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충무띠달팽이

Euhadra herklotsi (v. Martens, 186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충무띠달팽이

Euhadra herklotsi (v. Martens, 186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충무띠달팽이

Euhadra herklotsi (v. Martens, 186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충무띠달팽이 Euhadra herklotsi (v. Martens, 1860)

분류체계
Animalia > Mollusca (연체동물문) > Gastropoda (복족강) > Heterobranchia (이새아강) > Euthyneura > Eupulmonata > Stylommatophora (병안목) > Helicina > Helicoidei > Helicoidea (달팽이상과) > Bradybaenidae (달팽이과) > Euhadra (띠달팽이속) > herklotsi (충무띠달팽이)
이명정보
[원기재명]
Helix herklotsi Martens, 1860
[학명이명]
Euhadra herklotsi herklotsi (Martens, 1861)
Eulota luhuana Reeve, 1852
Euhadra nesiotica Pilsbry, 1902
Euhadra luhuana tsushima
Euhadra luhuana tsushimana Möellendorff, 1900
Euhadra tsushimana

나탑은 5.5층이다. 각피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적갈색 색대(色帶)가 있다. 패각 전면에 조밀한 성장맥이 비스듬하게 나타난다. 봉합은 뚜렷하고 체층으로 갈수록 깊고 확실해진다. 각구는 끝이 약간 두꺼워져서 뒤로 젖혀지고 안쪽에 흰색의 활층이 있다. 축순에 의해 제공이 약간 덮인다. 제공은 좁고 깊지 않다. 남부지방의 숲속 낙엽 밑이나 돌무덤에 서식한다. [저작재산권자]

  • 제주도, 남부지역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