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Thumbnail 22
Thumbnail 23
Thumbnail 24
Thumbnail 25
Thumbnail 26
Thumbnail 27
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Thumbnail 22
Thumbnail 23
Thumbnail 24
Thumbnail 25
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분류체계
Plantae > Pinophyta (나자식물문) > Pinopsida (소나무강) > Pinales (소나무목) > Pinaceae (소나무과) > Pinus (소나무속) > densiflora (소나무)
이명정보
[원기재명]
Pinus densiflora f. aggregata Nakai (남복송)
[학명이명]
Pinus densiflora f. erecta (금강소나무)
Pinus densiflora f. aurescens Uyeki (금송)
Pinus densiflora f. longistrobilis Uyeki (긴방울소나무)
Pinus densiflora f. angusta Uyeki (답사리솔)
Pinus densiflora f. anguina Uyeki (뱀솔)
Pinus densiflora f. divaricata Uyeki (번가지소나무)
Pinus densiflora f. umbeliformis Uyeki (사갓솔)
Pinus densiflora f. congesta Uyeki (여복송)
Pinus densiflora f. vittata Uyeki (은송)
Pinus densiflora f. parvistrobilis Uyeki (잔방울소나무)
Pinus densiflora f. plana Uyeki (평린송)
Pinus densiflora f. glauca Uyeki (회색솔)
Pinus densiflora f. gibba Uyeki (후린송)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로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다. 겉껍질은 위쪽은 적갈색, 아래쪽은 암적색이다. 잎은 2장씩 뭉쳐나며, 바늘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 길이는 8~9cm, 폭은 1.5mm이며, 잎의 단면은 반달 모양이다. 2년이 지나면 잎이 떨어진다.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3~5월에 달린다. 수구화수는 새로 난 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 모양, 노란색이다. 암구화수는 가지 끝에 달리며 달걀 모양, 진한 자주색, 흔히 수구화수 위쪽에 1~4개씩 달린다. 열매는 구과이며,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고,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이듬해 9~10월에 익는다. 열매조각은 70~100개이다. 씨는 타원 모양으로 길이 5~6mm, 폭 3mm,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 줄이 있다. 소나무는 소지가 1년에 한 번씩만 자라고 잎이 연한 녹색을 띠면서 잘 비틀리지 않고 겨울철에 발달하는 동아에 수지가 없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정원수, 가로수로 심는다. 목재는 건축재, 토목재, 포장재, 합판재, 펄프, 숯으로 이용한다. 잎과 꽃가루, 나무껍질을 약용 또는 식용하며, 송진은 염증에 약재로 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동부, 중국 동북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 동부, 중국 동북부, 일본 [2]

    전국 [2]

  •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 자란다. 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따라 분포하며 인간에 의해 간섭된 2차 삼림을 이룬다. 고도가 높거나 고위도 지역에서는 신갈나무와 혼합림을 이루고 고도가 낮고 저위도 지역에서는 졸참나무와 함께 혼합림을 이룬다. 많은 지역에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는 소나무 숲 수관 아래에 분포한다. 소나무-신갈나무 숲에는 장미과, 단풍나무과, 제비꽃과, 박주가리과의 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소나무-졸참나무 숲에는 미나리아재비과, 인동과, 대극과, 차나무과 식물들을 흔히 볼 수 있다(Choung and Hong 2006).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25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22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ORAC assay
    3 항산화 ABTs assa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5 항알레르기 MTT assay Viability test
    6 항알레르기 LPS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염증매개물질(Leukotriene B4) 분비 저해효과 측정 LPS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염증매개물질(Leukotriene B4) 분비 저해효과 측정
    7 항알레르기 DNFB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항알레르기 효과 측정 DNFB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항알레르기 효과 측정
    8 항알레르기 호산구 지표인자(EPO) 활성화 억제효과 측정 호산구 지표인자(EPO) 활성화 억제효과 측정
    9 항알레르기 β-hexosaminidase assay β-hexosaminidase assay
    10 항알레르기 히스타민 분비 억제능 평가 Histamine release assay

