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바닷가 암석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40~80cm,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빽빽하게 달린다. 잎몸은 끝이 둔하고 아래쪽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4~7cm, 폭 0.8~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위쪽에 돌려난 잎은 다른 잎보다 넓고 짧다. 꽃이 필 때 모인꽃싸개잎이 노란색을 띠고, 열매가 익을 때 붉은색으로 변한다. 꽃은 5월에 배상꽃차례로 피며,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열매는 삭과, 둥글며 지름 6mm쯤으로 겉에 돌기가 많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국내에 분포하는 대극속 식물들에 비해서 남부지방의 바닷가에 드물게 자라며, 전체가 대형이고 줄기 아래쪽이 목질화되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약용식물로 이용할 가치가 있다. 갯대극, 갯바위대극, 바위버들옻이라고도 부른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대만 [2]
서해안(인천), 남해안(전남), 동해안(경북), 제주 국내 주요 관찰지역 인천 : 백령도 제주 : 표선 [2]
전남, 제주 [3]
분포: 대만, 중국, 일본 [3]
대만, 일본 [4]
일본, 타이완 [5]
전라남도, 제주도 [5]
-
개화기: 3-6월 [3]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월에 핀다. [5]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20), 한국의 해안식물
[3] 국립생물자원관(2016), 한국생물지발간연구
[4] 국립생물자원관(2015),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5]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19건)
-
- 원작자 : 김진석
-
- 원작자 : 심현보, 이기무, 이병윤, 김원희, 남기흠, 심선희
-
- 원작자 : 심현보, 이기무, 이병윤, 김원희, 남기흠, 심선희
-
- 원작자 : 심현보, 이기무, 이병윤, 김원희, 남기흠, 심선희
-
- 원작자 : 심현보, 이기무, 이병윤, 김원희, 남기흠, 심선희
-
- 원작자 : 심현보, 이기무, 이병윤, 김원희, 남기흠, 심선희
-
- 원작자 : 심현보, 이기무, 이병윤, 김원희, 남기흠, 심선희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남기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남기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남기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
효능예측정보 (총 5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0H26O5 97869-54-0 346.422 2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방출 억제제 C20H26O5 97869-54-0 346.422 3 항결핵제 C20H26O5 97869-54-0 346.422 4 항염증 C20H26O5 97869-54-0 346.422 5 항진균제 C20H26O5 97869-54-0 346.422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2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Putranjivain A from Euphorbia jolkini inhibits both virus