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QRCODE

bookmark_add Nelumbo nucifera Gaertn.

종명
[학명이명]
Nelumbium caspicum Eichw.
Nelumbo nucifera var. macrorhizomata Nakai
Nelumbo mysticus Salisb.
Cyamus nelumbo Sm.
Nymphaea nelumbo L.
Nelumbium nuciferum Gaertn.
Nelumbium speciosum Willd.
[국명이명]

[원기재명]
Cyamus nelumbo Sm.

수련목 연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고인 물이 있는 곳, 연못이나 수심이 낮은 호수 등에 식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수생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속에 많은 구멍이 있으며,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수염뿌리와 잎이 나온다. 잎은 둥근 방패 모양, 지름 30~90cm, 가운데가 오목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1~2m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물 위로 솟은 꽃대 끝에 한 개씩 달리며,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하며, 지름 10~25cm다. 낮에만 3~4일 동안 계속 핀다. 꽃받침은 4~5장, 녹색,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16~24장, 도란형, 길이 8~12cm, 폭 3~7cm다. 수술은 400여 개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길이 1~2cm다. 꽃턱은 해면질, 고깔 모양, 길이와 지름이 각각 10cm쯤이며, 겉이 납작하다. 열매는 견과를 닮았으며, 꽃턱의 구멍에 한 개씩 달리고, 타원형, 길이 2cm쯤, 검게 익는다. 형태적으로 연꽃은 수련에 비해서 잎은 더욱 크고 아래쪽이 갈라지지 않으며, 꽃자루는 물 위로 길게 나오므로 구분할 수 있다.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뿌리를 식용으로 흔히 쓰고 뿌리를 얻기 위해 재배한다. 꽃잎과 잎을 차로 만들어 마시기도 하고, 잎을 찜 요리할 때 이용하기도 한다. 연꽃이라고도 한다. 아시아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원산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등에 나며, 동아시아,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국(재배) [2]

    동아시아,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3]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3]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고인 물이 있는 곳, 연못이나 수심이 낮은 호수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7),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논문 (449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Neferine inhibit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stem cells through p38 MAPK/JNK activation. Suat Erdogan, Kader Turkekul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2020 조회
    <i>Nelumbo nucifera</i> Leaves Prevent NMU-Induced Mammary Tumor through Downregulation of Fatty Acid Synthase, Estrogen Receptor-α and Her2 Expression. Li-Sung Hsu, Chun-Hua Chang, Yi-Ju Lee, Chau-Jong Wang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9 조회
    Neferine-induced apoptosis is dependent on the suppression of Bcl-2 expression via downregulation of p65 in renal cancer cells. Eun-Ae Kim, Eon-Gi Sung, In-Hwan Song, Joo-Young Kim, Hwa-Jung Sung, Ho-Yong Sohn, Jong-Yi Park, Tae-Jin Lee Acta biochimica et biophysica Sinica 2019 조회
    Protective effect of Nelumbo nucifera (Gaertn.) against H<sub>2</sub>O<sub>2</sub>-induced oxidative stress on H9c2 cardiomyocytes. Rajendran Harishkumar, Murugesan Susitra Manjari, Chellan Rose, Chinnadurai Immanuel Selvaraj Molecular biology reports 2020 조회
    Genome-wide transcriptional analysis of submerged lotus reveals cooperative regulation and gene responses. Bei Wang, Qijiang Jin, Xiao Zhang, Neil S Mattson, Huihui Ren, Jing Cao, Yanjie Wang, Dongrui Yao, Yingchun Xu Scientific reports 2018 조회
    Protective effect of Nelumbo nucifera extracts on beta amyloid protein 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in vitro model of Alzheimer's disease. Alaganandam Kumaran, Cheng Chang Ho, Lucy Sun Hwang Journal of food and drug analysis 2018 조회
    Flavonoid glycosides and alkaloids from the embryos of Nelumbo nucifera see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Xi-Lan Jiang, Lun Wang, En-Jun Wang, Guo-Lin Zhang, Bin Chen, Ming-Kui Wang, Fu Li Fitoterapia 2018 조회
    TMT-Based Quantitative Proteomic Analysis Reveals the Physiological Regulatory Networks of Embryo Dehydration Protection in Lotus (<i>Nelumbo nucifera</i>). Di Zhang, Tao Liu, Jiangyuan Sheng, Shan Lv, Li Ren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1 조회
    Extraction Kinetics and Reaction Rates of Sacred Lotus Stamen Tea Infusion-Derived Flavonoids in Relation with Its Antioxidant Capacity. Duangjai Tungmunnithum, Laurine Garros, Samantha Drouet, Natália Cruz-Martins, Christophe Hano Plants (Basel, Switzerland) 2022 조회
    Toxicity Profiles of Kleeb Bua Daeng Formula, a Traditional Thai Medicine,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Memory Impairment in Animals. Pornthip Waiwut, Kanchana Kengkoom, Wanassanun Pannangrong, Natdanai Musigavong, Chantha Chheng, Kusawadee Plekratoke, Pitchayakarn Taklomthong, Nutchareeporn Nillert, Supaporn Pitiporn, Pakakrong Kwankhao, Supawadee Daodee, Yaowared Chulikhit, Orawan Montakantirat, Chantana Boonyarat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2 조회

