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철새연구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왜 필요한가?
연구의 필요성

조류 동시센서스 조사결과는 국내에서 월동하는 물새류의 지역별 분포와 변동, 종별 개체수 변동 및 멸종위기종의 도래현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일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의 철새집단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조사방법
조사방법

group 조사팀 : 2인 1조

preview 관찰장비 : 쌍안경과 망원경

  • 차량 , 선박 및 도보로 이동하면서 조사지역에서 관찰되는 모든 조류의 종과 개체수를 기록합니다.
  • 종 동정이 불가능한 경우 정확한 종명을 표기하지 않고 부류로 구분해 기록(예 : 기러기류, 오리류 등)
    ※ 이 경우 관찰 종수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개체수에는 포함합니다.

조사지역

  • 철원평야
    철원평야

    철원평야는 넓은 평야와 얼지 않는 여울을 가지며,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된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두루미의 세계 최대 월동지일 뿐 아니라 수많은 겨울철새의 주요 월동지입니다.

  • 낙동강하구
    낙동강하구

    낙동강하구는 바다와 민물이 만나 철새들의 먹이가 풍부하며 겨울에도 거의 얼지 않아 11월부터 3월까지 해마다 고니류, 오리류, 기럭류 등 다양한 겨울철새가 날아옵니다.

  • 간월호
    간월호

    간월호는 철새들의 주요 이동경로인 해안가에 위치하며, 큰 호수와 철새들의 먹이가 되는 넓은 농경지가 있어 봄가을 이동시기 뿐 아니라 겨울철새 도래지로도 매우 유명합니다.

  • 주남저수지
    주남저수지

    주남저수지는 옛날부터 농경지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공급해주던 자연늪으로 산남, 주남 동판 3개의 저수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비교적 따뜻하고 결빙기가 짧으며 농경지가 많이 매년 수많은 겨울철새가 찾아옵니다.

  • 속초/간성 해안
    속초/간성 해안

    동해안 지역에서는 다양한 바다오리와 아비류, 갈매기류가 관찰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갈매기 중 개채수가 가장 많은 재갈매기는 절반가량이 동해안에서 머물다 시베리아 북동부지역으로 이동합니다.

  • 제주도 성산
    제주도 성산

    제주도 성산은 담수와 해수가 교차하면서 먹이가 풍부하고 쉴 수 있는 서식지를 제공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저여새와 Ⅱ급인 노랑부리저어새, 물수를 포함하여 다양한 오리류가 찾아옵니다.

지역을 선택해주세요!

place 강원도 조사지역 목록

  • 철원평야
  • 횡성호
  • 섬강
  • 북한강(청평댐-화천교)
  • 소양호 하류
  • 원덕-삼척 해안
  • 삼척-강릉 해안
  • 경포호
  • 남대천(강릉)
  • 강릉-주문진 해안
  • 주문진-양양 해안
  • 남대천(양양)
  • 양양-속초 해안
  • 청초호
  • 영랑호
  • 속초-간성 해안
  • 송지호
  • 화진포
  • 간성-대진해안
  • 고성군 해상
  • 원주천

place 경기도 조사지역 목록

  • 연천군
  • 성수-팔당댐
  • 팔당호(경안천 포함)
  • 남한강(양평-여주)
  • 남한강(여주-충주)
  • 북한강(청평댐-화천교)
  • 안양천
  • 한강하구(오두산전망대-일산대교)·김포평야(하성, 사우동)·공릉천
  • 한강하류(일산대교-행주대교)·이화동 일원(홍도평, 이화리, 태리)
  • 임진강(장남교-오두산전망대)
  • 대부도
  • 시화호
  • 왕송저수지
  • 물왕저수지
  • 발안저수지
  • 서호
  • 진위천
  • 이동저수지
  • 고삼저수지
  • 청미천
  • 남양만(장안면, 우정면)
  • 남양호
  • 아산만
  • 아산호
  • 안성천
  • 공릉천중류
  • 황구지천
  • 포천천
  • 복하천

place 경남 조사지역 목록

  • 섬진강 하구·수어천 하류
  • 남해 해안
  • 창선도
  • 사천만
  • 진양호
  • 고성군 거류면 동해면(당도만)
  • 대가저수지
  • 거제도 해안
  • 주남저수지
  • 산남저수지
  • 동판저수지
  • 봉암갯벌
  • 우포저수지
  • 목포
  • 사지포
  • 합천호
  • 황강
  • 낙동강(달성-남지)
  • 낙동강(남지-삼랑진)
  • 낙동강(삼랑진-대동)
  • 낙동강하류(하구둑 대저수문, 서낙동강,맥도강)
  • 양산천

