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젓나무
저수리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비교적 높은 산지의 숲속과 능선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한다. 줄기껍질은 흑갈색이며 거칠고, 회백색의 얕은 홈이 있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4cm, 폭 2mm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뒷면 가운데 잎맥 양쪽에 하얀 기공선이 있다. 암수한그루이며 4~5월에 수분한다. 수구화수는 원통 모양으로 길이 15mm, 황록색이고, 2년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암구화수는 2~3개가 가까이 달리며 긴 타원 모양으로 길이 3.5cm, 연한 녹색, 2년지에 곧추서서 달린다. 열매는 구과이며, 원통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길이 10~20cm, 폭 3.5cm이다. 10월에 익으며, 씨는 난상 삼각형으로 연한 갈색이고 날개가 있다.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재, 펄프재로 이용하며, 가로수 또는 산지 조림용으로 심는다. 일본에서 들여와 식재하고 있는 일본전나무와 비슷하나 소지에 털이 없고 어린잎이나 성숙한 잎이 모두 끝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인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젓나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2]
전국 [2]
-
고위도 지역에서는 해발 10~1,200m, 저위도 지역에서는 해발 500~1,500m의 산지에서 자란다. 여름철에 강수량이 많고 겨울철에는 건조하나 눈이 오랫동안 쌓여 있는 산지의 경사면의 화강암이 풍화된 암설토에 자라며 북한 함경도 이북의 고위도 지역으로 갈수록 우점하기도 하나 잣나무와 함께 자란다. 저위도 지역에서는 신갈나무(<I>Quercus mongolica</I> Fisch. ex Ledeb.), 느릅나무(<I>Ulmus davidiana</I> Planch. var. <I>japonica</I> (Rehder) Nakai), 자작나무(<I>Betula platyphylla</I> var. <I>japonica</I> (Miq.) Hara)등의 낙엽활엽수와 혼재한 혼합수림을 이룬다(Farjon 1990).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10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23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3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 XRE Luciferase assay XRE luciferase assay 4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MTT assay 5 세포독성시험 Neutral red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Cell Viability test) 6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CCK-8 Viability test CCK-8 Viability test 7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Palmitate-induced ER stress test CCK-8 Viability test 8 항균 Disc difussion assay 9 항바이러스 TOA assay SARS-CoV-2 TOA assay 10 항바이러스 IF assay SARS-CoV-2 IF assay 논문 (총 1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i>Abies holophylla</i> Leaf Essential Oil Alleviates Allergic Rhinitis Based on Network Pharmacology. [Jae Yoon Chung, Nayoung Park, Mi Hye Kim, Woong Mo Yang] Pharmaceutics 2023 2 Efficacy and mechanism of essential oil from <i>Abies holophylla</i> leaf on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Network pharmacology and <i>in vivo</i> study Park, Nayoung;Park, Sang Jun;Kim, Mi Hye;Yang, Woong Mo; Phytomedicine : international journal of phytotherapy and phytopharmacology 2022 3 Glycosylated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trunk of Abies holophylla and their anti-inflammatory and neurotrophic activity Lee, Tae Hyun;Subedi, Lalita;Ha, Young Jun;Moon, Gyuri;Kim, Sun Yeou;Kim, Chung Sub; Phytochemistry 2021 4 Terpenoids from <i>Abies holophylla</i> Attenuate LPS-Induced Neuroinflammation in Microglial Cells by Suppressing the JNK-Related Signaling Pathway Subedi, Lalita;Yumnam, Silvia;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 5 Medicinal chemistry inspired by ginger: exploring the chemical space around 6-gingerol Ahmed, Sara Hassan Hassan;Gonda, Tímea;Hunyadi, Attila; RSC advances 2021 6 Medicinal Plants in Physical Exercise: A Review Dias Nikole Costa;Marinho Natália Pandolfi;Barbalho Sandra Maria;Araújo Adriano Cressoni;Detregiachi Claudia Rucco Penteado;Audi Mauro;Chagas Eduardo Federighi Baisi;Buchaim Rogério Leone;Buchaim Daniela Vieira;Guiguer Elen Landgraf;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Plants 2021 7 어병 세균에 대한 소나무과 잎 정유의 항세균 효과 HAM, Youngseok;YANG, Jiyoon;CHOI, Won-Sil;AHN, Byoung-Jun;PARK, Mi-Jin;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8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Choi, Young Ju;Park, Mi Hwa;Kim, Yoon Se;Jung, Kyung 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0 9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erpenoids from <i>Abies holophylla</i> Using Computational and Statistical Method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Kim, Chung Sub;Oh, Joonseok;Subedi, Lalita;Kim, Sun Yeou;Choi, Sang Un;Lee, Kang Ro; Journal of natural products 2018 10 전나무 부산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박테리아 활성 성은수;김수경;이진원;최승혁;유지혜;임정대;라종국;유창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8 특허 (총 2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ALE SEXUAL DYSFUNCTION Si-young CHANG|Eun-ai