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개구리매 bookmark_add Circus spilonotus Kaup, 1847

종명
[원기재명]
Circus spilonotus Kaup, 1847 (개구리매)

주로 개활지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47~55cm, 체중은 370~780g이다. 수컷은 몸 윗면이 짙은 회갈색이며, 암컷은 줄무늬가 있는 머리 부분을 제외하고는 몸 전체가 밝은 갈색이다. 저습지, 호숫가, 넓은 갈대밭 같은 습지 또는 논, 초지 등 개활지에 살면서 물고기, 뱀, 개구리, 물새, 설치류 따위를 잡아먹으며 갈대밭과 같은 습지의 지상에 둥지를 튼다.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많은 곳에 도래한다. 매년 규칙적으로 도래하진 않지만 천수만, 낙동강 하구 및 해남 간척지에서 비교적 규칙적으로 관찰된다. 시베리아 동남부, 몽골, 우수리, 사할린 지역에서 중국 동북부 및 일본 북부까지 분포한다. 한국, 일본 남부 지역, 중국 남부 및 동남아 등지에서 월동한다.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협에 처해 있지는 않으나 현존 개체수 및 개체군 동태에 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비슷한 서식지에 도래하는 잿빛개구리매에 비해 도래 집단의 규모는 작은 편으로 어느 지역에서나 잿빛개구리매에 비해 관찰 개체수는 적은 편이다. [저작재산권자]

  • 시베리아 동남부, 몽골, 우수리, 사할린, 중국 동남부, 홋카이도 등지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일본, 중국 남부,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시베리아 동남부, 몽골, 우수리 지방, 사할린 지역에서 중국 동북부 및 일본 북부까지 분포한다. 일본 남부지역, 중국 남부 및 동남아 등지에서 월동한다.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협에 처해 있지는 않으나 현존 개체수 및 개체군 동태에 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 소련 연방 지역에는 드물게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일본 북부에는 흔하지 않은 번식종이다. [3]

    시화호, 천수만이나 해남의 고천암호 등 간척호 인근과 금강 하구, 영산강 하구, 낙동강 하구 등에서 관찰기록이 있으나 개체수는 적은 편이다. [2]

    전국적으로 도래하는 흔하지 않은 겨울철새이며 통과철새이며,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많은 곳에서 기록되었다. 매년 규칙적으로 도래하는 곳은 알려진 곳이 없으나 천수만, 낙동강 하구 및 해남간척지에서 비교적 규칙적으로 관찰된다. 비슷한 서식지에 도래하는 잿빛개구리매에 비해 도래집단의 규모는 작은 편으로 어느 지역에서나 잿빛개구리매에 비해 관찰 개체수는 적은 편이다. ○ 경기도 옹진군 소청도 2002년과 2003년 9~10월에 적은 수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모두 섬의 동쪽에서 출현하여 서쪽으로 이동하여 바다 쪽으로 사라진 것으로 보아 중국으로 이동하는 집단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매년 가을 적은 수가 꾸준히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며, 봄의 이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자료가 부족하다. ○ 충청남도 천수만 90년대부터 매년 지속적으로 도래하는 지역이며, 9~10월의 가을 이동기에 관찰된 후 일정 기간동안 관찰되지 않다가 월동기에 다시 적은 수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동집단과 월동집단이 모두 이 지역에 도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가을에 이 지역을 통과한 집단은 해남을 비롯한 남해안지역에서 월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집단은 중국 쪽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있다. 아직까지 가을에 도서지역을 통해 중국쪽으로 이동하는 집단에 대한 자료는 없으나 2002년 5월 2일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에서 2개체가 관찰된 것으로 보아 봄에 중국에서 한반도로 이동해오는 집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전라남도 해남군 고천암호 90년대 후반부터 매년 1~2월의 월동기에 1~2개체가 지속적으로 관찰되며, 천수만과 함께 매년 규칙적으로 도래하는 지역이다. 주로 저수지 주변의 갈대밭 위를 낮게 날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접한 금호호와 영암호지역을 월동기 행동권으로 이용한다고 추정된다. [3]

  • 습지나 초원, 소택지, 넓은 갈대밭 등지에서 낮게 날면서 먹이를 찾는다. 주로 지상이나 초원에 앉아 쉬기도 하고, 나무 말뚝, 바위, 그리고 습지의 높지 않은 썩은 나무에 앉아 쉬기도 한다. 단독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고, 번식기 이외에는 소리를 내지 않는다. 번식기는 4월에서 6월 초로 알려져 있으며, 둥지는 습지나 소택지의 수초 위에 수초 줄기와 잎으로 만든다. 한배에 산란수는 4~5개이며, 알은 푸른색을 띤 흰색이다. 포란 기간은 33~48일이며, 육추 기간은 35~40일이다. 설치류, 작은 조류의 알이나 새끼, 물고기, 개구리 등을 먹는다(원 1981, 문화재청 2009). [2]

    저습지, 호숫가, 넓은 갈대밭 같은 습지 또는 논, 초지 등의 개활지에 주로 서식한다. 소형 육상조류나 그 새끼, 설치류 등 이용 가능한 먹이를 포식하며 주로 갈대밭과 같은 습지의 지상에 영소한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3] 국립생물자원관(2010), 멸종위기종분포조사사업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0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0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김창회, 강종현, 이윤경, 김동원, 서재화, 김명진 (2010)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조류의 국내 분포현황. 한국조류학회지 17 (1) : 67 – 137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 19970000 조삼래, 김현태 )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 19980000 이두표, 한상희 )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 20010000 조삼래, 강희영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 20030000 김화정, 안지영 )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 20040000 김화정, 김동원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 20040000 조삼래, 강희영 )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 20050000 김창회, 강종현 )
    • 김은미, 박찬열, 강창완 (2010) 최근 3년간 제주도에 도래한 법정보호조류의 출현 현황. 한국조류학회지 17 (3) : 259 – 27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 2006050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 2007110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 2007120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 2008010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 2008030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 200804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