place 경북 조사지역 목록

  • 구미 해평(도흥리-일선교)
  • 감천
  • 낙동강(일선교-안동시)
  • 내성천
  • 안동호
  • 임하호
  • 낙동강(달성-남지)
  • 덕동호
  • 보문호
  • 형산강(나정교-강동교)
  • 형산강(형산교-제1강동교)
  • 안계저수지
  • 용연지
  • 하곡지(딱실못)
  • 울산-구룡포 해안
  • 포항-영덕 해안
  • 영덕-평해 해안
  • 평해-울진 해안
  • 울진-원덕 해안

place 광주 조사지역 목록

  • 영산강 상류(승촌보 상류-담양호 하류)
  • 황룡강

place 대구 조사지역 목록

  • 화원(도흥리-부리)
  • 금호강
  • 구미 해평(도흥리-일선교)
  • 낙동강(달성-남지)
  • 금호강중류

place 대전 조사지역 목록

  • 대청호
  • 금강상류

place 부산 조사지역 목록

  • 오륜대(회동)저수지
  • 낙동강하류(하구둑 대저수문, 서낙동강,맥도강)
  • 낙동강 하구
  • 부산-울산 해안

place 서울 조사지역 목록

  • 성산-성수
  • 성수-팔당댐
  • 중랑천
  • 탄천
  • 성산대교-행주대교
  • 안양천
  • 한강하구(오두산전망대-일산대교)·김포평야(하성, 사우동)·공릉천

place 세종 조사지역 목록

  • 미호천
  • 금강상류

place 울산 조사지역 목록

  • 회야호
  • 부산-울산 해안
  • 울산-구룡포 해안
  • 울산만
  • 태화강(명천대교-삼호교)

place 인천 조사지역 목록

  • 강화도
  • 석모도
  • 교동도
  • 영종도(운북동)
  • 영종도(운남, 삼목동)
  • 송도
  • 청라지구·굴포천 하구

place 전남 조사지역 목록

  • 장성호
  • 담양호
  • 영산강 상류(승촌보 상류-담양호 하류)
  • 동복호
  • 지석천
  • 법성포
  • 영광-함평 해안
  • 대동댐
  • 무안군 현경면·운남면
  • 무안군 해제면·신안군 지도읍
  • 무안저수지
  • 무안-목포해안
  • 압해도
  • 암태도
  • 영산호
  • 우습제
  • 영산강 중류(몽탄대교-승촌보)
  • 영암호
  • 금호호
  • 고천암호
  • 랑초(개초)저수지
  • 군내간척지
  • 둔전저수지
  • 주암호
  • 상사호
  • 보성강저수지
  • 완도호
  • 해남군 신방지
  • 군곡저수지
  • 해원저수지
  • 강진만
  • 사내간척지
  • 만덕간척지
  • 고금도
  • 조약도
  • 장흥해안
  • 보성만-득량만
  • 점암저수지
  • 고흥호
  • 포두면 간척지·해창만
  • 여자만
  • 순천만
  • 광양만·갈사만
  • 섬진강 하구·수어천 하류

place 전북 조사지역 목록

  • 금강하구
  • 금강호
  • 만경강
  • 옥구저수지
  • 옥려저수지
  • 만경강 중류
  • 동진강
  • 청호저수지
  • 조류지
  • 능제
  • 백산저수지
  • 고마제
  • 옥정호
  • 동림저수지
  • 곰소만
  • 고창해안(동호항-계마항)
  • 대아저수지
  • 동상저수지
  • 전주천

place 제주도 조사지역 목록

  • 성산-남원
  • 성산
  • 용담-대정
  • 서귀-안덕
  • 하도리
  • 함덕-하도
  • 용수저수지

place 충남 조사지역 목록

  • 풍서천
  • 곡교천
  • 봉강천
  • 아산만
  • 아산호
  • 삽교호
  • 예당저수지
  • 석문간척지
  • 대호
  • 가로림만
  • 태안군 이원면 해안
  • 태안군 근흥면 해안
  • 수룡저수지
  • 태안군 남면 해안
  • 안면도
  • 간월호
  • 부남호
  • 금강상류
  • 금강중류(황산대교-청벽대교)
  • 잠홍저수지
  • 성암저수지
  • 인평저수지
  • 풍전저수지
  • 탑정저수지
  • 경천저수지
  • 장항 해안
  • 봉선저수지
  • 부사간척지
  • 유부도
  • 금강하구
  • 금강호
  • 병천천
  • 무한천
  • 해미천
  • 삽교천

