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쑥털날개나방

Hellinsia lienigianus Zeller, 185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쑥털날개나방

Hellinsia lienigianus Zeller, 185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쑥털날개나방

Hellinsia lienigianus Zeller, 185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쑥털날개나방 Hellinsia lienigianus Zeller, 1852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Pterophoroidea (털날개나방상과) > Pterophoridae (털날개나방과) > Pterophorinae > Oidaematophorini > Hellinsia > lienigianus (쑥털날개나방)
이명정보
[원기재명]
Pterophorus lienigianus Zeller, 1852
[학명이명]
Leioptilu lienigianus (쑥털날개나방)
Pterophorus scarodactllus var. catharodactylus Caradja, 1920
Pterophorus hirosakianus Matsumura, 1931
Pterophorus melinodactylus Herrich-Schäffer, 1855
Pterophorus scarodactylys Becker, 1861
Ovendenia septodactyla Tutt, 1905
Leioptilous sericeodactylus Pagenstecher, 1900
Leioptilus serindibanus Walsingham, 1887
Pterophorus victorianus Strand, 1913

날개 편 길이는 16.0mm로 소형 나방이다. 성충은 누런빛을 띤 흰색이다. 앞날개는 두 갈래, 뒷날개는 세 갈래로 나뉜다. 뒷날개가 앞날개보다 약간 어두운 색을 띤다. 배 표면에 점들이 산재해있다.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며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및 러시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러시아 [1]

    경기도(연천군 성산, 광릉, 포천, 남양주시 축령산), 강원도(화천군 광덕산, 가평군 화악산, 양양, 강릉 오대산, 홍천군 약수산, 홍천 팔봉산, 춘천 봉명리, 고성군 화진포, 춘천시 가정리, 홍성), 충청남도(논산 대둔산), 경상남도(창원 불곡사, 백운산 남원사), 전라북도(상수군 장안산, 완주군 대둔산), 전라남도(광양시 백운산), 제주시(관운사) [1]

  • 유충은 <I>Artemisia campestris</I> L., <I>Artemisia maritima</I> L., <I>Artemisia vulgaris</I> L., <I>Leucanthemum vulgare</I> Lam., <I>Tanacetum</I> sp., <I>Xanthium strumarium</I> L. <I>Zinnea</I> L., <I>Buddleja</I> L., <I>Solanum melongena</I> L. var. <I>pumilio</I> Hara 등의 다양한 식물을 기주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월 중순과 8월 중순에 가장 많은 빈도를 보여 연 2회의 세대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자생생물 정보확보 관리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