    특허 (831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植物及び真菌由来の脱細胞化された細胞壁構造並びに足場材料としてのその使用 ペリング アンドリュー エドワード|キュリエール シャルル ミシェル|モデュレフスキー ダニエル ジェイ.|ヒッキー ライアン ジョセフ 2021-10-06 조회
    ORGANIC NON-WETTABLE SUPERHYDROPHOBIC FULLERITE FILMS Debashis Chanda|Rinku Saran 2022-10-27 조회
    Cosmetic Cleansing Powder Marlene Battermann|Sylvia Kerl|Heike Schelges|Sameh Hasan Fares 2021-11-30 조회
    Powder System For The Care Of Hair Marlene Battermann|Sylvia Kerl 2021-11-30 조회
    NOURISHING AND CREAMY SHOWER CREAM KIRSTEN SARTINGEN|BARBARA HEIDE 2020-10-30 조회
    COMPOSITION FOR THE CARE OF HUMAN HAIR RENE KROHN|ERIK SCHULZE ZUR WIESCHE 2019-11-20 조회
    Shine conditioners Thomas Schroeder|Soeren Scheele|Manuela Mette 2019-02-21 조회
    WATER-SOLUBLE FILM AND CHEMICAL AGENT PACKAGE Takahiro HIURA 2019-05-28 조회
    WATER-SOLUBLE FILM AND CHEMICAL AGENT PACKAGE Takahiro HIURA 2019-06-25 조회
    Hair care products Edith von Aspern|Dirk Hentrich|Manuela Mette|Thomas Schroeder|Soeren Scheele 2018-06-28 조회

