 가공한다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기타 9-11월에 채취한 들메나무 줄기를 잘라서 창대를 만든다는 것을 부모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5 구전 식용 삶아서 말렸다가 삶아서 무쳐 먹음 6 구전 식용 들미순을 삶아서 무쳐 먹음 -
표본 (총13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45061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전라남도 광양... / 1999-07-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062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전라북도 장수... 장안산 / 1997-09-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064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경상북도 영주... 소백산 / 1999-05-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065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경상남도 거창... 금위봉산 / 2006-05-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155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경상북도 김천... / 2003-08-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156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01-07-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157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경상북도 김천... / 2003-08-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158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강원도 정선군... 두위봉 / 2000-06-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159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강원도 철원군... 대성산 / 2000-05-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5160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강원도 영월군... 백덕산 / 2001-07-10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1667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전라북도 남원... 지리산 / 2007-07-12 DNA 1건 NIBRGR0000063804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경상남도 함양... 지리산 / 2006-08-06 DNA 1건 NIBRGR0000063805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전라북도 남원... . / 2005-05-21 DNA 1건 NIBRGR0000063988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 2001-04-28 DNA 1건 NIBRGR0000069650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강원도 평창군... 계방산 / 2009-07-02 조직 1건 NIBRGR0000077346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충청북도 영동... / 2007-10-30 조직 1건 NIBRGR0000084023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전라남도 목포... 유달산 / 2009-06-10 조직 1건 NIBRGR0000095361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전라북도 남원... / 2007-07-12 조직 1건 NIBRGR0000113659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전라남도 진도... 접도 / 2011-07-07 종자 1건 NIBRGR0000126047 Fraxinus mandshurica Rupr. / 들메나무 경상남도 합천... 가야산 / 2012-07-21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Fraxinus mandshurica Rupr. 들메나무 rbcL rbcL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