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Aristolochia nipponica Makino
[국명이명]
방울풀
쥐방울
까치오줌요강
마도령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길이 1.5m에 이르고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줄기는 어릴 때는 검은색을 띤 자줏빛이지만 자라면 녹색으로 변하면서 회백색이 되며 털이 없다. 잎은 마디마다 하나씩 어긋나게 달리며, 심장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의 심장형으로 길이 4~10cm, 폭 4~8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다. 녹자색의 꽃은 7~8월경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1~4cm의 꽃자루가 나와 1개씩 달리며 트럼펫 모양이다.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은 통 모양인데 밑부분은 둥근 모양으로 커지고 윗부분은 좁아졌다가 넓어진다. 꽃받침통 안쪽에는 털이 있다. 수술과 암술대는 각각 6개인데 암술대는 합쳐져서 1개처럼 보인다. 열매는 둥근 모양, 지름 3cm의 삭과이며, 6개로 갈라진 다음 낙하산처럼 된다. 한의학에서 열매를 마두령(馬兜鈴), 뿌리를 청목향(靑木香)이라 하여 약재로 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국외에서는 일본, 중국 만주,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일본 [3]
전국 [3]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경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3]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7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5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세포 증식 억제 C23H21NO9 17413-41-1 455.420 2 유전독성 C18H13NO8 79185-74-3 371.303 3 유전독성 C17H11NO8 107259-48-3 357.276 4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32H27NO11 . 601.565 5 호흡기계 진통제 C18H13NO8 79185-74-3 371.303 효능실험정보 (총 28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3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4 항균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5 항균 Disc difussion assay 6 항균 Disc difussion assay 7 항당뇨 Indirect mitochondrial biogenesis (Myoblast) MTT assay 8 항당뇨 Mitochondrial potential TMRE assay 9 항당뇨 Cell cytotoxicity (Myoblast) CCK-8 viability test 10 항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검출(RT-PCR법) RT-PCR 논문 (총 7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New xenophyophores (Foraminifera, Monothalamea) from the eastern Clarion-Clipperton Zone (equatorial Pacific). [Andrew J Gooday, Maria Holzmann, Ins Barrenechea-Angeles, Swee-Cheng Lim, Jan Pawlowski] Zootaxa 2024 2 Increasing radial growth in old-growth high-elevation conifers in Southern California, USA, during the exceptional "hot drought" of 2000-2020. [Paul A Knapp, Peter T Soulé, Tyler J Mitchell, Avery A Catherwood, Hunter S Lewi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2024 3 Clark's nutcracker forest community visitation: Whitebark pine maintains a keystone seed disperser. [Thomas H McLaren, Diana F Tomback, Nels Grevstad, Michael B Wunder, Walter Wehtje, Lauren E Walker, Douglas W Smith] Ecology and evolution 2023 4 Planting exotic relatives has increased the threat posed by <i>Dothistroma septosporum</i> to the Caledonian pine populations of Scotland. [Marta J Piotrowska, Carolyn Riddell, Peter N Hoebe, Richard A Ennos] Evolutionary applications 2018 5 Evidence that northern pioneering pines with tuberculate mycorrhizae are unaffected by varying soil nitrogen levels. [William Kenneth Chapman, Leslie Paul] Microbial ecology 2012 6 Effects of litter addition on ectomycorrhizal associates of a lodgepole pine (Pinus contorta) stand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Kenneth W Cullings, Michael H New, Shilpa Makhija, V Thomas Parker]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03 7 Ectomycorrhizal fungal associates of Pinus contorta in soils associated with a hot spring in Norris Geyser Basin, Yellowstone National Park, Wyoming. [K Cullings, S Makhija]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01 특허 (총 2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METHOD FOR TREATING OR PREVEN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Kyung-Jae KIM|Young-Cheon SONG|Hyun-Seok KONG|Jin-Man KIM 2021-08-03 2 COMPOSITION FOR TREATING BENIGN PROSTATE HYPERPLASIA AND FUNCTIONAL HEALTH FOOD COMPRISING AUCKLANDIAE RADIX EXTRACT AND COSTUNOLIDE AS ACTIVE INGREDIENTS Kyung-Jae KIM|Young-Cheon SONG|Hyun-Seok KONG|Jin-Man KIM 2017-08-22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5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말의 오장의 강수 치료법[馬五臟啌嗽方] 간이 막히면 머리가 왼쪽으로 돌아가고, 심하면 입에서 침을 내뱉는다. 이 병은 비파산(枇杷散)으로 치료해야 한다.비파엽(枇杷葉)․관동화(款冬花: 머위꽃줄기)․지모․과루인(瓜蔞仁)․자소자․건지황(乾地黃: 말린 지황)․자연동(自然銅: 산골)․홍화자(紅花子)․천문동(天門冬: 호라지좆 뿌리)․맥문동(麥門冬)․마두령․산약․행인․패모․자원(紫菀: 개미취)․진교․당귀․작약․목통(木通)․감초․구맥(瞿麥)․몰약(沒藥)․아교주․지룡(地龍: 지렁이)․황련 등을 가루로 만든다. 