entry and late stage replication of herpes simplex virus type 2 in vitro. Hua-Yew Cheng,Ta-Chen Lin,Chien-Min Yang,Kuo-Chih Wang,Liang-Tzung Lin,Chun-Ching Lin The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2004 2 1,2,3,6-tetra-O-galloyl-beta-D-allopyranose gallotannin isolated, from Euphorbia jolkini, attenuates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macrophages. Seung-Bin Park,Mi-Sun Kim,Hee Sang Lee,Seung Ho Lee,Sang-Hyun Kim Phytotherapy research 2010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문합(벌레와 흙을 버린다) 3냥, 산자고(껍질을 버리고 불에 말린다) 2냥, 대극(물에 씻어 불에 말린다) 1냥 반, 속수자(껍질과 기름을 제거한다) 1냥, 사향 3돈.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찹쌀죽에 넣고 고루 찧어 40알[錠]을 만들어 매번에 반 알씩 복용한다. 심하면 1알을 박하 끓인 물과 함께 먹는다. 뱀ㆍ개ㆍ여러 가지 독한 벌레에 상한 것은 술에 풀어서 복용하고, 또한 물에 갈아서 상처부위에 바른다. 석웅황 1냥, 주사 5돈을 더한 것을 옥추단이라 일컫는다. 다스리는 것은 위와 같다. 2 문헌 기타 말의 후결 치료법[治馬後結方]풀이나 곡물이 대장 끝부분에 쌓여 생긴 병이다. 말의 배가 더부룩하게 불러오면 말은 머리를 돌려 뒤를 돌아보며 일어섰다가는 다시 눕고 누었다가는 다시 일어서니, 이때는 반드시 앞에서처럼 손으로 꺼내는 방법을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타결환(打結丸)을 쓴다. 속수자 4냥, 욱리인 1냥, 조각 반냥, 패랭이꽃 1냥, 쥐똥 4냥, 유백피(楡白皮: 느릅나무속껍질) 2냥, 나팔꽃 1냥, 완화(菀花: 개미취 꽃)식초에 볶은 것 2냥을 가루 내어 탄알 만하게 묽은 밀가루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매번 1알을 부순 뒤에 잘게 썬 푸른 파 3뿌리와 식초[苦酒] 1잔을 함께 3차례 달이고, 생기름 4냥과 동변(童便) 반잔을 넣어 먹인다. 조리시키는 방법은 위와 같다 3 문헌 기타 말의 중결 치료법[治馬中結方]곡물이나 풀이 대장 중간 부분에 쌓여 생긴 병이다. 말은 배가 팽창되어 통증이 일어나면, 엎드렸다 누웠다 하며 가슴을 발로 차며 계속 일어났다 누웠다[起臥] 하고 코로 거칠게 숨을 쉰다. 말을 묶어 넘어뜨리고 우선 따뜻한 기름과 물 3되를 항문[穀道] 속에 부어 넣은 후에, 손이 작은 사람이 다시 기름을 팔뚝 위아래에 바르고 서서히 손을 대장 속에 집어넣어 가볍게 찾아본다. 만일 미끄럽고 단단하며 마치 공 같은 것이 손에 만져진다면 이것이 뭉친 똥[結糞]이다. 그 것을 손으로 쥐어 깨뜨리면 즉시 그 효험을 보게 된다. 만일 사람의 손이 짧아 꺼내기 어려우면 마가환(馬價丸)을 가져다 먹인다. 오령지[五靈脂: 산박쥐똥]․나팔꽃[牽牛]․감수(甘遂)․대극(大戟)․속수자․대황․활석․향부자(香附子)․패랭이꽃[瞿麥]․목통각 2냥을 가루로 만들고 식초와 풀을 섞어 탄알 만하게 환을 빚는다. 매번 약 1알을 잘게 부수어 따뜻한 술과 약 1알에 생기름 4냥을 섞어 먹인다. 조리시키는 방법은 위와 같다. 4 문헌 기타 말의 전결을 치료하는 법[治馬前結方]대개 사료를 먹인 후에 올라타고 급히 몰고 돌아오거나, 또는 숨이 아직 안정이 되지않았는데 먹이를 먹여서 생긴 증세이다. 즉 침이 맑아지지 않아서 만들어진 가래가 사료나 풀을 감싸서 한 덩어리로 되어 대장(大腸) 앞쪽에서 뭉친 것이다. 말의 배가 더부룩하게 불러오면 말은 그 통증으로 가슴을 물어뜯거나 발로 차기도 하고 때때로 땅에 누워 발을 하늘로 치켜들기도 한다. 이 증세에는 통개산(通開散)을 쓴다. 