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

분류체계
Plantae > Pteridophyta (양치식물문) > Polypodiopsida (고사리강) > Osmundales (고비목) > Osmundaceae (고비과) > Osmunda (고비속) > japonica (고비)
이명정보
[원기재명]
Osmunda regalis var. sublancea H. Christ
[학명이명]
Osmunda regalis var. biflormis Benth.
Osmunda biformis Makino
Osmunda regalis var. japonica Milde
Osmunda regalis subsp. japonica Á.Löve & D.Löve
Osmundastrum japonicum C.Presl
Osmunda nipponica Makino
Osmunda regalis

고비목 고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산지 숲속, 산자락, 초지 및 습지 주변에 자란다. 땅속줄기는 두껍고, 견고하다. 잎은 영양잎과 포자잎 두 종류로 구분된다. 영양잎은 여러 장이 모여 나와 위로 서며, 길이 80cm쯤이다. 어릴 때의 잎은 붉은색을 띠며 둥글게 말리며, 흰색 솜털이 밀생한다. 다 자란 영양잎은 삼각형에서 장타원형, 2회 깃꼴겹잎으로 길이 60~80cm이고, 황록색이며 윤택이 난다. 맨 아래쪽 우편은 길이 20~30cm이고, 소우편은 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1~2.5cm, 가장자리는 미세한 이 모양 톱니가 있다. 포자잎은 영양잎이 둘러난 가운데에 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곧게 서며 적갈색을 띤 자루가 있다. 우편에 녹색 엽육이 전혀 발달하지 않으며, 포자 방출 후 시든다. 포자낭은 포자잎의 우축 가장자리에 모여 달린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 인도 북부, 태국, 인도차이나반도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 인도 북부, 태국, 인도차이나 반도 등지 [2]

    전국 [3]

  • 보통 크거나 작은 군락을 이루어 자라지만 드물게 산발적으로 자라는 경우도 있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1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세포 증식 억제 C12H18O8 54835-71-1 290.269
    2
    저혈당 C6H10O3 33275-54-6 130.143
    3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12H18O8 54835-71-1 290.269
    4
    진통제 C12H18O8 54835-71-1 290.269
    5
    항염증 C12H18O8 54835-71-1 290.269
    6
    항저산소제 C12H18O8 54835-71-1 290.269
    7
    항종양(유방암) C6H8O3 69308-39-0 128.127
    8
    항콜레스테롤혈증 C12H18O8 54835-71-1 290.269
    9
    호흡기계 진통제 C12H18O8 54835-71-1 290.269
    10
    화학 보호 C12H18O8 54835-71-1 290.269

    효능실험정보 (총 6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4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5 항염 MTS assay MTS assay
    6 항염 NO assay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i>Osmunda japonica</i> Extract Suppresses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Downregulating NF-κB Activation i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Infected with Oral Pathogenic Bacteria Seong, Jihyoun;Lee, Jinkyung;Lim, Yun Kyong;Yoon, Weon-Jong;Jung, Seunggon;Kook, Joong-Ki;Lee, Tae-Hoon;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0
    2 Chemical constituents, cytotox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from the rhizomes of <i>Osmunda japonica</i> Thunb Bowen, Li;Li, Chen;Bin, Li;Ying, Tian;Shijun, Liu;Junxing, Dong; Natural product research 2020
    3 Antibacterial activity of <i>Osmunda japonica</i> (Thunb) polysaccharides and its effect on tomato quality maintenance during storage Liu, Xiaochen;Zhang, Xiuling;Zhang, Xueting;Li, Fengfeng;Tian, Yaqin;Du, Meiling;Zhao, Hengtian;Shao, Ling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2020
    4 <i>Osmunda japonica</i> Extract Suppresses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Downregulating NF-κB Activation i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Infected with Oral Pathogenic Bacteria. [Jihyoun Seong, Jinkyung Lee, Yun Kyong Lim, Weon-Jong Yoon, Seunggon Jung, Joong-Ki Kook, Tae-Hoon Lee]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0
    5 Chemical constituents, cytotox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from the rhizomes of <i>Osmunda japonica</i> Thunb. [Li Bowen, Chen Li, Li Bin, Tian Ying, Liu Shijun, Dong Junxing] Natural product research 2020

