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문어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문어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문어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문어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분류체계
Animalia > Mollusca (연체동물문) > Cephalopoda (두족강) > Coeoidea (초형아강) > Decapodiformes (십완상목) > Octopoda (문어목) > Octopodoidea (문어상과) > Octopodidae (문어과) > Enteroctopus (진문어속) > dofleini (문어)
이명정보
[학명이명]
Octopus (Enteroctopus) dofleini (Wulker, 1910) (문어)
[국명이명]
대문어

문어목 문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이다. 몸은 대형으로 최대 3m까지 자라지만 보통은 1~1.5m인 개체가 많거나 이보다 작다. 몸통은 둥글며, 길이가 폭보다 다소 길다. 몸의 표면은 매끄럽지만 육질돌기가 몸통 전체에 나 있다. 눈은 몸통에 비해 작은 편인데 눈 위에 3~4개의 돌기를 가진다. 팔은 긴 편으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가장 긴 다리는 전체 길이의 75% 정도이다. 다리마다 250~300개의 흡반을 가진다. 수컷의 세 번째다리는 생식다리이며 교접기는 가늘고, 곧고, 길며, 끝이 뭉툭하지 않다. 아한대성 종으로 보통 찬물 영향이 있는 먼바다에 서식하지만 산란 시기에 연안으로 올라와 이듬해 알을 낳는다. 문어의 수명은 산란과 관계가 깊은데 최대 5년까지 살 수 있지만 산란 후 대부분 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암컷 문어는 알이 정상적으로 부화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데 이와 같은 습성이 사람들에게 "문어의 모성"으로 비추어진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홋카이도, 북미 서부 해안, 북태평양 아한대 해역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홋카이도, 북미 서부 해안, 북태평양 아한대 해역 [1]

    전 해역 [1]

  • 가을철 연안의 낮은 수심 암초지대에서 지내며, 이듬해 봄에서 여름 사이에 10~50m 수심의 암벽 틈, 돌 밑, 해조류 기부 사이 등에 알주머니를 붙인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식용
    2 문헌 농사용 소병을 고치는 비방에 의하면 소가 하루 혹은 이틀 동안 먹지 않으면 문어 다리 한 개를 우선 코뚜레 대신 꿰어 놓고 황토를 이기여 도가니를 만드는데 소량의 인분과 지렁이를 적당히 흙에 섞어서 도가니를 되박만하게 만들어서 불에 구어 가지고 끓는 물에 넣었다가 가라 앉은 다음 건져 내고 그 물을 먹인다. 이것을 먹일 때에 긴 작대기를 코등에 가로 대고 문어 다리의 량 끝을 동여 매고 두손으로 작대기를 쳐들어서 주둥이를 벌리고 즉시 먹인다음 땅 구덩이 깊이는 소 배 가슴에 닿을 만하게, 길이는 소 한 마리가 들어 갈 만하게 파고 그 안에 불을 놓아 화끈화끈 달게 한 뒤에 생쑥을 엮어서 구덩이 바닥에 한 벌 깔고 또 섬거적을 쑥 우에 한 벌 깐다. 그런 뒤에 물을 가으로 돌려 뿌려서 더운 김이 나게 하되 너무 더우면 조금 식힌 뒤에 소를 그 가운데 끌어 넣는다. 소가 만일 답답한 고통을 참지 못하여 몸부림을 칠 때에는 코를 꿰인 나무를 량편에서 힘껏 잡고 눌러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땀을 내게 한다.
    3 문헌 약용 구급_산후의 모든 병 산후에 발열(發熱)할 때에는 문어(文魚)를 가루로 만들어 콩잎국[藿羹]에 타서 먹인다.
    4 구전 식용 제사상에 올리는 생선들은 조기, 꺽지, 사배기, 문어, 산어 등을 산적으로 올리고 고등어는 안 씀
    5 구전 식용 조기, 문어, 청어를 씀 청어는 젤 위에 올리는 고기임 가자미도 올라가고 오징어포도 올림 동태포를 올림
    6 구전 식용 제사에는 3탕, 5탕, 7탕까지 끓임 고등어, 문어, 상어 등 여러 가지를 쓰며 제사 음식 만들던 찌끄러기 고기들을 넣음
    7 구전 식용 제사상에는 문어를 삶아 올림
    8 구전 식용 닭은 통째로 삶아 올리고 문어도 씀 수치를 올림
    9 구전 식용 제사상에는 조기, 고등어, 문어, 명태포를 올림
    10 구전 약용 문어 알을 생것으로 먹음
  • 표본 (총11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IV0000106071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전라남도 신안... 가거도 / 2008-07-01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06902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전라남도 신안... 개린여 / 2008-08-28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07004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전라남도 신안... 중간간여 / 2008-08-27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07286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전라남도 신안... 가거도 / 2008-08-27 액침표본 1건
    NIBRIV0000108567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강원도 고성군... 대진항 / 2008-07-12 액침표본 1건
    NIBRIV0000309739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제주특별자치도... 문섬 한개 / 2011-06-08 액침표본 1건
    NIBRIV0000324233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경상남도 통영... / 2015-07-29 액침표본 1건
    NIBRIV0000425921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경상북도 울릉... 선착장 / 2015-04-22 액침표본 1건
    NIBRIV0000754832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경상남도 통영... 매물도 / 2012-10-13 액침표본 1건
    NIBRIV0000754833 Enteroctopus dofleini Wülker, 1910" / 문어 경상남도 통영... 매물도 / 2012-10-13 액침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이성일 ( Sung Il Lee ) , 황선재 ( Seon Jae Hwang ) , 양재형 ( Jae Hyeong Yang ) , 심정민 ( Jeong Min Shim ) (2008) 왕돌초 해역에서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20 (4) : 291 – 302

      왕돌초 해역 ( 20020000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