속수자(續隨子)․활석(滑石)․으름덩굴[木通]․쥐똥[鼠糞]․흑축(黑丑: 청홍색의 나팔꽃씨)․수유(酥油: 연유)1홉․조각(皂角)구운 것을 함께 가루로 만들어 매번 2냥에 생기름[生油] 4냥, 잿물[灰湯] 반잔, 만일 술이라면즉 식초이다. 1되를 섞어 달인다. 3차례 끓여서 대황(大黃)가루와 초석[硝] 각 1냥을 넣어 먹이고 쉬지 않고 끌고 다닌다. 빗자루로 배아래를 문질러 준다. 5 문헌 약용 여러 가지 고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 - 고독을 빼내는 법은 헌 북[鼓]의 가죽을 태워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1잔 먹이고, 환자 스스로 고독을 가져가도록 고 주인의 이름을 부르면 바로 낫는다. 또 양하 잎을 환자가 알지 못하도록 환자의 잠자리 밑에 촘촘히 깔아주고, 환자가 역시 스스로 고독을 가져가라고 고 주인의 이름을 부르면 바로 낫는다. 「주례(周禮)」에서 가초(壽草)로 고독(蟲毒)을 제거한다고 한다. 가초는 바로 양하(養荷)이다. 고독을 치료하는 법은 자금정(紫金疑) 반 정(疑)심한 경우에는 1정을 박하탕(薄荷湯)에 녹여 먹인다. 또 옥추단(玉福丹) 1정을 갈아 먹여 토하거나 설사를 하면 낫는다. 또 백반과 감초 등을 등분하여 가루를 낸 다음에, 맑은 물에 타서 먹여 토하거나 설사하면 곧 가라앉는다. 또 감초 탕(甘草湯)을 달여 먹인다. 또는 승마(丹麻) 1량을 달여 먹인다. 또 마린(馬菌)의 뿌리가루 1〜2전을 물에 타서 먹인다. 또 마두령(馬究餘)의 뿌리가루 1량을 물에 달여 먹이면 고독을 토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먹인다. 또 상륙(商陸: 자리공의 뿌리)의 가루를 물에 타서 먹인다. 또 속수자(續隨子) 뿌리의 껍질을 벗겨 갈아서 만든 가루 1전을 물에 타서 먹인다. 또 반묘(斑備) 1개를 가져다가 머리 · 발 · 날개를 제거하고 갈아서 가루를 내고 미음(米飮)에 타서 먹이면 바로 고독(盡毒)이 나온다. 6 문헌 약용 고(蠱)의 독 풀기 고(蠱)의 독을 치료하는 법으로 자금정(紫金錠) 반 환을, 심한 사람은 1환을 박하탕(薄荷湯)에 개어 마신다. 또는 옥추단(玉樞丹)1환을 먹으면 토하거나 설사를 하고나서 곧 낫는다. 또는 백반(白礬)과 감초(甘草)를 같은 양을 가루를 만들어 맑은 물에 먹이는데, 혹 검은 침을 토하거나 설사를 하면 편안해진다. 또는 감초탕(甘草湯)을 먹거나 승마(升麻) 1냥을 물을 넣고 진하게 달여낸 즙을 먹는다. 또는 마린근(馬藺根)을 가루내어 물에 타서 1~2전을 먹거나, 북쪽 그늘진 곳에 있는 해목(檞木)의 백피(白皮)를 진하여 달여 1되를 빈 속에 복용하는데 2번 먹게 되면 고를 토하게 된다. 또는 마두령(馬兜鈴)의 뿌리를 가루내어 1냥을 물에 넣고 달여 한번에 먹으면 고를 토하는데 시원하 상륙(商陸)가루를 물에 타서 먹거나, 속수자(續隨子)의 껍질을 벗기고 갈아서 가루를 내어 물과 섞어서 1전을 마신다. 지 못할 경우에 다시 먹는다. 또는 상륙(商陸)가루를 물에 타서 먹거나, 속수자(續隨子)의 껍질을 벗기고 갈아서 가루를 내어 물과 섞어서 1전을 마신다. 또는 반묘(班猫) 1마리의 머리, 발, 깃을 떼어내고 갈아서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서 2번을 먹으면 고를 설사(泄瀉)하게 된다. 또는 반묘의 발과 깃을 떼어내고 볶은 것과 대극(大戟) 및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나무 가지의 흰껍질을 등분하여 넣고 가루를 내어서 냉수와 반 전을 먹으면 그 독이 곧 나온다. 만약 나오지 않으면 다시 한번 먹는데 효과가 신통하다. 그리고 대극 한가지만 먹어도 된다. 잠퇴지(蠶退紙)를 양에 관계 없이 마유(麻油)를 발라 본성이 남아 있도록 태워 가루를 내고 새로 길어온 물에 섞어 1전을 한번에 먹으면, 비록 얼굴이 파랗게 되고 맥이 끊어지고 정신을 잃고 입을 꽉 다물고 피를 토하는 자라도 깨어난다. 또는 쪽잎즙(藍葉汁)을 먹거나, 꼭두서니의 뿌리를 진하게 달여 먹으며, 혹은 양하풀(蘘荷草)과 함께 달여 여러 되를 먹으면 낫는다. 