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크로바애기잎말이나방

Olethreutes doubledayana (Barrett, 187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크로바애기잎말이나방

Olethreutes doubledayana (Barrett, 187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크로바애기잎말이나방

Olethreutes doubledayana (Barrett, 187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크로바애기잎말이나방 Olethreutes doubledayana (Barrett, 1872)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Tortricoidea (잎말이나방상과) > Tortricidae (잎말이나방과) > Olethreutinae (애기잎말이나방아과) > Olethreutini (산애기잎말이나방족) > Olethreutes (왕애기잎말이나방속) > doubledayana (크로바애기잎말이나방)
이명정보
[원기재명]
Sericoris doubledayana Barrett, 1872

성충의 날개를 편 길이는 11~15mm이다. 앞날개는 넓다. 앞가장자리 선은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날개 끝은 잘린 모양이다. 바깥 가장자리 선은 후연각에서 길이의 1/3 지점에서 깊게 휜다. 전체적인 색깔은 흰빛을 띤 황토색이고, 얼룩무늬는 적갈색 빛을 띤 갈색이다. 앞가장자리에는 흰색 빛을 띤 쌍으로 된 줄무늬 7~9쌍이 앞가장자리 선을 따라 있다. 연모는 흰색을 띤 황토색이고, 날개 끝은 납색으로 뒤덮여 있다. 뒷날개는 긴 달걀 모양으로 회색이며, 날개 끝은 뾰족하다. 애벌레는 기주식물인 토끼풀의 잎을 말고 그 속에서 산다. 암컷은 알을 1~10개씩 기주식물의 주맥에 1열로 산란하는 습성이 있다. 한국(남한), 일본, 중국, 유럽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유럽 [2]

    국내기록: [남한] 경기도: 1♂, 1♀(광릉: 27.vi.1986); 1♂, 3♀(22.vii.1986); 3♂, 6♀(7.viii.1986); 23♂, 20♀(수원: 4.vi.1974); 10♂, 2♀(13.viii.1974); 17♂, 16♀(10.ix.1974); 1♂(28.vii.1975); 8♂, 5♀(1.ix.1975); 12♂, 10♀(23.vi.1977); 2♂, 2♀(22.vii.1977); 10♂, 15♀(11.viii.1980); 3♂, 12♀(23.v.1982, coll. CIS). 강원도: 4♂(광덕산: 19.viii.1997); 2♂(대덕산, 태백: 11.vii.1997). 경상남도: 1♂(우포늪: 28.vii.1997, coll. UIB). 관찰표본: [남한] 강원도: 1♀(춘천: 25.vi.1986); 15♂, 1♀(7.vii.1987); 3♂, 13♀(홍천: 5.ix.1986); 6♂, 2♀(화천: 2.vii.1985); 3♂(양구: 15.viii.1985); 1♀(도솔산: 13.viii.1985); 1♂(양양: 30.vi.1987). [2]

  • 생태: 애벌레는 <I>Dorycnium</I>, <I>Lotus erectus</I>, 돌나물속(<I>Sedum</I>), <I>Cyperus longus</I>를 먹는다. 일본에서는 토끼풀속(<I>Trifolium</I>), 개자리속(<I>Medicago</I>), <I>Glycine hispida</I>를 기주로 한다. 1령의 유충은 잎의 끝부분을 철하고 먹는다. 1년에 1회 발생하며, 러시아에서는 2회 발생하고, 일본에서는 3회 발생한다(Razowski, 2003). 유충은 기주식물인 토끼풀의 잎을 말고 그 속에서 사는 생태적 특성이 있다. 암컷은 알을 1~10개씩 기주식물의 주맥에 1열로 산란하는 습성이 있다(Igarashi and Oku, 1969). 기주식물: 한국 ~ 콩과(Leguminosae): 토끼풀(<I>Trifolium repens</I> L.)(Park, 1983b)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생물지발간연구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