place 충북 조사지역 목록

  • 남한강(여주-충주)
  • 대청호
  • 백곡지
  • 초평지
  • 괴산호
  • 충주호
  • 미호천
  • 병천천
  • 무심천
  • 보강천
철새 이동경로 연구
철새 이동경로 연구

철새는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이며, 생태계 변화의 대표적인 지표종으로서 철새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가장 기초적이며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철새이동경로 조사방법은 가락지 부착조사입니다. 최근에는 철새의 이동경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새에게 위치 추적기를 부탁하는 첨단기업도 함계 활용되고 있습니다.

위치추적기 부착
위치추적기 부착
  • 멸종위기종과 같은 중요 철새의 번식분포지역과 이동경로를 파악하거나, 행동권 연구를 위해 위치추적기를 활용합니다.
  • 위치추적기는 상용 인공위성망(Argos system)을 이용하는 PTT방식과 지상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GCT 방식이 있으며, 연구목적과 대상종의 생태적 특성에 맞게 사용합니다.
금속가락지 부착
  • 가락지는 크기가 다양하며, 조류의 크기에 맞게 부착합니다.
  • 가락지에는 국가명과 고유번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가락지에는 고유명과 가락지 크기와 고유번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금속가락지 부착

금속가락지는 전 세계적으로 조류 연구에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금속가락지는 각각 고유의 일련번호가 새겨져 있기 때문에, 가락지를 부착한 조류는 전 세계를 통틀어 단 하나의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가락지를 부착한 조류가 다른 지역에서 다시 포획되면, 가락지의 정보를 통해 지역간 이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락지 부착조사를 통해 새들의 이동경로 뿐만 아니라, 수명, 외부형태, 깃털갈이, 생태 등 다양한 정보도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유색가락지 부착
유색가락지

조류에 부착된 금속가락지의 정보 확인은 재포획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육안으로 쉽게 학인 가능한 유색표지를 함께 부착합니다. 유색표지는 부착위치에 따라 여러 유형이 있고, 보통 색과 코드번호(알파벳, 숫자 조합)을 통해 개체식별이 가능합니다.

  • 유색가락지를 부착한 저어새
    유색가락지를 부착한 저어새
  • 유색가락지를 부착한 재갈매기
    유색가락지를 부착한 재갈매기
  • 유색플랙을 부착한 큰뒷부리도요
    유색플랙을 부착한 큰뒷부리도요
  • 넥밴드를 부착한 개리
    넥밴드를 부착한 개리
  • 윙택을 부착한 흰꼬리수리
    윙택을 부착한 흰꼬리수리
  • 1유색가락지(color ring) : 다리에 부착하며, 다양한 색의 가락지를 여러개 부착하여 색조합에 따라 개체를 구분하거나, 코드번호가 새겨진 가락지를 부탁
  • 2유색플랙(color flag) : 다리에 부착하며, 깃발처럼 넓은면이 있음. 주로 도요물떼새류에 부착하며, 국가간 색조합을 달리하여 부착지역 확인이 가능
  • 3넥밴드(neck band) : 조류의 목에 부착하는 것으로 주로 기러기류, 고니류에 부착
  • 4윙택(wing tag) : 조류의 날개에 부착하는 것으로, 주로 긴 날개를 가진 맹금류, 갈매기류에 부착
이동경로 추적
이동경로 추적

위치추적기 부착과 가락지 부착조사를 이용한 철새이동연구를 통해 철새가 이동할 때 이용하는 지역과 경로를 파악하여 중요 보호종인 경우에는 이동경로를 관리 보호할 수 있스며, 해당 철새와 관련된 질병 발생시 국내에 전파될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가락지를 발견한다면?
가락지를 발견한다면?