또는 길경(桔梗)을 찧어 즙을 먹으면 위급했다가도 깨어난다. 또는 지렁이 14마리를 식초 1되에 담가두어 지렁이를 죽게하여 그 물을 먹고 하혈(下血)을 하면, 이미 죽은 자라도 모두 살릴 수 있다. 또는 지네를 구워 가루를 만들어 미음과 섞어 먹어도 괜찮다. 또는 여우의 오장(五臟)과 창자를 양념을 하여(五味) 국을 끓여 먹거나 구워먹어도 또한 좋다. 7 문헌 약용 만병해독환(萬病解毒丸) 사간(射干)ㆍ문합(蚊蛤) 【곧 오배자(五倍子)】 ㆍ행인(杏仁)ㆍ석고(石膏)ㆍ속수자(續隨子) 【껍데기와 기름을 제거한 것】 ㆍ조휴(蚤休) 【곧 금선중루(金線重樓)】 ㆍ토주(土朱)ㆍ대극(大戟)ㆍ산두근(山豆根)ㆍ산자고(山茨菰)ㆍ백약자(白藥子)ㆍ대황(大黃) 【술에 찐 것, 각 2냥】, 사향(麝香) 【2돈】, 청대(靑黛)ㆍ위령선(葳靈仙)ㆍ백지(白芷) 【각1냥】, 황련(黃連)ㆍ풍화초(風化硝) 【각 반냥】. 위의 약들을 가루 내고 찹쌀로 쑨 풀로 반죽하여 탄자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청대와 활석(滑石)을 곱게 가루 내어 입힌 뒤 그늘에 말린다. 이 약은 일체 독을 풀어주는데, 고독, 서망독(鼠莽毒), 복어독, 생선독, 버섯독, 병으로 죽은 소 말의 고기의 독, 후비, 골경, 댓가시에 찔려 생긴 독에는 약을 급류수에 풀어 넘긴다. 옹저, 발배, 정종, 창양독, 뱀이나 개에 물린 데, 지네ㆍ벌ㆍ전갈의 독, 칼이나 도끼로 인한 상처나 끓는 물이나 불에 입은 화상에는 정화수에 풀어 넘기고, 또한 상처에 붙인다. 부인의 귀태(鬼胎), 악기(惡氣), 적괴(積塊), 충적(蟲積), 심흉비만, 복부팽창에는 좋은 술에 풀어 넘긴다. 【《화제국방(和劑局方)》〔局方〕에 나온다.】 8 문헌 약용 만병해독원(萬病解毒圓) 옹저, 발배, 어제독, 창종, 약독, 풀독, 금석독, 도생독, 고독, 온갖 벌레의 독, 뱀, 가축, 짐승의 독을 치료한다. 귀태(鬼胎), 귀기(鬼氣)가 드나드는 데에서도 이 약을 몸에 지녔다가 불쾌한 생각이 들거나 몸이 편치 않을 때 갈아서 복용한다. 문합(蚊蛤) 【1냥 반, 씻은 것】, 산자고(山茨菰) 【씻어서 불기운에 말린 것, 1냥】, 홍아대극(紅牙大戟) 【씻어서 불기운에 말린 것, 7돈 반】, 전갈(全蝎) 【5개〔枚〕】, 대산두근(大山豆根)ㆍ속수자(續隨子) 【씨만 취하여 기름을 제거하고 약성을 유지한 것, 각 5돈】, 사향(麝香) 【1돈】, 주사(朱砂)ㆍ웅황(雄黃) 【각 2돈】. 먼저 위의 5가지 약을 나무 절구에 찧어 가루 낸 다음 나머지 약 4가지를 넣고 갈아 찹쌀로 쑨 풀로 환을 만드는데 모두 35환으로 나눈다. 단오, 칠석, 중양절, 납일에 약을 만드는데, 매번 1환〔圓〕씩 생강(生薑)과 꿀〔蜜〕을 탄 물로 갈아 넘기고, 또 우물물에 담갔다가 갈아서 환부에 붙인다. 독을 풀고, 상처를 아물게 하며, 병을 고치는 신묘한 효험이 있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直指〕 〈창문(瘡門)〉에 나온다. 《영류검방(永類鈐方)》에는 전갈, 대산두근 두 가지 약재가 없다. 이 처방은 《중조질문방(中朝質問方)》〔質問方〕의 자금정자(紫金錠子)와 동일한데, 《영류검방(永類鈐方)》의 처방대로 하면 된다.】 9 문헌 약용 단사원(丹砂圓) 술 마시거나 밥 먹는 사이 고독(蠱毒)에 걸린 경우를 치료한다. 단옷날 약을 수합한다. 진사(辰砂) 【별도로 간 것】 ㆍ웅황(雄黃) 【별도로 갈아 수비한 것】 ㆍ다리가 붉은 오공〔赤脚蜈蚣〕ㆍ속수자(續隨子) 【각 1냥】, 사향(麝香) 【별도로 간 것, 2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찹쌀 미음과 반죽하여 계두실〔雞頭〕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 다음, 독에 적중된 것을 느끼면 즉시 술로 1환을 넘긴다. 뱀에 물리거나 전갈(全蝎)에 쏘인 경우 단사원을 식초에 갈아 붙인다. 【《득효방(得效方)》 〈중독과(中毒科)〔中毒門〕〉에 나온다.】 10 문헌 기타 치약_신선태을자금단방 당(唐) 나라의 진자명(陳自明)과 송(宋) 나라의 이신실(李迅實)은 모두 신선퇴독원(神仙退毒元), 또는 성원단(聖援丹) 또는 신선해독만병원(神仙解毒萬病元)이라고도 하였다. 