    전통지식(문헌) (234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유원총보 이아(爾雅)에 “연[荷]은 부거이니 줄기는 ‘가(茄)’라 하고 잎은 ‘하(荷)’라 하며 그 밑둥은 ‘밀(蔤)’, 꽃은 ‘하다담(菡萏)’, 열매는 ‘연(蓮)’, 뿌리는 ‘우(藕)’라 한다. 그 가운데가 연밥[的]이고 그 가운데가 연심[薏]이다”라 하였다. 고금주(古今注)에 이르기를 일명 "수지단(水芝丹), 수지(水芝), 택지(澤芝), 수화(水花)"라 한다고 했다. 화산기(華山記)에 이르기를 “화산의 산꼭대기에 연못이 있고 연못 가운데 잎이 천 개인 연꽃이 있는데 그것을 먹으면 우화등선한다고 해서 화산(華山)이라고 한다”고 했다. 식용 비공개
    해동농서 적이라고 한다. 연밥은 벌집모양의 연방에 들어있다. 6~7월에 연한 것을 따서 날로 먹는다. 깊은 가을이 되면 연방이 마라 시들고 씨는 검어지고 돌처럼 단단해진다. 이 씨를 석련자 또는 연육이라 한다. (본초강목) 연뿌리를 2월 사이에 진흙이 붙은 채로 캐서 작은 연뿌리를 못의 얕은 물속에 옮겨 심는다. 물이 깊으면 안되는데 무성하게 자란 후엔 깊어도 상관없다, 거름을 주거나 콩깻묵으로 북돋아주면 더 무성해진다. (농상통결) 입하 2~3일 전에 연뿌리를 캐서 술지게미를 발라 진흙 속에 심고 우분으로 북돋아 준다. 붉은 색 연과 휜색 연을 한 못에 심어서는 안된다. 흰 연이 성하면 붉은 연이 쇠하니 경계를 나누어 심는다, 오동나무기름과 칡을 싫어한다. 연못에 칡을 담그면 대가 끊어지고, 못 위에다 심어도 무성해지지 않는다. (증보산림경제) 식용 비공개
    해동역사 고려에서는 연근(蓮根)과 화방(花房)을 감히 따지 않는데, 나라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것은 불족(佛足)이 탔던 것이기 때문이다.” 한다. (고려도경) 조선은 그 나라 안에 역시 모란과 연꽃이 있다. (언폭담여(偃曝談餘)) 비공개
    향약집성방 연실(우실, 연자) 줄기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차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비위를 보하고 정신을 좋게 하며 기력을 돕고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늙지 않으면 배고픔을 모르고 오래 산다. 일명 손가락단, 연이라고도 한다. 못에서 자라며 음력 8월에 딴다. 지금 말하는 연밥인데 음력 8∼9월에 굳고 검은 것을 따서 말리어 찧어 연밥만 가려 쓴다. 신선방에는 꽃과 뿌리도 썼다. 줄기라고 한 것은 뿌리를 말한 것 같다. 그렇지 않으면 달다고 말할 수 없다. 송나라때 어느 한 대관의 집에서 선지국을 끓일 때 요리하는 사람이 잘못하여 껍질을 벗긴 연근을 국에 떨어뜨렸는데 피가 흩어지기만 하면서 엉키지 않았다. 의사들이 이 사실을 알고 혈증 환자들에게 연근을 써서 적지 않은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도은거) 연근즙 한 가지만으로도 쓰는데 맛은 달고 어혈을 삭인다. 우절을 짓찧어 낸 즙은 피를 토하는 것을 멈추고 입안이나 코에서 피가 나는 것도 멈춘다. (약성론) 연근은 생것도 먹을 수 있다. 주로 곽란을 알고 난 뒤에 허해서 입이 마르고 안타깝게 답답해하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산후에는 생것이나 찬 것을 먹지 말아야 하지만 연근만은 생것을 먹을 수 있다. 생것과 찬 것은 파혈시키기 때문이다. 쪄 먹으면 오장을 더 잘 보하고 하초를 실하게 하며 꿀과 같이 먹으면 배안의 장기가 든든해지고 여러 가지 충증이 생겨나지 못한다. 낟알대용으로도 쓸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석련자와 마른 연근을 오래 저장하였다가 먹으면 좋다고 했다. 연밥은 성질이 차다. 오장이 약한 것, 상중, 기가 몹시 약한 것 등을 치료하고 12경맥의 혈기를 보한다. 생것을 먹으면 기가 약간 동할 수 있으므로 쪄 먹는 것이 좋다. 또 익혀서 속을 버리고 가루내어 황랍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환약을 만들어 하루 30알씩 먹으면 배고픔을 모르고 오래 살 수 있다. (맹선) 우실은 연밥이다. 이것을 치료목적이 아닌데 먹을 경우에는 보통 쪄 먹는다. 날것을 먹으면 배가 불러오른다. 연밥눈(배아)을 먹으면 토하기 때문에 연밥을 먹을 때에는 이것을 버려야 한다. 가을이 지나면 까맣게 되는데 이것을 석련이라 한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고 소금물에 삶으면 뜬다. 산해지방의 석련은 100년이 지나도 썩지 않는다. 이것을 먹으면 머리털이 검어지고 늙지 않는다. 