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자목련

Magnolia liliflora Desr.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자목련

Magnolia liliflora Desr.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자목련

Magnolia liliflora Desr.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자목련 Magnolia liliflora Desr.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Magnoliidae (목련아강) > Magnoliales (목련목) > Magnoliaceae (목련과) > Magnolia (목련속) > liliflora (자목련)
이명정보
[학명이명]
Magnolia quinquepeta (Buc’hoz) Dandy

중국 원산이며 공원, 정원, 유원지 등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5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8~18cm, 폭 4~10cm이고, 잎끝은 안쪽으로 굽으며 뾰족하고, 밑은 뾰족하다. 잎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10~15cm이다. 턱잎은 가지를 한 바퀴 둘러싼다. 꽃은 양성화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은 시기에 피며 진한 자주색, 종 모양이다. 꽃받침잎은 3장, 피침형으로 길이 3cm, 폭 1cm쯤이며, 아래쪽으로 젖혀진다. 꽃잎은 6장, 위를 향해 똑바로 서며, 길이 10cm, 폭 3~4cm, 겉은 진한 자주색이고, 안쪽은 연한 자주색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식재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목련속 식물 가운데 자주색 꽃이 피므로 구분된다. 한편 자주목련은 화피편 안쪽만 흰색이고 바깥쪽은 홍자색이므로 다르다.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꽃봉오리는 약용으로 이용한다. 까치꽃나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2]

    중부 이남(식재) [2]

  • 꽃은 4~5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생활용 「농정전서」 정원에서 가꾸는 작물들 목필(木筆)362): 그 줄기를 가져다간 뼈대를 만들 수 있고 그 꽃은 아름답다. 울타리 안에 나누어 옮겨 심는다.
    2 문헌 생활용 신침(神枕) - 5월 5일과 7월 7일에 산 속의 잣나무를 베어 베개를 만든다. 길이는 1자 2치 높이는 4치로 잘라서 속에 1말 2되의 곡식이 들어갈 수 있도록 나무를 파내고 잣나무의 붉은 속으로 뚜껑을 만들되 2푼 두께로 한다. 뚜껑 위를 세 줄로 뚫되, 한 줄에 구멍 40개씩 모두 1백 20개를 뚫는다. 그 구멍은 좁쌀이 들어갈 만한 크기로 뚫는다. 그 다음 궁궁이[有薦] · 당귀(當歸) · 백지(白호) · 신이(辛美) · 두형(社衝) · 백출(白 ) · 고본(藥本) · 목란(木薦) · 천초(川板) · 계피(佳皮) · 건강(乾置) · 인삼(人募) · 방풍(防風) · 길경(結授) · 백복령(白夜答) · 형실(前實) · 육종용(肉薄奪) · 비렴(飛應) · 백실(相實) · 의이(意鼓) · 관동화(歎冬花) · 백미(白#) · 진초(素板) · 미무(廢蘇) 등 모두 24가지 의 약물을 사용하여 24기(氣)에 응하고 독이 있는 8가지 약물을 더하여 팔풍( 風)에 응하니, 오두(鳥頭) · 부자(附子) · 여로(藥廣) · 조협(후英) · 망초(菌草) . 반석(變石) . 반하(半夏) . 세신(細추)까지 모두 32가지의 약물을 각각 1냥씩 취하여 모두 썰어서, 독이 있는 약을 위에 놓고 베개 속을 가득 채운 뒤 헝겊주머니로 베개를 싸고 다시 가죽 주머니를 만들어 이중으로 싸놓았다가 누울 때에는 벗겨내고 베는데, 그것은 대개 약기운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그 베개를 1백 일 동안 베고 나면 얼굴에는 광택(光澤)이 있게 되고, 1년을 베고 나면 모든 질병이 다 나으며 온몸에서 향기가 난다. 4년을 베면 흰 머리가 검게 변하고 빠진 이가 다시 나며 눈귀가 밝아진다.
    3 문헌 관상용 선암사에 나무가 있는데 그것을 북향화라고 한다. 그 꽃은 자주빛으로 피기만 하면 반드시 북쪽을 향하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표본 (총7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211573 Magnolia liliflora Desr." / 자목련 전라북도 전주... / 2007-07-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40003 Magnolia liliflora Desr." / 자목련 덕유산 / 2007-05-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56204 Magnolia liliflora Desr." / 자목련 전라남도 순천... 조계산 / 1929-05-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14570 Magnolia liliflora Desr." / 자목련 충청남도 태안... 천리포수목 / 2019-07-02 건조표본 2건
    NIBRVP0000814624 Magnolia liliflora Desr." / 자목련 서울특별시 관... / 2019-06-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14652 Magnolia liliflora Desr." / 자목련 서울특별시 관... / 2019-10-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41656 Magnolia liliflora Desr." / 자목련 울산광역시 ... / 2003-06-01 건조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Magnolia liliflora Desr. 자목련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