그런데 명(明) 나라 함허자(涵虛子) 구선(臞仙)은 옥추단(玉樞丹)이라 했고, 지겸도인(止謙道人) 왕응의(王應椅)가 지금의 이름을 지었다. 산자고(山茨菰)의 껍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배건한 것 2냥.천금자(千金子)는 속수자(續隨子)라고도 하는데 껍데기를 제거하고 갈아서 기름기를 뺀 것 1냥. 두문방(斗門方)에는 껍데기를 제거하고 종이로 싸서 무거운 물건으로 눌러 기름을 빼낸 다음 다시 빻아 분말을 만든다 했다.문합(文蛤)은 오배자(五倍子)라고도 한다. 방망이로 쳐서 깨어 깨끗이 씻은 것 3냥.홍아(紅芽)는, 대극(大戟)이라고도 한다. 묵은 싹은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배건한 것 1냥 반.사향(麝香) 3전을 따로 갈아서 쓴다.이상의 약 중에서 천금자(千金子)와 사향(麝香)을 제외한 세 가지 약(산자고(山茨菰)ㆍ문합(文蛤)ㆍ홍아(紅芽))을 곱게 빻아 연약(硏藥 천금자(千金子)와 사향(麝香)을 빻아 가루로 만든 것)과 고루 섞어 나미(糯米)로 죽이 되게 쑤어 풀을 만들어서 함께 나무 절구에 넣고 1천 번 찧는다. 그것을 나누어 40낱을 만들어서 사용하되 약을 합할 시기는 단오(端午)ㆍ칠석(七夕)ㆍ중양일(重陽日)이나 천덕(天德)ㆍ월덕일(月德日)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약을 만들 적에는 깨끗한 방에 분향(焚香)하고 지성을 드려 만들되 부인이나 닭과 개가 보지 못하게 해야 한다.이제 상고해 보니 가루를 합하면 무게가 7냥 8전이다. 그러나 바람에 날아가는 등의 결손이 생기므로 나머지는 7냥 5전에 지나지 않는다. 매제(每劑)에 나미(糯米) 2홉을 깨끗이 씻어 진밥을 지어 사용하는데 무게가 6냥 6전으로, 풀과 합한 약의 무게는 14냥이 좀 더되고, 찧은 다음 무게는 14냥 3~4전이다. 이것은 대개 찧을 때 공이에 붙거나 마르면 물을 첨가했기 때문이다. 진자명(陳自明)ㆍ구선(臞仙)ㆍ왕응의(王應椅)가 모두 한 제(劑)를 나누어 40개로 만든다고 하였다. 그러나 나는 기력(氣力)의 강약(强弱)과 노유(老幼)를 헤아리지 않고 모두 1개씩 먹는다는 것이 마음에 걸려, 이제 나누어서 80개로 만들었다. 이는 왕응의가 이른바 ‘매번 반 개씩 먹는다.’ 한 것도 이 같은 뜻일 것이다. 음건 1개의 무게는 1전이고 한 제(劑) 80개의 무게는 8냥이다. 이것이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을 만드는 법의 대략이다.그런데 지금의 의가(醫家)에서는 이미 산자고(山茨菰)를 잘못 알고 쓰는 데다가 다시 웅황(雄黃)과 주사(朱砂)를 첨입(添入)해서 그 진성(眞性)을 어지럽혔고, 또 근량도 우리나라와 아주 다르기 때문에 약의 효력이 전혀 없으니, 계산 없는 것이 너무 심하다. 그리고 별도로 탕(湯)을 갖추어 뒤에 붙였다. 이 약은 매우 견강(堅剛)하므로 창졸간에 갈기가 쉽지 않으니, 모름지기 곱게 깎아서 물에 타 먹으면 된다.매양 1개를 빈 속에 먹되 새벽에 일찍 먹으면 더욱 신속한 효력을 본다. 통리(通利)시킬 때는 1냥을 먹어도 무방하지만 따스한 죽으로 먹어야 한다. 그리고 이 약을 가지고 다니면 손쉽게 응변(應變)할 수 있어 만에 하나도 실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임산부는 먹지 말아야 한다. -
표본 (총18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354365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17864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2-06-19 건조표본 2건 NIBRVP0000434932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1-05-22 건조표본 3건 NIBRVP0000497886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김녕해수욕 / 2014-06-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97887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김녕해수욕 / 2014-06-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58800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8-05-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44199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07-07-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44466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07-07-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99892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전라남도 완도... 보길도 / 1993-05-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99893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전라남도 완도... 보길도 / 1993-05-1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18865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8 조직 1건 NIBRGR0000118866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8 조직 1건 NIBRGR0000119417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1-05-22 조직 1건 NIBRGR0000135907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2-06-19 종자 3건 NIBRGR0000175843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김녕해수욕 / 2014-06-16 조직 1건 NIBRGR0000175844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김녕해수욕 / 2014-06-16 조직 1건 NIBRGR0000427004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8-05-25 조직 1건 NIBRGR0000427018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8-05-2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27019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8-05-2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29536 Euphorbia jolkinii Boiss. / 암대극 제주특별자치도... / 2018-05-25 DNA 1건 -
염기서열 (6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Euphorbia jolkini Boiss.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Euphorbia jolkini Boiss.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Euphorbia jolkini Boiss.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Euphorbia jolkini Boiss. rbcL 국립생물자원관 Euphorbia jolkini Boiss. rbcL 국립생물자원관 Euphorbia jolkini Boiss.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