    논문 (총 8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xperimental analysis of PM<sub>2.5</sub> redu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saplings under different densities and arrangement structures. [Jeonghyun Hong, Chanoh Park, Kunhyo Kim, Jihyeon Jeon, Jounga Son, Hanna Chang, Chan-Ryul Park, Hyun Seok Kim] Environmental pollution (Barking, Essex : 1987) 2024
    2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as Feed Additive Hwang Young-A;Lee Woo-Do;Kim Juhyeon;Kim Solhee;Choi Min-Gyung;On Jeong-Yeon;Jeon Sang-Woo;Han Sung-Gu;Kim Soo-Ki; Fermentation 2023
    3 Chromomycin A3 생산량이 증진된 Streptomyces sp. SJ1-7 돌연변이 균주 동정 최엄지;이한별;지원재;김순옥;이창로; 미생물학회지 2023
    4 Streptomyces sp. SJ1-7에 존재하는 PadR 타입 전사조절인자 CmmRII의 생화학적 특징 분석 최엄지;체벨호르로 마랄;지원재;홍순광;이창로; 미생물학회지 2023
    5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pretreatments on the nutrition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ginger leaf-based herbal tea Aderibigbe OR;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Kareem OF;Akinwumi SG; African Journal of Food, Agriculture, Nutrition and Development 2023
    6 Innate Immune-Enhancing Effect of <i>Pinus densiflora</i> Pollen Extract via NF-κB Pathway Activation. [Sehyeon Jang, San Kim, Se Jeong Kim, Jun Young Kim, Da Hye Gu, Bo Ram So, Jung A Ryu, Jeong Min Park, Sung Ran Yoon, Sung Keun Jung]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23
    7 Extraction, purification, food applications, and recent advances for enhancing the bioavailability of 6-gingerol from ginger - A review Dilukshi Vichakshana, Ginithillawala Arachchilage;Young, David James;Choo, Wee Sim; Quality assurance and safety of crops & foods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2022
    8 Some Common Medicinal Plants with Antidiabetic Activity, Known and Available in Europe (A Mini-Review) Przeor, Monika Pharmaceuticals 2022
    9 Gingerenone A Induces Antiproliferation and Senescence of Breast Cancer Cells Yu, Tzu-Jung;Tang, Jen-Yang;Shiau, Jun-Ping;Hou, Ming-Feng;Yen, Chia-Hung;Ou-Yang, Fu;Chen, Chung-Yi;Chang, Hsueh-Wei; Antioxidants 2022
    10 Natural Sources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Pinosylvin Bakrim, Saad;Machate, Hamza;Benali, Taoufiq;Sahib, Nargis;Jaouadi, Imane;Omari, Nasreddine El;Aboulaghras, Sara;Bangar, Sneh Punia;Lorenzo, JoséManuel;Zengin, Gokhan;Montesano, Domenico;Gallo, Monica;Bouyahya, Abdelhakim; Plants 2022

