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Pinna pectinata Linnaeus, 1767
[학명이명]
Atrina (Serv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키조개)
Atrina pectinata japonica
Atrina (Servatrina) japonica (Reeve, 1858)
[국명이명]
(북한명) 키조개
(북한명) 넓은키조개
굴목 키조개과에 속하는 대형 패류이다. 패각은 길이 220mm, 높이 145mm 정도이다. 각정부(殼頂部)가 좁고 배면과 등면이 넓어지면서 삼각형을 이룬다. 방사륵이 발달하였고 뒤쪽 부분은 방사륵 위에 날카로운 인편상의 돌기가 나타나기도 한다. 껍질 안쪽 면은 연한 갈색이다. 조간대에서 수심 90m 정도의 모래진흙 또는 진흙바닥에 집단으로 서식한다. 섭식 활동은 각정부를 아래로 하여 몸체 대부분을 바닥에 잠입한 상태로 수관을 이용하여 물속의 플랑크톤을 걸러 먹는다. 서해, 남해 연안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호주, 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호주, 서태평양 [2]
서해, 남해 [2]
-
섭식 활동은 각정부를 아래로 하여 몸체 대부분을 바닥에 잠입한 상태로 수관을 이용하여 물속의 플랑크톤을 걸러먹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Optimization and evaluation of Atrina pectinata polysaccharides recovered by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 promising path to natural products. [Jin-Seok Park, Ji-Min Han, Ye-Seul Park, Yu-Na Shin, Ye-Ryeon Shin, Byung-Soo Chun, Hee-Jeong Le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2024 2 A revision of the trichostrongylid nematode <i>Cooperia</i> Ransom, 1907, from deer game: recent integrative research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ancient host-specific species <i>Cooperia ventricosa</i> (Rudolphi, 1809). [Martina Albrechtová, Eva Štefková Kašparová, Iva Langrová, Vlastimil Hart, Birger Neuhaus, Ivana Jankovská, Miroslav Petrtýl, Jan Magdálek, Marta Špakulová] Frontiers in veterinary science 2024 3 Optimization of a Novel Tyrosinase Inhibitory Peptide from Atrina pectinata Mantle and Its Molecular Inhibitory Mechanism Wang, Wen;Lin, Haisheng;Shen, Weiqiang;Qin, Xiaoming;Gao, Jialong;Cao, Wenhong;Zheng, Huina;Chen, Zhongqin;Zhang, Zhishu; Foods 2023 4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of Comb Pen Shell ( <i>Atrina pectinata</i> ) Edible Parts to Produce High-Value Amino Acid Products Chun, Byung-Soo;Lee, Seung-Chan;Ho, Truc-Cong;Micomyiza, Jean-Bosco;Park, Jin-Seok;Nkurunziza, David;Lee, Hee-Jeong; Marine drugs 2022 5 Amino Acid Profiles and Biopotentiality of Hydrolysates Obtained from Comb Penshell ( <i>Atrina pectinata</i> ) Viscera Using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Lee, Hee-Jeong;Roy, Vikash Chandra;Ho, Truc Cong;Park, Jin-Seok;Jeong, Yu-Rin;Lee, Seung-Chan;Kim, Sung-Yeol;Chun, Byung-Soo; Marine drugs 2021 6 The potential of chitosan from comb-pen (Atrina pectinata) shell waste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d body cream Fauzi, F;Sulmartiwi, L;Saputra, E; IOP conference series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2021 7 The utilization of chitosan from Comb-pen shell (Atrina pectinata) as an emulsion stabilizer in the production of hand body cream Supraptin, Y;Sulmartiwi, L;Saputra, E; IOP conference series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2021 8 Fatty acid ester metabolites of gymnodimine in shellfish collected from China and in mussels (<i>Mytilus galloprovincialis</i>) exposed to <i>Karenia selliformis</i> Ji, Ying;Che, Yijia;Wright, Elliott J.;McCarron, Pearse;Hess, Philipp;Li, Aifeng; Harmful algae 2020 9 산화적 손상에 대한 키조개(Atrina pectinata) 효소 가수분해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 한의정;신은지;김기웅;안긴내;배태진;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2020 10 Effect of superheated steam roasting with hot smoking treatment on improv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dductor muscle of pen shell ( <i>Atrina pectinate</i> ) Mohibbullah, Md.;Won, Na Eun;Jeon, Jong‐Hoe;An, Jeong Hyeon;Park, Yeseul;Kim, Hari;Bashir, Khawaja Muhammad Imran;Park, Sun‐Mee;Kim, Young Soo;Yoon, Sung‐Joon;Sohn, Jae Hak;Kim, Andre;Choi, Jae‐Suk; Food science & nutrition 2018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4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성체는 지름이 5-6치이고 모양이 키와 같아서 평평하고 넓으며 두껍지 않다. 실과 같은 세로무늬가 있다. 빛깔은 붉고 털이 있다. 돌에 붙어 있으나 곧잘 떨어져 헤엄쳐간다. 2 구전 식용 치조개(키조개)는 눈(관자)만 회로 먹음 생으로 먹음 그외의 내장과 살은 찌개에 넣음 키조개의 껍질에 피조개를 까서 부글부글 끓여 먹으면 맛이 있음 냄비 대용으로 끓일 때 사용함 껍질이 얇아서 일회용임 3 구전 식용 키조개는 구워서 먹음 키조개는 회로 먹음 4 구전 식용 생으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음 -
표본 (총1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IV0000837983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인천광역시 옹... / 2018-06-27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23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전라북도 군산... 비응항 앞 / 2023.10.20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24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전라북도 군산... 비응항 앞 / 2023.10.20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25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전라북도 군산... 비응항 앞 / 2023.10.20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26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충청남도 보령... 대천항 앞 / 2024-05-14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27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충청남도 보령... 대천항 앞 / 2024-05-14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28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충청남도 보령... 대천항 앞 / 2024-05-14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29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충청남도 보령... 무창포항 / 2024-05-14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30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충청남도 보령... 무창포항 / 2024-05-14 액침표본 1건 NIBRIV0000922831 Atrina pectinata (Linnaeus, 1767)" / 키조개 충청남도 보령... 무창포항 / 2024-05-14 액침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