CHO 2019-12-18 2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NFECTION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Yong Chan PARK|Seong Bean PARK 2019-11-22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제충용 과일나무에 벌레가 있는 경우 삼나무[杉] 못을 벌레구멍에 박아두면 벌레가 바로 죽는다. 2 구전 약용 어혈 용도로 상시에 채취한 전나무 잎을 찧어서 물을 짜서 마신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약용 골병 용도로 3~5월에 채취한 전나무의 연한 잎을 찧어서 생즙을 마신다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약용 어혈, 응혈 용도로 봄~가을에 채취한 전나무 새순에 물을 좀 섞어 찧어서 생즙을 내어 마심(1컵/1일)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5 구전 약용 어혈, 응혈 용도로 3~10월에 채취한 전나무순 열매, 새순을 생으로 찧어서 즙을 내서 마심(1~2컵/1일)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6 구전 약용 담, 어혈 치료 용도로 상시에 채취한 전나무 잎을 물에 우려서 먹거나 잎을 찧어서 먹는다는 것을 이웃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7 구전 약용 담 걸렸을 때 상시에 채취한 전나무 잎을 찧어 즙을 내서 서너번 정도 마시면 나아짐은 것이 부모세대로부터 구전되어 왔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8 문헌 관상용 잎은 잣나무, 몸은 소나무와 같다. 잎이 뾰족, 단단, 괄 또는 원백이라 부른다. (본초강목) 꺽꽂이 법 - 2~3월에 싹 틀 때 새끼손가락 굵기만한 가지를 1자 5치 정도 베어내어 말귀모양으로 깎는다. 먼저 황토를 퍼내 이랑을 만들고 물이 스며들어 진흙물처럼 되면 지팡이로 진흙을 찔러서 구멍을 만들고 베어낸 가지를 구멍 안에 5~6자 깊이로 조밀하게 심는다. 항상 물을 주어 축축하게 하고 낮은 가리개를 둘러서 해를 가려준다. 겨울엔 따뜻하게 덮어주고 다음해 2~3월에 걷어낸다. 나무가 크게 자라면 이식한다. (농정전서) 9 구전 공예 상시에 채취한 전나무 줄기를 4cm 두께로 켜서 능애집(너와집) 만들 때 사용한다 것이 동네에서 구전되어 왔으며 직접 경험한 적 없음 10 구전 약용 담에는 찧어서 생즙내서 먹음 -
표본 (총11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35387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홍천군... / 2004-05-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88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양양군... 응복산 / 2004-08-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89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경상남도 합천... 가야산 / 2000-05-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0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경상남도 함양... 지리산 / 2002-10-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1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철원군... 광덕산 / 1997-09-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2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평창군... / 1998-06-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3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1998-04-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4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1998-04-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5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1998-04-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6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경기도 포천시... 명성산 / 1999-08-23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4316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설악산 / 2009-09-21 조직 1건 NIBRGR0000088555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경상북도 김천... 가야산 / 2010-04-17 조직 1건 NIBRGR0000100293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2009-06-28 조직 1건 NIBRGR0000100441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2009-06-28 조직 1건 NIBRGR0000100442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2009-06-28 조직 1건 NIBRGR0000100531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2009-06-28 조직 1건 NIBRGR0000100532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2009-06-28 조직 1건 NIBRGR0000100602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경기도 포천시... / 2009-02-17 DNA 1건 NIBRGR0000136918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태백시... / 2012-08-21 조직 1건 NIBRGR0000137175 Abies holophylla Maxim. / 전나무 강원도 태백시... / 2012-08-21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Park, Joong-Hyeop ; Park, Ji-Hyun ; Choi, Gyung-Ja ; Lee, Seon-Woo ; Jang, Kyoung-Soo ; Choi, Yong-Ho ; Cho, Kwang-Yun ; Kim, Jin-Cheol (2003) Screening for Antifungal Endophytic Fungi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Mycobiology 31 (3) : 179 – 182
한국 ( 19990800 ) -
최경자 ; 박중협 ; 김흥태 ; 이선우 ; 최정섭 ; 홍경식 ; 조광연 ; 김진철 (2004) 식물내생곰팡이의 제초활성 검정 및 소나무에서 분리한 Gliocladium catenulatum이 생산하는 제초활성 물질의 특성 규명.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32 (1) : 8 – 15
강원도 ( ) -
유성열 ; 가강현 ; 박현 ; 박원철 ; 이봉훈 (2009) 낙엽송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주별 재배 특성.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37 (1) : 49 – 54
강원도 ( ) -
김민수 ; 이경태 ; 전성민 ; 가강현 (2013) 기주식물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Methyl orsellinate와 Sparassol의 함량.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41 (4) : 236 – 242
평창 ( 20060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