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활엽수림 또는 혼효림에서 홀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갓은 최대 지름 15.0cm까지 자라며, 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흰색에서 담황색이며, 작은 인편으로 덮여 있다. 주름살은 어릴 때 흰색이었다가 성숙할수록 흑갈색이 되며, 주름의 폭은 빽빽하고, 대에서 떨어진형이다. 대의 크기는 8.0-15.0×1.0-2.0cm로, 원통형이며, 밑동 쪽으로 점점 굵어진다. 표면은 흰색이며, 약간의 인편이 있다. 턱받이는 흰색이며, 막질의 치마 모양이다. 포자는 타원형으로, 평활하며, 암갈색을 띤다. 크기는 7.0-10.0×4.0-5.0㎛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전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
-
[1] 국립생물자원관(2017),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Correction: Exploring the antibacterial, antidiabetic, and anticancer potential of Mentha arvensis extract through in‑silico and in‑vitro analysis. [Shah Faisal, Muhammad Hamza Tariq, Riaz Ullah, Sania Zafar, Muhammad Rizwan, Nadia Bibi, Aishma Khattak, Noora Amir, null Abdullah] BMC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2024 2 Complete genome sequence of a novel robigovirus infecting Mentha arvensis. [Hai-Tao Weng, Yi-Yuan Li, Jian-Ping Chen, Chuan-Xi Zhang, Jun-Min Li, Zhong-Tian Xu] Archives of virology 2024 3 Urban environment decreases pollinator availability, fertility, and prolongs anthesis in the field bindweed (<i>Convolvulus arvensis</i> Linnaeus, 1753). [Pavol Prokop] Plant signaling & behavior 2024 4 Phytoconstituent analysis,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effects of nano encapsulated Convolvulus arvensis L. extracts. [Ezzat E A Osman, Mohamed A Shemis, El-Sayed S Abdel-Hameed, Abdullah E Gouda, Hanem Hassan, Nahla Atef, Samah Mamdouh] BMC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2024 5 Depolymerized carrageenan expresses elicitor-like activity on Mentha arvensis L. under arsenic stress: Insights into arsenic resilience and monoterpene synthesis. [Aarifa Nabi, Tariq Aftab, M Masroor A Khan, M Naeem]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 PPB 2024 6 Exploring the antibacterial, antidiabetic, and anticancer potential of Mentha arvensis extract through in-silico and in-vitro analysis. [Shah Faisal, Muhammad Hamza Tariq, Riaz Ullah, Sania Zafar, Muhammad Rizwan, Nadia Bibi, Aishma Khattak, Noora Amir, null Abdullah] BMC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2023 7 Antibacterial Activity and Untargeted Metabolomics Profiling of <i>Acalypha arvensis</i> Poepp. [Valendy Thesnor, Roland Molinié, Ryland T Giebelhaus, A Paulina de la Mata Espinosa, James J Harynuk, David Bénimélis, Bérénice Vanhoye, Catherine Dunyach-Rémy, Muriel Sylvestre, Yvens Cheremond, Patrick Meffre, Gerardo Cebrián-Torrejón, Zohra Benfodda]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3 8 A comparative study of Mentha arvensis L. and Mentha haplocalyx Briq. by HPLC. [Bing Tian Zhao, Tae In Kim, Young Ho Kim, Jong Seong Kang, Byung Sun Min, Jong Keun Son, Mi Hee Woo] Natural product research 2018 9 MaRAP2-4, a waterlogging-responsive ERF from Mentha, regulates bidirectional sugar transporter AtSWEET10 to modulate stress response in Arabidopsis. [Ujjal J Phukan, Gajendra Singh Jeena, Vineeta Tripathi, Rakesh Kumar Shukla] Plant biotechnology journal 2018 10 Impact assessment of mercury accumulation and biochemical and molecular response of Mentha arvensis: a potential hyperaccumulator plant. [R Manikandan, S V Sahi, P Venkatachalam] TheScientificWorldJournal 2015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식용 주름살을 파내고 흰 살을 먹으며 죽을 쑤어 먹었으나 그리 즐겨 먹지 않음 -
표본 (총17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FG0000104749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경기도 파주시... 감악산 / 2008-08-06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08143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2008-07-26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12904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인천광역시 서... / 2009-09-01 건조표본 2건 NIBRFG0000122557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제주특별자치도... / 2012-09-10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30844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2013-10-14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30910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제주특별자치도... 도로변 / 2006-09-01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33328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서울특별시 노... / 1988-09-15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36859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서울특별시 관... / 2014-08-21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37021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충청남도 아산... 망경산 / 2014-07-26 건조표본 1건 NIBRFG0000138790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2014-08-20 건조표본 1건 소재 (총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65534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제주특별자치도... 도로변 / 2006-09-01 조직 1건 NIBRGR0000174918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2014-08-20 종자 8건 NIBRGR0000174945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2014-09-11 종자 8건 NIBRGR0000175984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충청남도 아산... 망경산 / 2014-07-26 조직 1건 NIBRGR0000176562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서울특별시 관... / 2014-08-21 조직 1건 NIBRGR0000189185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서울특별시 관... 관악산 / 2015-06-22 종자 5건 NIBRGR0000404730 Agaricus arvensis Schaeff. 1774 / 흰주름버섯 충청남도 아산... 부엉산 / 2016-09-06 조직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덕현 ; 이지열 (1981) 무등산일대(無等山一帶)의 고등균류상(高等菌類相)(II).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9 (2) : 73 – 76
무등산 ( 19800400 ) -
민태진 ; 김은미 ; 유선호 (1996) 한국산 버섯추출물의 항진균 및 항세균활성 검색(II).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24 (1) : 25 – 37
한국 ( ) -
박상신 ; 유국현 ; 민태진 (1998) 버섯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26 (1) : 69 – 77
한국 ( 19920000 ) -
김성태 ; 이강협 ; 민태진 (2003) 버섯 추출물이 인체 병원성 균에 미치는 항균활성의 특성.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31 (2) : 67 – 76
한국 ( ) -
김원택 ; 오덕철 (2003) 야생초파리의 번식처로 이용되는 제주도산 버섯.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31 (3) : 134 – 140
제주도 한라산 ( 19990400 ) -
고평열 ; 이승학 ; 전용철 (2012) 전통적으로 이용되는 제주 야생버섯의 종류와 분포.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40 (1) : 39 – 43
제주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