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주름버짐버섯

Pseudomerulius aureus (Fr.) Jülich 1979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주름버짐버섯

Pseudomerulius aureus (Fr.) Jülich 1979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주름버짐버섯

Pseudomerulius aureus (Fr.) Jülich 1979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주름버짐버섯 Pseudomerulius aureus (Fr.) Jülich 1979

분류체계
Fungi >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Boletales (그물버섯목) > Tapinellaceae (은행잎버섯과) > Pseudomerulius (주름버짐버섯속) > aureus (주름버짐버섯)

자실체는 배착성으로 간혹 가장자리가 짧게 반전하여 갓을 형성하기도 한다. 자실층은 등황색이나 암황갈색으로 방사상의 주름을 형성한다. 균사체계는 일균사형으로 꺾쇠연결을 지니는 생식균사를 가진다. 포자는 밋밋하고 원통형으로 크기는 3.5~4.5×1.3~1.8μm이다. 부후된 침엽수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나며, 세계적으로 북반구에 분포한다. 침엽수의 목재부후균으로 생태적 산업적 응용 가치가 있다. [저작재산권자]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