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광대노린재

Poecilocoris lewisi (Distant, 188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광대노린재

Poecilocoris lewisi (Distant, 188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광대노린재

Poecilocoris lewisi (Distant, 188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광대노린재 Poecilocoris lewisi (Distant, 1883)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Hemiptera (노린재목) > Heteroptera (노린재아목) > Pentatomomorpha (노린재하목) > Scutelleridae (광대노린재과) > Scutellerinae (광대노린재아과) > Scutellerini (광대노린재족) > Poecilocoris (광대노린재속) > lewisi (광대노린재)
이명정보
[원기재명]
Poecilochroma lewisi Distant, 1883
[학명이명]
Poecilocoris lewisi peipingensis Yang, 1934

숲 가장자리의 여러 종류의 활엽수 위에서 생활하며, 가을이 되면 애벌레 상태로 낙엽 속이나 나무껍질 속에 들어가 겨울을 난다. 어른벌레는 금빛 녹색과 붉은색 줄무늬가 있지만 애벌레는 이와 달리 몸 전체가 흑백 무늬로 되어 있다. 이런 모습에서 예쁘게 꾸민 광대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대만 [1]

    전국 [1]

  • 5~9월에 나타나며, 주로 회양목 주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밖에도 여러 나무의 열매의 즙을 빨아 먹는다. 가을에 애벌레가 낙엽 밑에 들어가 겨울을 난다. 이듬해 5월경에 어른벌레가 되며 잎에 나란히 14개 정도의 알을 낳아 덩어리지게 한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