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수염수리

Gypaetus barbatus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수염수리

Gypaetus barbatus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수염수리

Gypaetus barbatus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수염수리 Gypaetus barbatus (Linnaeus, 1758)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Falconiformes (매목) > Accipitridae (수리과) > Gypaetus (수염수리속) > barbatus (수염수리)
이명정보
[원기재명]
Vultur barbatus Linnaeus, 1758
[학명이명]
Vultur aureus Hablizl, 1783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약 110cm이다. 머리는 회색이고 몸 아랫면은 누런 갈색, 몸 윗면과 꽁지는 검은색이다. 눈을 지나는 검은 선은 수염처럼 보인다. 날개는 가늘고 길며 꽁지는 길고 쐐기꼴이다. 고산 지대의 바위 벽의 선반처럼 생긴 곳에 둥우리를 틀고 한배에 1~2개의 알을 낳는데 보통 1개만이 부화한다. 주로 동물의 죽은 고기를 먹는데, 먹이를 높은 곳에서 떨어뜨린 뒤 바스러진 뼈에서 골수를 빼먹는다. 때로는 거북도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함경남도, 강원도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고 세계적으로는 알타이, 중국, 몽골, 에스파냐, 모로코, 북아프리카, 티베트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알타이, 중국, 몽골, 에스파냐, 모로코, 북아프리카, 티베트 [2]

    함경남도, 강원도 [2]

  • 바위 벽의 선반처럼 생긴 곳에 둥우리를 틀고 한배에 1~2개의 알을 낳는데 보통 1개만이 부화한다. 주로 동물의 죽은 고기를 먹는데, 먹이를 높은 곳에서 떨어뜨린 뒤 바스러진 뼈에서 골수를 빼먹는다. 때로는 거북도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