    특허 (총 16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OIL EXTRACTED OF XYLEM FROM PINUS DENSIFLORA SIEBOLD &AMP; ZUCC. 김대욱 2022-11-14
    2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OIL EXTRACTED FROM PINUS DENSIFLORA XYLEM AS ACTIVE INGREDIENT 김대욱 2022-11-14
    3 Weight Management Composition Mark Tarnopolsky 2021-11-08
    4 HEAT TOLERANCE OR DRYING TOLERANCE IMPROVING AGENT, SALT TOLERANCE IMPROVING AGENT, ACTIVITY IMPROVING AGENT FOR PLANT Jongmyong KIM 2021-03-01
    5 PLANT HEAT RESISTANCE OR DROUGHT RESISTANCE IMPROVING AGENT, SALT TOLERANCE IMPROVING AGENT, ACTIVITY IMPROVING AGENT KIM, Jongmyong 2021-03-01
    6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Jin-Cheol KIM|Ae Ran PARK|Hee Won JEON|Min Jeong SUNG|Se-In JEONG|Young-Su SEO|Nam Gyu KIM|Jun Heon KIM|Sang-Hyun LEE 2020-12-10
    7 RECOMBINANT HOST CELLS WITH IMPROVED PRODUCTION OF TETRAKETIDE DERIVATIVES NAESBY, Michael|BIRKELAND, Morten 2020-01-06
    8 AGENT FOR IMPROVING HEAT RESISTANCE OR SALT TOLERANCE OF PLANTS KIM, Jongmyong 2019-12-20
    9 COMPOSITION AND METHOD OF INHIBITING ACTIVITY OF MINERALOCORTICOID RECEPTOR BY APPLYING IT TO THE SKIN Eun Jeong CHOI|Euidong SON|Young Gyu KANG|Hyoung June KIM|Tae Ryong LEE 2019-10-15
    10 METHOD FOR TREATING LYSOSOMAL STORAGE DISEASE TARNOPOLSKY, Mark 2019-08-27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55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농사용 야생에서 채취한 소나무로 쟁기(훌징이) 몸체를 만든다.
    2 구전 농사용 산에서 채취한 소나무를 속을 파서 구시(소 죽통)으로 만든다.
    3 구전 생활용 소나무로 절구 찧는 방아대를 만든다.
    4 구전 농사용 소나무의 구부러진 줄기로 소 어깨에 얹는 나무인 몽애, 훌쟁이의 몸체를 만든다.
    5 구전 생활용 소나무로 연자방아를 만든다.
    6 구전 식용 산에서 채취한 솔잎(소나무)을 송편 찔 때 넣는다.
    7 구전 식용 송구(소나무)를 삶아서 죽을 쑤어 먹는다.
    8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솔잎(소나무)을 찧어 즙을 내어 토사곽란일 때 먹는다.
    9 구전 농사용 소나무로 훌쟁이(쟁기) 윗부분을 만든다.
    10 구전 약용 송진(소나무) 진액을 종기 환부에 발라준다.
  • 표본 (총94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44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경상남도 양산... 천성산 / 2008-07-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634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강원도 인제군... 대암산 / 2007-07-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728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045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9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경상북도 상주... 노음산 / 2005-05-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충청북도 영동... 백하산 / 2004-04-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1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익산... 천호산 / 1997-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익산... 천호산 / 1997-05-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3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무주... 덕유산 / 1994-09-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4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충청남도 태안... / 2005-10-1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6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00283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424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425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527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528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59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DNA 1건
    NIBRGR0000100593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강... 대모산 / 2008-10-09 DNA 1건
    NIBRGR000010108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강원도 강릉시... 기마산 / 2010-08-24 조직 1건
    NIBRGR0000104186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강원도 강릉시... 기마산 / 2010-08-24 조직 1건
    NIBRGR000010456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경상남도 고성... 송구산 / 2010-05-27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이선미(SeonMi Lee), 명현호(HyeonHo Myeong) (2015) 태안해안국립공원 식생 현황과 공간분포 특성. 생태와 환경 48 (2) : 122 – 128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안기리 태안해안국립공원 ( 20140400 )
    • 이정윤(JungYun Lee), 오장근(JangGeun Oh), 정세훈(SeHoon Jung), 김하송(HaSong Kim) (2015)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및 도락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생태와 환경 48 (2) : 129 – 138

      월악산국립공원 ( 20140500 )
    • Chung Y-J, Lee J-H, Lee B-Y (1997) Distribution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Diptera: Cecidomyiidae), infestations on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36 : 150 – 155

      한국 강원도 ( )
    • Yu J-P, Hahm K-H (1997) Breeding ecology of the black-crowned night heron in Korea..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0 : 269 – 278

      경상남도 ( )
    • Kaczmarek S, Lee JH (2000) Gamasida (Acari) in the soil of some forest habitats in South Korea..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3 : 293 – 302

      한국 ( )
    • Kim J-J, Lim YW, Breuil C, Wingfield MJ, Zhou XD, Kim G-H (2005) A new Leptographium species associated with Tomicus piniperda infesting pine logs in Korea.. Mycological Research 109 : 275 – 284

      한국 ( )
    • Choi BM, Park KS (1991)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 (Formicidea Formicidae ) in Korea (6). The vegetati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colony density of ants in Mt. Namsan, Seoul..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30 : 65 – 79

      한국 ( )
    • Kyu Chin K, Kwang In O (1992) Bionomics, host range & analysis of damage aspects on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coidea), in the coastal area of southwest Korea..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31 : 386 – 395

      한국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