    특허 (총 5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Gadusol production Taifo Mahmud|Alan Bakalinsky|Andrew Osborn|Garrett Holzwarth 2019-12-19
    2 Peptide MHCII Tetramers to Detect Endogenous Calnexin Specific CD4 T Cells Bruce Steven Klein|Marcel Wuethrich 2019-08-01
    3 MULTI-SUBSTRATE METABOLISM FOR IMPROVING BIOMASS AND LIPID PRODUCTION LEONARD, Effendi|SHEPPARD, Micah|HEEL, Thomas|WU, Kathryn 2019-05-02
    4 Multi-substrate metabolism for improving biomass and lipid production Effendi Leonard|Micah Sheppard|Thomas Heel|Kathryn Christina Wu 2019-05-02
    5 COMPOSITION COMPRISING OSMUNDACETON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 Gil Hong Park|Geu Rim Son|Seong Su Hong|Chun Whan Choi|Yun Hyeok Choi|Woo Jung Kim|Han Kyeom Kim|Jae Woo Kang|Eun Jung Lee|Serk In Park|Kee Ho Lee|Min Ji Choi 2017-09-28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식용 봄에 팥고비는 빨갛고 참고비는 다양한데 고비를 채취해 데친 후 말려 보관하고 먹을 때 삶아 먹는다.
    2 문헌 식용 미궐(迷蕨 : 고비와 고사리) - 「본초」 : 이시진이 ‘자기(紫藄)는 궐과 비슷하지만 꽃이 있고 맛이 쓰다. 처음 나올 때는 먹을 만하니, 삼창(三蒼)이23) 미궐이라고 한다.’ 하였다.
    3 문헌 제충용 미(薇)고비. 일명 회초미. 또한 만궐(彎蕨)이라 일컫는다. - 「산림경제」: 미는 사람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 뿌리는 관중(貫衆)21)이라 하며 벌레를 잡는다.
    4 문헌 식용 미(薇)고비. 일명 회초미. 또한 만궐(彎蕨)이라 일컫는다. - 「본초」에는 ‘수초(水草)가 아니고 줄기와 잎의 맛은 완두와 비슷하나 그 콩잎[藿]은 나물로 만들거나 국을 끓이는데 모두 좋다.’ 하였다.
    5 문헌 생활용 채소 저장하기[收藏菜蔬] 또 : 미궐(薇蕨) 저장하기고비고사리 : 3월에 부드러운 것을 따서 푹 삶아 마른 재를 섞어서 햇볕에 말리고, 깨끗하게 씻어 재를 없앤 다음 다시 볕에 말려 갈무리한다. 먹을 때에는 끓는 물에 담가 부드럽게 하고 나서 반찬을 만들면 맛이 좋다.
    6 구전 식용 나물 용도로 3, 4월에 채취한 고비, 팥고비 줄기를 데쳐서 말린 후 먹을 땐 물에 불려서 볶아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7 구전 식용 묵나물 용도로 4~6월에 채취한 고비 줄기를 데쳐서 말린 후 묵나물(물에 불려서 볶아먹음)로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8 구전 식용 볶음 용도로 4, 5월에 채취한 고비 새순을 삶아서 볶아 먹거나 육개장, 닭개장에 넣어 먹는다는 것을 작은오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9 구전 식용 나물 용도로 4, 5월에 채취한 고비 새순을 삶아서 무쳐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10 구전 식용 묵나물 용도로 5, 6월에 채취한 괴비 잎, 줄기를 삶아서, 데쳐서, 생으로 먹는다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 표본 (총76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5803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제주특별자치도... / 2008-05-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5912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전라남도 고흥... 좌도 / 2008-06-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5913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전라남도 고흥... 좌도 / 2008-06-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204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전라남도 고흥... 비사도 / 2008-06-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955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전라북도 고창... / 2007-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228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강원도 춘천시... / 2006-10-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230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충청남도 아산... / 2006-05-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231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충청남도 아산... / 2006-05-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235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충청남도 공주... / 2004-10-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236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강원도 춘천시... / 2006-07-28 건조표본 1건

    소재 (총5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108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경기도 연천군... 종자산 / 2008-05-07 DNA 1건
    NIBRGR0000052190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경기도 연천군... 종자산 / 2008-05-07 조직 1건
    NIBRGR0000052327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충청남도 서산... 용현계곡 / 2008-10-30 조직 1건
    NIBRGR0000052659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 / 2008-10-13 조직 1건
    NIBRGR0000052853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충청남도 태안... . / 2008-10-08 조직 1건
    NIBRGR0000052903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조직 1건
    NIBRGR0000058696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경상북도 울릉... / 2006-09-10 조직 1건
    NIBRGR0000064275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전라남도 구례... 천왕봉 / 2005-08-13 DNA 1건
    NIBRGR0000068306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경상북도 상주... 백학산 / 2007-10-13 DNA 1건
    NIBRGR0000068771 Osmunda japonica Thunb. / 고비 경상북도 상주... 백학산 / 2007-10-13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Osmunda japonica Thunb. 고비 rbcL rbcL aF-1379R 국립생물자원관
    Osmunda japonica Thunb. 고비 rbcL rbcL aF-1379R 국립생물자원관
    Osmunda japonica Thunb. 고비 rbcL rbcL aF-1379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Park SD, Khan Z, Kim YH (2007) Evaluation of medicinal herbs for resistance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Korea.. Nematropica 37 : 73 – 77

      한국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