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암청색줄무늬밤나방

Arcte coerula (Guenée, 185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암청색줄무늬밤나방

Arcte coerula (Guenée, 185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암청색줄무늬밤나방

Arcte coerula (Guenée, 185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암청색줄무늬밤나방 Arcte coerula (Guenée, 1852)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Noctuoidea (밤나방상과) > Noctuidae (밤나방과) > Dyopsinae (암청색줄무늬밤나방아과) > Arcte > coerula (암청색줄무늬밤나방)
이명정보
[원기재명]
Cocytodes coerula Guenée, 1852
[학명이명]
Arcte coerulea (암청색줄무늬밤나방)

날개 편 길이는 66~78mm이다. 대형종으로 날개의 바탕색은 흑갈색인데 흑색 무늬가 있다. 내횡선과 외횡선은 물결무늬를 이루며 특히 외횡선은 바깥쪽으로 심히 굴곡 되었다. 앞날개는 광택이 나는 농갈색을 띠는데 시맥을 따라서는 미소한 흑색점의 열이 있다. 내횡선과 외횡선은 암갈색을 띠는데 외횡선은 시정에서 비스듬히 뻗어 후연의 중앙에 이르고 있다. 뒷날개는 청람색 바탕에 흑갈색 띠무늬가 발달되었다. 유충은 6~10월에 걸쳐 연 2회 발생한다. 노숙한 유충은 낙엽이나 흙 속에서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성충은 7~8월과 10월에 주로 우화하며 가을에 우화한 성충이 월동한다. 유충은 잎을 가해하며 목본보다 초본류에 피해가 많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나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극동 러시아, 대만, 인도네시아, 인도, 네팔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극동 러시아, 대만, 인도네시아, 인도, 네팔 [1]

    북부, 중부, 남부, 제주도 [1]

  • 유충은 6~10월에 걸쳐 연 2회 발생한다. 노숙한 유충은 낙엽이나 흙 속에서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성충은 7~8월과 10월에 주로 우화하며 가을에 우화한 성충이 월동한다. 유충은 잎을 가해하며 목본보다 초본류에 피해가 많다. 유충은 자극을 주면 앞몸을 일으켜 좌우로 흔드는 습성이 있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