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

분류체계
Plantae > Pinophyta (나자식물문) > Pinopsida (소나무강) > Pinales (소나무목) > Pinaceae (소나무과) > Pinus (소나무속) > rigida (리기다소나무)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조림을 위해 식재하는 침엽 큰키나무로 높이 25~30m, 지름 1m에 달한다. 가지가 넓게 퍼지고, 햇가지는 매해 2~3개씩 곁가지를 치며 자란다. 나무껍질은 붉은 갈색이고 깊게 터진다. 바늘잎은 3개씩 모여나고, 길이 7~14cm, 폭 2mm, 비틀어진다. 잎은 가지 아래까지 난다. 암수한그루이며 수분기는 5월이다. 수구화수는 긴 원주형, 황록색이며, 새가지의 아래쪽에 모여 달린다. 암구화수는 난형, 연한 자주색으로 새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구과로 햇가지의 옆면에 3~5개씩 달리고, 난형으로 길이 6~8cm, 폭 4~5cm, 이듬해 9~19월에 진한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에 붙어 있는 날개는 종자의 2배 정도로 길다. 씨가 날아간 다음에도 오랫동안 가지에 붙어 있다. 실편의 바깥쪽 끝에 가시 모양의 부속물이 있다. 씨는 난형, 길이 4mm, 지름 2.5mm, 진한 밤색이며, 날개는 길이 10~15mm이다. 잎은 잎집당 3개씩 나고, 솔방울은 각 실편에 가시가 잘 발달하므로 소나무 및 곰솔과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조림용, 사방용으로 식재하며, 땔감으로 쓴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세잎소나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북아메리카(원산) [2]

    전국(식재) [2]

  • 상록 바늘잎 큰키나무다. 암구화수와 수구화수는 5월에 발달하며, 열매는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308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35471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경상북도 칠곡... 유학산 / 2001-06-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72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1998-09-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73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강원도 철원군... 광덕산 / 1997-05-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74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경기도 군포시... 수리산 / 2001-04-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75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서울특별시 강... / 2001-08-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76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경상북도 김천... 백마산 / 2004-05-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77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전라북도 익산... 천호산 / 1997-05-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78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전라남도 장성... 방장산 / 1997-05-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7403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전라북도 남원... 천황산 / 2004-10-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7404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충청남도 천안... 보체산 / 2006-04-2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00274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서울특별시 광... . / 2009-03-17 조직 1건
    NIBRGR0000100407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서울특별시 광... . / 2009-03-17 조직 1건
    NIBRGR0000100408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서울특별시 광... . / 2009-03-17 조직 1건
    NIBRGR0000100498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서울특별시 광... . / 2009-03-17 조직 1건
    NIBRGR0000100499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서울특별시 광... . / 2009-03-17 조직 1건
    NIBRGR0000100583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전라남도 장흥... 천관산 / 2009-03-22 DNA 1건
    NIBRGR0000188968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전라남도 완도... 고금도 / 2015-10-16 종자 1건
    NIBRGR0000626305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강원도 인제군... / 2020-09-04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367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강원도 고성군... / 2020-09-0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36692 Pinus rigida Mill. / 리기다소나무 강원도 고성군... / 2020-09-05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inus rigida Mill. 리기다소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Pinus rigida Mill. 리기다소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Pinus rigida Mill. 리기다소나무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Kaczmarek S, Lee JH (2000) Gamasida (Acari) in the soil of some forest habitats in South Korea..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3 : 293 – 302

      한국 ( )
    • Park S-R, Kim K-Y, Chung H, Choi Y-S, Sung H-C (2011) Vertical nest stratification and breeding success in a six mixed-species heronry in Taeseong, Chungbuk, Korea.. Animal Cells and Systems 15 : 85 – 90

      한국 충북 태성 ( )
    • Choi BM, Park KS (1991)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 (Formicidea Formicidae ) in Korea (6). The vegetati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colony density of ants in Mt. Namsan, Seoul..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30 : 65 – 79

      한국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