매번 가루 2냥에다 동변 1되와 함께 섞어서 풀 먹인 뒤에 먹인다. 2 문헌 기타 말의 오장의 강수 치료법[馬五臟啌嗽方] 심장이 막히면 앞발굽으로 뛰며 심하면 이를 물고 머리를 땅바닥에 늘어뜨린다. 이 병은 연교산(連翹散)으로 치료해야 한다.연교(連翹:개나리)․길경(吉更: 도라지)․패모(貝母)․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과루․행인․백지(白芷)․산약(山藥: 참마)․지모(知母)․첨과자(甛瓜子)․마두령(馬兜鈴: 쥐방울)․당귀 등을 가루로 만든다. 매번 가루 2냥에다 꿀 2냥, 생간(生干) 3조각, 물 1되를 넣고 달인다. 풀을 먹이고 약을 달여 먹인다. 3 문헌 기타 말의 혈뇨(血尿)를 치료하는 처방 황기(黃耆: 黃芪)․오약․작약․산인진․지황․두령(兜苓)․비파(枇杷) 잎을 가루로 만들어 장물[漿水]에 달여 끓인다. 차가워질 때 먹이면 곧 반응이 온다. 갑자기 열이 나거나 오줌에 피가 나는 것을 모두 치료한다. 4 문헌 약용 여러 가지 고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 - 고독을 빼내는 법은 헌 북[鼓]의 가죽을 태워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1잔 먹이고, 환자 스스로 고독을 가져가도록 고 주인의 이름을 부르면 바로 낫는다. 또 양하 잎을 환자가 알지 못하도록 환자의 잠자리 밑에 촘촘히 깔아주고, 환자가 역시 스스로 고독을 가져가라고 고 주인의 이름을 부르면 바로 낫는다. 「주례(周禮)」에서 가초(壽草)로 고독(蟲毒)을 제거한다고 한다. 가초는 바로 양하(養荷)이다. 고독을 치료하는 법은 자금정(紫金疑) 반 정(疑)심한 경우에는 1정을 박하탕(薄荷湯)에 녹여 먹인다. 또 옥추단(玉福丹) 1정을 갈아 먹여 토하거나 설사를 하면 낫는다. 또 백반과 감초 등을 등분하여 가루를 낸 다음에, 맑은 물에 타서 먹여 토하거나 설사하면 곧 가라앉는다. 또 감초 탕(甘草湯)을 달여 먹인다. 또는 승마(丹麻) 1량을 달여 먹인다. 또 마린(馬菌)의 뿌리가루 1〜2전을 물에 타서 먹인다. 또 마두령(馬究餘)의 뿌리가루 1량을 물에 달여 먹이면 고독을 토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먹인다. 또 상륙(商陸: 자리공의 뿌리)의 가루를 물에 타서 먹인다. 또 속수자(續隨子) 뿌리의 껍질을 벗겨 갈아서 만든 가루 1전을 물에 타서 먹인다. 또 반묘(斑備) 1개를 가져다가 머리 · 발 · 날개를 제거하고 갈아서 가루를 내고 미음(米飮)에 타서 먹이면 바로 고독(盡毒)이 나온다. 5 문헌 약용-초부하품-하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폐열로 나는 기침, 담이 뭉친 것, 숨찬 것, 혈치, 누창 등을 치료한다. 덩굴이 나무에 감기면서 자라며 열매는 방울 비슷한데 4∼5쪽으로 되어 있다. 성질이 평하다. 폐기가 위로 치밀어 앉아서 숨쉬기 힘든 것, 기침이 잇달아 나면서 멎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약성론) 치루를 치료하는데 이 약을 작은 단지 안에 넣고 태우면서 항문에 연기를 쏘인다. 처방에 넣을 때에는 볶아서 쓴다. 한 줄기로 자란 뿌리를 토청목향이라 한다. 열매는 음력 7∼8월에 딴다. (일화자) 봄에 싹이 돋는데 등칡덩굴같고 잎은 마잎 같다. 음력 6월에 구기꽃 같은 황자색의 꽃이 피며 7월에 열매가 달리는데 대조보다 좀 큰 것이 방울같으며 4∼5조각으로 되었다. 뿌리는 운남근이라고 하며 목향과 비슷한데 작은 손가락만큼 크며 색은 벌거누렇다. 일명 토청목향이라고도 한다. 음력 7∼8월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리어 폐의 병을 치료하는 데 쓴다. 음력 3월에 뿌리를 캔다. 뿌리는 기를 내리고 찌르는 듯한 통증도 멈춘다. (도경) -
표본 (총328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7161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상북도 상주... 봉황산 / 2007-07-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75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 1998-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76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화악산 / 1998-07-3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77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화악산 / 1998-07-3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78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화악산 / 1998-05-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79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 1998-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80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상북도 성주... 가야산 / 2000-10-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81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서울특별시 중... 용마산 / 2007-10-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82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서울특별시 중... 용마산 / 2007-10-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83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기도 가평군... 화야산 / 2007-06-2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5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1258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기도 명지산 / 2005-08-24 조직 1건 NIBRGR0000084079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전라남도 광양... . / 2009-07-30 조직 1건 NIBRGR0000103368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기도 파주시... 산 / 2010-06-22 조직 1건 NIBRGR0000103636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강원도 춘천시... / 2010-09-16 조직 1건 NIBRGR0000113618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전라북도 진안... 구봉산 / 2011-10-01 종자 2건 NIBRGR0000114411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상북도 군위... / 2011-07-18 종자 1건 NIBRGR0000136061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충청북도 진천... 만뢰산 / 2012-11-10 종자 2건 NIBRGR0000136418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상북도 군위... 삭골재 / 2012-10-07 종자 1건 NIBRGR0000136434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상북도 경산... / 2012-10-09 종자 1건 NIBRGR0000136501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 경상북도 청도... 문복산 / 2012-10-25 종자 3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