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풀색꽃무지

Gametis jucunda (Faldermann, 193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풀색꽃무지

Gametis jucunda (Faldermann, 193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풀색꽃무지

Gametis jucunda (Faldermann, 193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풀색꽃무지 Gametis jucunda (Faldermann, 1935)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Coleoptera (딱정벌레목) > Polyphaga (풍뎅이아목) > Scarabaeiformia (풍뎅이하목) > Scarabaeoidea (풍뎅이상과) > Cetoniidae (꽃무지과) > Cetoniinae (꽃무지아과) > Cetoniini (꽃무지족) > Gametis (풀색꽃무지속) > jucunda (풀색꽃무지)
이명정보
[원기재명]
Cetonia jucunda Faldermann, 1835
[학명이명]
Glycyphana albosetosa Motschulsky, 1861
Glycyphana argyrosticta Burmeister, 1842
Oxycetonia jucunda bealiae Gory and Percheron, 1833
Oxycetonia jucunda dolens Kraatz, 1879
Oxycetonia jucunda ferruginosa Reitter, 1898
Glycyphana jucunda
Glycyphana kuperi Schaum, 1848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길이 10~14mm, 폭 7~9mm로 소형이다. 체색은 흑색이며 담황색 털로 덮여 있으나 등 쪽은 전체적으로 녹색이며, 앞가슴등판과 딱지날개에는 담황색 작은 무늬들이 흩어져 있다. 가끔 딱지날개에 1쌍의 크고 붉은색 무늬가 있거나 전체가 거의 흑색인 개체 등 변이가 많다. 머리방패는 앞쪽 가장자리의 가운데가 V자형으로 깊게 파였고, 양옆은 강하게 늘어나 있다. 앞다리 종아리마디는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넓으며, 외치는 3개가 분명하다. 제1후부절은 바깥쪽 끝이 뾰족하거나 이빨처럼 늘어나 있다. 수컷의 복부복판에는 함몰부가 없다.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역에서 서식한다. 세계적으로는 인디아, 네팔, 통킹, 타이완, 중국, 구소련,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애꽃무지, 애기꽃무지, 애초록꽃무지라고도 부른다. [저작재산권자]

  • 인디아, 네팔, 통킹, 타이완, 중국, 구 러시아, 일본, 북아메리카 [2]

    국내분포: 북한, 중한, 남한, 제주도. 국내기록: NK-HB 관모봉, 나남, 주을, HN 개마고원, 부전령, 혜산진, 갑산, PB 묘향산(무릉참, 조원참, 내주참), PN 낭림산, 포상동, SK-서울(15장소)을 포함한 전국의 산야와 도서지방 140여 지역 약 200장소에서 약 7,000개체. 관찰표본(5,358ex): [SWU] 강원도: 167ex(고성, 삼척, 설악산, 오대산, 평창, 인제, 홍천, 횡성, 춘성, 원주: iv-viii.1980-2001). 경기도: 1,435ex(연천, 광릉, 포천, 가평, 양주, 남양주, 서울, 성남, 용인, 광주, 양평, 여주, 평택, 강화, 옹진군 제도: iv-x.1976-2000); 1ex(덕적도: 25.vi.2005); 1ex(구리: 26.viii.2005); 3ex(서울 서초동: 15, 21.v.2002). 충청: 66ex(충주, 월악산, 속리산, 중원, 옥천, 대전, 천안: v-ix.1986-2003); 1ex(청원군 미원: 7.vi.2008). 경상: 146ex(어래산, 소백산, 주왕산, 영풍, 청송, 문경, 안동, 울진, 울산, 거창, 사천: v-x.1979-2002); 1ex(상주: 6.vii.2008). 전라: 38ex(고창, 부안, 무주, 영광, 예천: v-ix.1989-1993). 제주도: 6ex(v-viii.1988-1994); 5ex(흑산도: 27.v.2008); 목록 생략: 1,500ex.[NAAS] NK-함경: 20ex [Seishin(=청진), Shuotsu(=주을), Sharei(=차령), Shakuoji(=안변 석왕사): v-ix.1922, 1923]. 강원도: 1ex[Gesseiji(=오대산 월정사): 15.ix.1923]; 13ex(춘천, 홍천: v-x.1985-1995). 경기도: 4ex [Kasan(=화성 화산): v-ix.1922]; 166ex(가평, 양평, 서울, 수원: iv-x.1922-1997); 4ex [Koryo(=광릉): iv-vi.1923, 1924]. 충청: 3ex(괴산, 청주, 청양: v-viii.1963-1991). 경상: 106ex(예천, 봉화, 영동, 마산, 사천, 남해: v-ix.1974-1993). 전라: 14ex(이리, 백양산, 내장산, 보성, 승주, 진도, 흑산도: v-ix.1950-1996). 제주도: 25ex(iv-x.1919-1996). [SNU] 강원도: 1ex(춘천: 11.v.1985). 경기도: 1ex(임진강: 20.vi.1988); 486ex(가평, 수원, 안양, 광주, 양평, 강화도, 서울: iii-x.1969-1997). 충청북도: 7ex(월악산, 괴산: v-vi.1984-1992). 경상북도: 4ex(월성: vi.1987). 전라남도: 28ex(백운산, 지리산: v-viii.1969-1997). 제주도: 5ex iv-ix.1967-1992). [KU] 강원도: 18ex(고성, 설악산, 화천, 춘천, 홍천: iv-viii.1978-1988). 경기도: 412ex(가평, 포천, 서울, 광릉, 성남, 광주, 양평: iv-x.1969-1992). 충청북도: 29ex(소백산, 황학산, 불영계곡: vi-viii.1978-1990). 경상남도: 7ex(통영: vii.1978). 전라: 20ex(내장산, 지리산, 조계산, 백운산, 신안: v-vii.1977-1991). 제주도: 24ex(4.v.1978). [HSU] 충청남도: 245ex(수덕사: iv-vi.1994-1997). [HMNH-NK] 함북: 17ex(청진: 2-5.vi.1991). 평북: 2ex(묘향산: 16.vii.1982). 평남: 6ex(Kyollyong Reservoir: 30.ix.1978); 2ex(영풍호: 1.x.1978); 11ex(개천 영풍호: 1.x.1978); 1ex(평화리: 23.v.1970); 6ex(16.viii.1971); 1ex(국사봉: 5.ix.1971). 평양: 1ex(자모산: 18.viii.1971); 61ex(2.ix.1971); 1ex(용악산: 29.ix.1979); 4ex(31.viii.1971); 1ex(평양: 11.ix.1980); 133ex(대성산: 10.vi.1970). 강원도: 22ex(금강산: 29, 30.v.1970); 1ex(12.vii.1977); 1ex(17.vi.1985); 3ex(12.vii.1991); 2ex(삼일포: 29.ix.1979); 1ex(Chonjon: 9.vi.1991). 황해: 9ex(사리원 소흥호: 28.ix.1978); 7ex(해주 수양산: 27,28.ix.1978). 경기도: 17ex(박연산: 6-8.vi.1970). [2]

  • 생태참고: Nakayama and Okamoto, 1940: 199; Saito, 1941: 12.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생물지발간연구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