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숭어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숭어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숭어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숭어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ctinopterygii (조기강) > Mugiliformes (숭어목) > Mugilidae (숭어과) > Mugil (숭어속) > cephalus (숭어)
이명정보
[원기재명]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숭어)

숭어목 숭어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몸길이 50~120cm이다. 머리는 다소 납작하지만 몸 뒤쪽으로 가면 옆으로 납작하다. 눈은 크며 잘 발달된 기름눈까풀로 덮여 있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길며, 양턱에는 가느다란 솜털 모양의 이빨이 1줄로 나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등지느러미는 주둥이 끝과 꼬리지느러미 기저의 중간에 위치한다. 가슴지느러미는 비교적 작고, 몸의 중앙에 위치한다. 몸은 비교적 큰 둥근 비늘로 덮여 있고 측선은 없다. 몸의 등 쪽은 암청색을 띠며 배 쪽으로 밝아져 은백색을 띤다. 지느러미는 연한 갈색을 띠며 배지느러미만 투명하다. 가슴지느러미 기저에 푸른색의 반점이 있다. 산란은 한국의 경우 10~2월에 연안에서 이루어진다. 주로 연안에 서식하나 강 하구나 민물에도 들어간다. 온대·열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열대와 온대 지역 [2]

    전국 연안과 하구역 [2]

