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삼백초
즙채
집약초
십자풀
어성초
원래 약용식물로 밭에 재배하던 것이 저지대의 그늘진 숲속, 습지에 퍼져 야생으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서 역겨운 냄새가 난다. 줄기는 높이 10~60cm, 아래쪽은 누워 자라는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심장형, 길이 2~10cm, 폭 2~6cm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의 이삭꽃차례에 많은 꽃이 빽빽하게 붙어 피는데, 꽃차례는 길이 1.5~2.5cm, 전체가 한 송이 꽃처럼 보인다. 꽃차례 아래쪽에 꽃싸개잎이 4장 있는데, 흰색, 길이 1.5~2.0cm, 꽃잎처럼 보인다. 수술은 3개이며, 암술보다 길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및 울릉도에 자라며, 중국, 부탄, 네팔, 시킴,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태국, 타이완, 일본 등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삼백초와는 달리 꽃차례가 짧으며, 꽃차례 밑에 꽃잎처럼 보이는 4장의 꽃싸개잎이 있고, 수술은 3개이므로 구분된다. 뿌리줄기와 잎을 약용한다. 전체에서 물고기 비린내가 나므로 ‘어성초(魚腥草)’라 부르기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네팔, 대만, 미얀마, 부탄, 시킴,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태국 [2]
경상북도 울릉도, 남부지방 [2]
-
남부지방 및 울릉도에 야생상으로 퍼져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서 역겨운 냄새가 난다. 꽃은 6~7월에 핀다. 습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재배하기도 한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5),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18건)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김규리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ndophytic Pseudomonas fluorescens promotes changes in the phenotype and secondary metabolite profile of Houttuynia cordata Thunb. [Kaifeng Wang, Zhannan Yang, Shiqiong Luo, Wenxuan Quan] Scientific reports 2024 2 A magnetic beads-based ligand fishing method Coupled with UHPLC-QTOF MS for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Peixi Zhu, Luxi Zhou, Yuxiu Lin, Yixi Wang, Yu Han, Sheng Cai] Talanta 2023 3 Effects of Anti-diarrhoeal Herb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in Pigs. [J H Cho, S Zhang, I H Kim]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2012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어성초(약모밀)를 채취하여 삶아서 그 물로 아토피나 피부병이 있는 아이를 씻겨주면 좋고, 잎을 피부에 문질러주면 냄새가 나서 모기 퇴치 효과가 있다. 2 구전 약용 어성초(약모밀)를 채취하여 피부병이 있는 사람은 달여서 그 물로 목욕을 시킨다. 3 구전 약용 어성초(약모밀)를 채취하여 농약을 먹었을 때 삶아서 먹는다. 4 구전 생활용 여름에 어성초(약모밀) 전초를 말린 후 삶아서 머리를 감으면 모발에 윤기가 나고 목욕을 하면 피부가 좋아진다. 5 구전 약용 어성초(약모밀)를 채취하여 창출(삽주), 구절초, 한갈쿠(엉겅퀴), 우슬(쇠무릎)과 함께 솥에 넣고 고은 국물을 관절통에 마신다. 6 구전 약용 음력 5월 단옷날 무렵 밭에서 어성초(약모밀)를 채취하여 생으로 또는 말렸다가 달여서 오줌소태에 먹는다. 7 구전 약용 재배하는 어성초(약모밀)를 채취하여 한갈쿠(엉겅퀴) 뿌리, 둥굴레 땅속줄기와 함께 넣고 달여서 다리 통증, 삭신 아플 때 마신다. 8 구전 약용 여름과 가을에 어성초(약모밀)을 술로 담가 탈모치료로 먹거나 두피에 바른다. 9 구전 약용 여름과 가을에 어성초(약모밀)을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10 구전 약용 6월 말에 어성초(약모밀)를 줄기째 채취하여 즙을 내어 꿀과 1:2 비율로 넣어 하루에 두 번씩 3개월 동안 복용하면 B형 간염에 항체가 생긴다. -
표본 (총11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7189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제암산 / 1999-05-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7565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 2001-06-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7566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 2001-06-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7567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 2001-06-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4824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부산광역시 ... 금정산 / 2002-09-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7652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불병산 / 1997-05-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1380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7-06-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2691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7-06-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2692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7-06-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3279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 2006-07-20 건조표본 3건 소재 (총3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8667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7-09-27 조직 1건 NIBRGR0000084187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9-09-01 조직 1건 NIBRGR0000095435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남도 하동... / 2007-10-03 조직 1건 NIBRGR0000106858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행남등대 / 2011-05-25 조직 1건 NIBRGR0000150460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전라남도 신안... 흑산도 / 2013-09-30 종자 1건 NIBRGR0000151125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경상북도 울릉... 봉래폭포 / 2013-08-19 종자 1건 NIBRGR0000400593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부산광역시 남... / 2015-05-30 조직 1건 NIBRGR0000400594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울산광역시 울... / 2015-05-30 조직 1건 NIBRGR0000400595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부산광역시 금... / 2015-05-30 조직 1건 NIBRGR0000400598 Houttuynia cordata Thunb. / 약모밀 전라남도 해남... / 2015-05-31 조직 1건 -
염기서열 (6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Houttuynia cordata Thunb. 약모밀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Houttuynia cordata Thunb. 약모밀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Houttuynia cordata Thunb. 약모밀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Houttuynia cordata Thunb. 약모밀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Houttuynia cordata Thunb. 약모밀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Houttuynia cordata Thunb. 약모밀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