우리나라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가락지 및 유색표지 부착 조류에 대한 정보를 총괄 관리합니다. 가락지나 유색표지를 부착한 조류를 발견했을 경우, 국립생물자원관 철새정보시스템의 [가락지 발견 보고]메뉴에 등록하게 되면 연구자에게 가락지 정보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락지 발견보고 바로가기 open_in_new

도요류 조사의 목적
도요류 조사의 목적

장거리로 이동하는 도요물떼새는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는 국가별 도래현황과 서식지 상황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자료는 중요합니다. 축적된 정보를 통해 종별 개체군 변동 추이를 확인하고 감소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보전 계획 수립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국내 서식지 특성]우리나라에서 도요류 조사는 200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점점 조사 지역이 확대되어 현재 서남해안 갯벌과 해안습지 20지역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조사지역 : 강화도, 영종도, 송도, 시화호, 대부도, 남양만, 아산만, 간월호, 천수만, 장항해안, 금강하구, 유부도, 만경강, 동진강, 곰소만, 함평만, 압해도, 여자만, 순천만, 낙동강하구
조사방법
조사방법

group 조사팀 : 2인 1조

preview 관찰장비 : 쌍안경과 망원경

  • 도요류는 간조시에는 갯벌의 넓은지역에 흩어져 있다가 만조가 되면서 물이 가장 마지막에 차오르는 곳을 향해 모여듭니다. 따라서, 관찰이 용이한 만조시간에 도요류가 집결하는 휴식장소를 중심으로 도요류의 종과 개체수를 기록합니다.
  • 장항해안, 금강하구, 유부도와 같이 간조 시 연결된 조간대 지역이나 만조 시 도요류가 이동 가능한 거리에 있는 지역은 같은 날에 조사하여 개체수 중복을 최대한 피합니다.

주요종

도요물떼새는 습지 주변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구하는 새입니다. 분류학적으로 물떼새과 도요과에 속하는 조류입니다. 물떼새류와 도요류 조류는 서식지를 고유하고 외형과 행동이 유사하지만, 가늘고 긴 부리를 가진 도요류는 부리를 활용한 먹이활동을 하며, 크고 둥근 눈을 가진 물떼새류는 시각에 크게 의존해 먹이활동을 합니다.

도요류

  • 중부리도요
    중부리도요
  • 뒷부리도요
    뒷부리도요
  • 알락꼬리마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물떼새류

  • 왕눈물떼새
    왕눈물떼새
  • 개꿩
    개꿩
  • 흰물떼새
    흰물떼새
도서지역 조류 조사
도서지역 조류 조사

우리나라의 도서지역은 소형 육상조류와 맹금류의 주요 경유지로서 내륙에서는 연구가 어려운 조류의 개체군 조사 및 생태 조사에 적합한 지역입니다. 또한 무인도에서는 바닷새의 집단 번식지로서 생태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바닷새 집단번식지 조사
바닷새 집단번식지 조사

서남해안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조류 번식지를 조사한 결과 놀아부리백로, 저어새 등의 주요 멸종위기종과 바다제비, 슴새, 괭이갈매기 등의 집단번식지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들 무인도서 번식지는 대부분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높은 절벽으로 둘러싸여 접근성 등의 어려움이 있지만, 지속적인 번식실태 조사를 통하여 보호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모으고 있습니다.

소형 육상조류(산새류) 이동 조사
소형 육상조류(산새류) 이동 조사

이동시기에 산새류가 넓은 바다를 날아가다 처음 만나게 되는 도서지역은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습니다. 이 시기만큼은 좁은 면적의 도서지역에 다양하고 많은 산새류가 도래하며, 대부분 경계심을 풀고 먹이에 집중하기 때문에 육지에 비해 산새류 조사가 훨씬 수월합니다. 봄과 가을 도서지역에 내려앉은 조류의 개체수 조사와 함께, 가락지 부착조사를 통해 철새의 이동 생태 연구 자료를 수집합니다.

소형 육상조류(산새류) 이동 조사
맹금류 이동 조사

봄과 가을철 서해 도서지역의 맹금류 이동 조사를 통해 한반도의 서해 도서지역이 멸종위기 맹금류의 매우 중요한 이동경로임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특히, 소청도는 벌매의 국내 최대 이동지역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맹금류가 대규모로 지나가는 이동경로로 맹금류 조사의 최적의 장소로 꼽히고 있습니다. 도서지역 맹금류 이동조사는 맹금류의 국내 도래현황과 서식지 파아, 그리고 멸종위기에 처한 맹금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말똥가리
    말똥가리
  • 솔개
    솔개
  • 벌매
    벌매
  • 새호리기
    새호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