  • 산란은 한국의 경우 10~2월에 연안에서 이루어진다. 주로 연안에 서식하나 강 하구나 민물에도 들어간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8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ffect of cryopreservation on motility, DNA integrity and gene expression in grey mullet, Mugil cephalus sperm. [Ramachandran Balamurugan, Sundaram Karthik, Venkatesan Arul] Cryobiology 2024
    2 The investigation of post-thaw chilled storage and the applicability of large-scale cryopreservation in chub (Squalius cephalus) sperm. [G Bernáth, B Csorbai, B Nagy, E Csókás, J Molnár, T Bartucz, Z L Láng, M Gyurcsák, Á Hegyi, J Kobolák, J D Griffitts, Á Ferincz, B Urbányi, Z Bokor] Cryobiology 2023
    3 Blood serum enzymes and antioxidant system of liver in grey mullet,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fed with different level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yeast Akbary paria;Marine Sciences Faculty, Fisheries Group, Chabahar Maritime University, Chabahar, Iran; Journal of Aquaculture Development 2021
    4 Participation of Phosphatidylinositol-3 Kinase Signalling in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Bovine Insulin (B-Insulin) and Human-Insulin-Like Growth Factor-I Induced Oocyte Maturation and Steroidogenesis in the Grey Mullet, <i>Mugil Cephalus</i>. [P Das, I Saha, A Chatterjee, K Pramanick, S B Chakraborty, A Maity, S Bhowal, D Pradhan, D Mukherjee, B R Maiti] Acta endocrinologica (Bucharest, Romania : 2005) 2020
    5 Environmental Investigations and Tissue Bio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Grey Mullet from the Black Sea (Bulgaria) and the Ionian Sea (Italy). [Francesco Fazio, Claudio D'Iglio, Gioele Capillo, Concetta Saoca, Katya Peycheva, Giuseppe Piccione, Lubomir Makedonski] Animals : an open access journal from MDPI 2020
    6 Impa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hlorella vulgaris (Beijerinck, 1890) on the growth, antioxidant defense and immune status of the grey mullet,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Akbary P;Aminikhoei Z; Iranian Journal of Aquatic Animal Health 2019
    7 Growth Performance, Biochemical Indices and Antioxidant Status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Under Dietary L-Carnitine Supplementation Akbary, Pari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dia. Section B 2019
    8 Genetic structure of Mugil cephalus L. populations from the northern coast of Egypt. [Mahmoud Magdy, Mariam Gergis Eshak, Mohamed Abdel-Salam Rashed] Veterinary world 2016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9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가을에 야생에서 미꾸라지, 숭어, 메기, 뱀장어를 잡아 그 전체에 제피(초피나무) 가루를 첨가하고 솥에 삶아서 추어탕, 어죽, 찌개, 매운탕(씨레기)으로 만들어 먹으면 보양식으로 좋다.
    2 구전 약용 봄에 숭어알(숭어) 두 개를 말려서 삶아 먹으면 여성불임 치료에 효과가 있다.
    3 문헌 식용 숭어 만두. 신선한 숭어를 얇게 저며 소금간을 살짝 하여 소는 기름지고 연한 고기를 잘 익혀 잘게 두드려, 두부, 생강, 후추를 섞어 기름간장에 잘 볶는다. 저민 고기로 싸서 단단히 말아 허리가 굽은 만두 형상으로 만들어 토장가루를 온몸에 두루 묻힌다. 새우젓국을 싱겁게 타서 넣고 많이 끓거든 대접에 대여섯 개씩 뜨고, 파를 넣어 손님상에 놓는다.
    4 문헌 식용 어육류 어전법 - 생선전 만드는 법. 살찐 숭어나 아무 고기라도 가시가 없이 저며서 간장기름에 밀가루를 입혀 재워 기름에 지져 쓴다.
    5 문헌 기타 <삼국지의 주에, '개상은 이미 치어를 얻고, 손권은 또 촉나라 생각을 구하여 제를 만들었다.'고 하였다.
    6 문헌 식용 삼색어아탕: 새끼 은어나 숭어의 비늘을 벗겨 녹두가루를 묻히는데, 칼자루로 고루 두드려 녹두가루가 고루 스미는 것이 좋다. 이것을 뜨거운 물에 삶아 건져 찬물에 넣어 차게 식히고, 수병 처럼 자른다. 또 이 생선을 잘게 썰어 녹두가루, 후추, 호향, 흰 파등의 재료에 된장을 고루 섞어 함께 짓이긴 된장에 고루 섞고, 새알 크기의 완자를 만든다. 대하 몇 마리의 껍질을 벗겨 두 쪽으로 가르고, 삼색으로 물들인 녹두묵을 수병처럼 썰어 함께 탕에 넣어 먹는다.
    7 문헌 식용 평양에서 잡은 냉동된 것이 맛있다.
    8 문헌 식용 숭어를 얇게 져며 녹말을 묻혀 가늘게 회처럼 썰고 천엽, 양, 곤자소니, 꿩, 왕새우, 전복, 해삼, 삶은 돼지고기를 얇게 저며 가늘게 채처럼 썬다. 오이는 껍질을 벗기고 미나리, 표고버섯, 석이버섯, 파, 국화잎, 생강, 달걀흰자, 노른자 부친 것, 고추를 다 채친다. 나무새와 고기는 생선과 마찬가지로 녹말을 묻혀 삶되, 한 가지 씩 체에 담아 차례로 삶는다. 무채를 곱게 쳐서 연지물을 들여 삶아 생선, 고기, 나무새붙이를 밑에 놓고 달걀지단, 석이 버섯, 왕새우, 국화잎 썬 것과, 붉은 무채, 생강, 고추 썬것은 위에 담는다. 맛이 청량하고 오색이 어우러져 보기 좋아 삼월부터 칠월까지 쓴다. 겨자 또는 초간장에 먹는다.
    9 문헌 식용 쇠볼기 기름과 힘줄을 없애고 볕에 말리어 물기 없이 하여 10근, 생치, 닭 각 열마리를 살짝데쳐 내장을 없애고, 숭어나 도미를 깨끗이 씻어 비늘과 머리를 제거하고 볕에 말리어 물기를 없이 해서열 마리, 생복, 홍합, 크고 잔새우, 계란, 생강, 파, 두부도 준비한다. 쇠고기를 독 밑에 깔고, 생선, 닭, 생치 순을 넣은 뒤 메주를 장 담그는 법대로 넣는다. 메주1알에 소금 7되를 끓여 식힌 물에 풀어 장 담그는 법과 같이 한다. 짚을 독의 몸을 싸 묻고, 기름 종이로 독 부리를 단단히 봉하여 뚜껑을 덮고 흙으로 묻는다. 1년 후 먹는다.
    10 구전 약용 겨울에 숭어를 잡아서 미역국을 끓여 산후조리용으로 먹는다.
  • 표본 (총23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P0000001621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북도 경주... / 2006-05-06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2027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전라남도 고흥... / 2005-10-23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2830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북도 경주... 대종천 / 2007-08-08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2961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부산광역시 중... / 2008-03-03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3108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사천... / 2007-04-07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3153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인천광역시 강... 강화도 / 2007-06-20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3259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전라남도 신안... / 2008-09-02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3702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2008-10-15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4301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강원도 고성군... / 2009-02-14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4387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제주특별자치도... / 2009-02-25 액침표본 1건

    소재 (총41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3603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전라남도 여수... / 2007-02-25 조직 1건
    NIBRGR0000063648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사천... / 2007-04-07 조직 1건
    NIBRGR0000109625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강원도 강릉시... / 2011-08-28 조직 1건
    NIBRGR0000125727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거제... / 2011-07-25 조직 1건
    NIBRGR0000125783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전라남도 강진... / 2011-07-30 조직 1건
    NIBRGR0000125941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거제... / 2011-10-20 조직 1건
    NIBRGR0000126901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거제... / 2011-07-25 조직 1건
    NIBRGR0000126902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거제... / 2011-07-25 조직 1건
    NIBRGR0000126903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거제... / 2011-07-25 조직 1건
    NIBRGR0000126904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 숭어 경상남도 거제... / 2011-07-25 조직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정보영(Bo Young Jeong),최병대(Byeong Dae Choi),이종수(Jong Soo Lee) (1998) 연구논문 / 12 종 어류의 일반성분조성과 콜레스테롤 및 α - 토코페롤 함량의 계절변화. 한국수산과학회지 31 (5) : 707 – 712

