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두줄민달팽이

Limax marginatus Müller, 177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두줄민달팽이

Limax marginatus Müller, 177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두줄민달팽이

Limax marginatus Müller, 177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두줄민달팽이 Limax marginatus Müller, 1774

분류체계
Animalia > Mollusca (연체동물문) > Gastropoda (복족강) > Heterobranchia (이새아강) > Euthyneura > Eupulmonata > Stylommatophora (병안목) > Helicina > Limacoidei > Limacoidea (뾰족민달팽이상과) > Limacidae (뾰족민달팽이과) > Limax (노랑뾰족민달팽이속) > marginatus (두줄민달팽이)
이명정보
[국명이명]
두줄달팽이

연체동물의 복족류에 속하는 육산패류는 대부분 패각을 지니고 있으나, 이 패각을 소실하고 연체부가 드러난 채로 살아가는 무리를 ‘민달팽이류’라고 한다. 오래전부터 국내에 자생하는 민달팽이, 산민달팽이와는 달리 본 종은 유럽에서 이입된 외래종이다. 패각은 퇴화되어 머리 부분에 흔적기관으로 남아 있다. 외투막이 머리 부분만 덮고 있고 꼬리 부분에 능각이 있다. 본 종이 속하는 뾰족민달팽이과(Limacidae)는 모두 유럽에서 유입된 외래종이며, 대부분 화훼작물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저작재산권자]

  • 체코, 네덜란드, 슬로바키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영국, 아일랜드, 노르웨이, 스페인 [1]

    강원도, 경상북도(울릉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1]

  • 대부분 인가 주변의 그늘지고 건조한 녹지대나 돌, 쓰레기 더미 밑에서 발견된다. 먹이는 부패되는 잎이나 나무줄기 등의 식물성 파쇄물이고, 난생으로 체내 수정을 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외래종으로 아직 국내에서의 정확한 서식생태나 산란 시기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