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거북목 늪거북과에 속하는 파충류이다. 수컷은 15cm가량이고, 암컷은 20cm 안팎이다. 등딱지는 완만하게 굽어 있다. 등딱지 빛깔은 진한 초록색 바탕에 노란색의 줄무늬가 있다. 눈의 바로 뒤쪽에 붉은색 띠가 있다. 아래턱은 둥글고, 뒷발가락은 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성숙한 수컷은 앞발톱이 자신의 뒷발톱이나 암컷의 발톱에 비해 2배 정도로 길게 자란다. 수컷은 꼬리에 위치한 항문이 등딱지의 끝을 벗어나 드러나 있으나, 암컷의 경우 벗어나지 못한다. 또 수컷의 꼬리는 굵고 길지만 암컷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물이 많고 비교적 흐름이 약한 호수나 큰 강, 작은 웅덩이에 살며 수생 동물로서 알을 낳을 때나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나설 때가 아니면 물가를 떠나지 않는다. 어릴 때는 육식성이지만 나이를 먹으면서 초식성으로 변하고 어른이 되면 대부분 수생 식물만을 먹는다. 1년에 5~22개의 알을 낳는다. 성적으로 성숙하는 데에는 수컷은 1년, 암컷은 3년이 걸린다. 자연 상태에서 수명은 약 20년이다. 애완용으로 들여온 것이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미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미국 [2]
전국 [2]
-
수생 동물로서 알을 낳을 때나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나설 때가 아니면 물가를 떠나지 않는다. 어릴 때는 육식성이지만 나이를 먹으면서 초식성으로 변하고 어른이 되면 대부분 수생 식물만을 먹는다. 1년에 5~22개의 알을 낳는다. 성적으로 성숙하는 데에는 수컷은 1년, 암컷은 3년이 걸린다. 자연 상태에서 수명은 약 20년이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1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 Heon Joo Lee ) , ( Dae Sik Park ) (2010) Distribution,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et of freshwater turtles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Seomjin River and Nam River in souther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3 (3) : 237 – 244
경상남도 남강 ( 20090617 ) 전라북도 섬진강 ( 20090617 ) 경상남도 남강 ( 20090617 ) -
( Tae Cheol Rhyu ) , ( Byung Gug Yang ) (2011) Special Feature : The enterprising evaluation for the Korean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KNLTER) Project for six years (Review).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4 (1) : 11 – 18
한국 ( ) -
오홍식 ( Hong Shik Ok ) , 홍창의 ( Chang Eui Hong ) (2007)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서식실태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 (4) : 311 – 31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반못 ( 200503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