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딱정장수노벌레

Kikuchicamptus incurvisetosus (Chang & Ishida, 200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딱정장수노벌레

Kikuchicamptus incurvisetosus (Chang & Ishida, 200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딱정장수노벌레

Kikuchicamptus incurvisetosus (Chang & Ishida, 200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딱정장수노벌레 Kikuchicamptus incurvisetosus (Chang & Ishida, 2001)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Crustacea (갑각아문) > Copepoda (요각강) > Harpacticoida (갈고리노벌레목) > Canthocamptidae (딱정장수노벌레과) > Kikuchicamptus > incurvisetosus (딱정장수노벌레)
이명정보
[원기재명]
Canthocamptus incurvisetosus Chang & Ishida, 2001 (딱정장수노벌레)

계류변 낙엽 틈이나 샘물에서 서식하는 담수산 갈고리노벌레류의 대표종으로 암컷의 몸길이는 0.69~0.73mm이다. 항문판은 둥글고, 뒤 가장자리에서 둔각 삼각형 모양의 투명막이 돌출한다. 수컷은 몸길이는 0.54~0.63mm이다. 제3가슴마디의 외지 제2마디의 가시는 길게 팽대되어 있으며, 그 끝은 외지 끝을 훨씬 지난다. 제4가슴마디 외지의 바깥쪽 끝 강모는 변형되어 4~5개의 굵은 가시로 배열한다. 소계류, 시냇물, 샘 등 한국의 산간 수역에서 흔하게 출현한다. 우리나라의 산간 계류의 수서 무척추동물군 중 최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종으로 담수산 갈고리노벌레의 대표종이다. 이 종은 미차의 바깥꼬리강모가 안쪽으로 비틀려 있어 유사종과 뚜렷이 구별된다. 오대산 일대와 제주도를 제외한 중부 이남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저작재산권자]

  • 강원도 오대산 주변을 제외한 중부 이남 [2]

    오대산 일대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 [3]

    한반도(오대산 주변, 제주도를 제외한 중부 이남) [4]

  • 소계류, 시냇물, 샘 등 한국의 산간수역에서 흔하게 출현하는 종이다. [2]

    소계류, 시냇물, 샘 등 한국의 산간 수역에서 흔하게 출현하는 종이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5), 한반도고유종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국생물지발간연구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