      한국 남해 연근해 ( )
    • 정보영(Bo Young Jeong) (1999) 연구논문 / 12 종 어류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계절적 변화. 한국수산과학회지 32 (1) : 30 – 36

      한국 남해 연근해 ( )
    • 변화근(Hwa Keun Byeon), 오재경(JaeKyoung Oh) (2015) 강릉남대천의 어류군집 변화 및 도입어종의 서식 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9 (5) : 718 – 728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 하구 ( 20130900 )
    • 최윤 ( Youn Choi ) (1996) 군산연안 유어기 감성돔의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8 (1) : 9 – 13

      한국 ( )
    • 황학빈(Hwang Hak Bin),이태원(Lee Tae Won) (1999) 아산만 천해역 수심에 따른 어류 종 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1 (1) : 52 – 61

      아산만 입구 입파도 서쪽해역 ( 19971000 )
    • 한경호 ( Kyeong Ho Han ) , 손종철 ( Jong Chul Son ) , 황동식 ( Dong Sik Hwang ) , 최수하 ( Soo Ha Choi ) (2002) 포항 석병연안에서 삼중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 (2) : 109 – 120

      Pohang ( 19980100 )
    • 임한규 ( Han Kyu Lim ) , 한형균 ( Hyoung Kyun Han ) , 이종하 ( Jong Ha Lee ) , 정민환 ( Min Hwan Jeong ) , 허준욱 ( Jun Wook Hur ) (2005) 단계적 염분변화가 Striped bass 잡종(Morone chrysops×M. saxatilis)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류학회지 17 (1) : 43 – 48

      한국 ( )
    • 백근욱 ( Gun Wook Baeck ) , 곽석남 ( Seok Nam Kwak ) , 허성회 ( Sung Hoi Huh ) (2005)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 (1) : 8 – 18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 ( )
    • 정현호 ( Hyun Ho Jeong ) , 한경호 ( Kyeong Ho Han ) , 김춘철 ( Chun Chel Kim ) , 윤성민 ( Seung Min Yoon ) , 서원일 ( Won Il Seo ) , 황선영 ( Seon Yeong Hwang ) , 이성훈 ( Sung Hun Lee ) (2005) 여수 돌산도 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 (1) : 64 – 72

      여수 돌산도 연안 ( 200303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304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305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306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307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308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309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40100 ) 여수 돌산도 연안 ( 20040200 )
    • 김병기 ( Byung Gi Kim ) , 곽우석 ( Woo Seok Gwak ) (2006)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8 (3) : 234 – 243

      Jisepo bay of Geoje Island ( 20050300 )
    • 곽석남 ( Seok Nam Kwak ) , 허성회 ( Sung Hoi Huh ) (2007) 마산만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9 (2) : 132 – 141

      Masan Bay ( 20040900 )
    • 차병열 ( Byung Yul Cha ) , 김대권 ( Dae Kwon Kim ) , 서성호 ( Seong Ho Seo ) (2007) 2006 남해안 해역별 어류의 출현 종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9 (3) : 210 – 224

      한국 경남 통영,전남 여수,장흥,진도 ( )
    • 김준섭 ( Jun Sop Kim ) , 안순모 ( Soon Mo An ) , 곽우석 ( Woo Seok Gwak ) (2014) 경남 고성지역의 소하천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26 (4) : 322 – 330

      마암천,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화산리 화산교 부근 ( 20110900 ) 구만천,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화산리 배둔교 부근 ( 20110900 )
    • 황학빈 ( Hak Bin Hwang ) , 이태원 ( Tae Won Lee ) , 황선완 ( Sun Wan Hwang ) , 김병직 ( Byung Jik Kim ) (2008) 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어류의 월별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0 (3) : 210 – 219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천제연 하구 ( 20040000 )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천제연 하구 ( 20070000 )
    • 홍지민 ( Ji Min Hong ) , 윤재선 ( Jae Seon Yoon ) , 이태원 ( Tae Won Lee ) (2014) 태안 연안에서 이각망에 의해 채집된 숭어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26 (3) : 194 – 201

      태안군 소원면 의향리 만입구 ( 20080400 ) 태안군 소원면 의향리 만입구 ( 20081100 ) 태안군 소원면 의향리 만입구 ( 20080200 ) 태안군 소원면 의향리 만입구 ( 20080300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