연근은 기본효능밖에 설사증과 속이 답답한 것도 치료하고 술독을 풀며 먹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또 알고 난 뒤에 열이 나면서 갈증이 나는 것을 없앤다. 하체는 맛이 쓰고 성질이 평하며 독이 없다. 안태시키고 궂은피를 없애며 새혈이 생겨나게 한다. 혈리증에는 삶아 먹는다. 연잎의 꼭지를 하비라고 한다. 잎과 연방은 혈창, 복통, 산후에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 쓰는데 술에 삶아 먹는다. 버섯중독 때에는 물에 삶아 먹는다. (진장기) 연밥 생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미음에 타 먹으면 혈갈증이나 산후갈증이 곧 멎는다. (진사량) 연밥은 성질이 따뜻하다. 석련과 함께 기운을 돕고 갈증을 멈추며 심을 보하고 이질, 요통, 유정, 몽설 등을 치료하며 마음을 안정시킨다. 많이 먹으면 마음이 상쾌해진다. 일명 연작, 연자심이라고도 하는데 곽란을 멈춘다. 또한 연화는 성질이 따뜻하며 독이 없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몸을 거뜬하게 하며 얼굴빛을 좋아지게 한다. 향에 넣으면 더 좋다. 연밥을 쓸 때 지황과 마늘은 금기이다. 또 하엽은 갈증을 멈추고 유산시키며 버섯중독을 풀고 산후에 입이 마르는 것과 심과 폐에 열이 있어서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멈춘다. 약에는 볶아서 넣는다. (일화자) 연밥을 속씨를 버리지 않고 먹으면 곽란이 생긴다. (손진인) 연밥은 맛이 달고 성질이 평하며 독이 없다. 비위를 보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기력을 도와서 여러 가지 병을 낫게 한다. 장기간 먹으면 마음이 상쾌해지고 갈증이 멎으며 열이 내린다. 또한 몸이 거뜬해지고 배고픔을 모르며 늙지 않는다. (식의심경) 연근도 열갈을 멈추고 몰려있는 피를 헤치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장기간 먹으면 살이 윤기나면서 부드러워진다. (과부상품, 84권, 2019p) [육기소] 연밥은 푸른 껍질에 싸여있다. 속이 흰 것을 작이라 하고 작속의 푸른 것을 의라 하는데 맛이 몹시 쓰다. 약용-과부 상품 비공개
    소문사설 연뿌리가루 죽[藕粉粥] 연뿌리를 뽑아낸다. 가늘고 줄기가 뚫린 것은 버리고 머리끝을 취하여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겨 잘게 편으로 썰어 볕에 말린 뒤에 맷돌에 갈아 체질한다. 가루 약 1량과 설탕가루 2전(錢)을 사발에 담아 냉수로 약간 뒤섞은 다음 아주 뜨거운 물을 부으면 우리나라의 율무[薏苡粥]이나 우모(芋毛)처럼 반쯤 응고된 상태를 된다. 김수장(金壽長)의 수본(手本)에 이것은 진정부(眞定府)․양주부(楊州府)․고우현(高郵縣)의 상품(上品)으로 만드는 방법대로 죽을 쑤었다고 했다고 한다. 『본초(本草)』에는 이러한 가루에 관한 말이 없기 때문에 막연하여 알 수가 없다. 을미(乙未)년에 내가 연경[燕]에 갔을 때 여러 왕을 받들어 모시는 하적간(夏迪簡)이란 자가 병에 걸리자 침을 맞으러 여러번 왕래하였다. 침을 맞은 뒤에 매번 이 죽을 먹었다며 나에게도 먹으라고 권했는데 아주 맛있었다. 집으로 돌아온 후에 우연히 『장로의통(張璐醫通)』을 읽었다. 장(張)은 바로 만력(萬曆) 연간 사람으로 이가루로 죽 쑤는 방법을 시작하였다. 수비(水飛)하여 가루를 만드는데 천화분(天花粉: 하눌타리 뿌리의 가루)이나 칡가루[葛粉]같다. 식용 비공개
    소문사설 황단(黃丹) 만드는 법 만약 단으로 납을 만들려면 단지 연수(連鬚)와 총백즙(蔥白汁)을 고르게 섞어 천천히 달여 금물[金汁]을 만들어 따라내면 도로 납이 된다. 기타 비공개
    소문사설 납(鑞)을 씻는 법[洗鑞法] 연 줄기[荷梗] 달인 물로 때를 씻어내면 새 것처럼 저절로 제거된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식료찬요 안목 귀와 눈에 도움이 되며 속을 보하고 의지를 강하게 하려면 어린 연밥[嫩蓮實] 반량을 껍질을 벗겨 잘게 썰고 멥쌀[粳米] 3홉을 준비한다. 먼저 연밥을 끓여 익게 한 다음 멥쌀을 넣어 죽을 만들고 익기를 기다려 연밥을 넣어 고루 섞어 뜨겁게 먹는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리 구금(口噤: 입을 벌리지 못하여 말을 하지 못하고 먹지도 못하는 증상)과 적백이질[赤白痢]을 치료하려면 연밥[蓮子]의 껍질[膜]을 벗기고 속[心]은 남겨서 분말로 만들고 싸라기[碎米]와 같은 분량으로 나눈다. 먼저 쌀을 삶아서 익으려고 할 때 연밥분말을 넣어 죽을 만들어 약간 졸인 꿀[小熟蜜]을 넣고 공복에 먹는다. 약용 비공개
    농정서 이아: “연은 부거(芙蕖: 부용, 연꽃)이니, 줄기는 가(茄: 연 줄기, 荷梗)요, 잎은 하(蕸: 연잎, 荷葉)요, 뿌리는 밀(蔤: 연 뿌리, 藕蔤)이요, 꽃은 함담(菡萏: 연꽃 봉오리, 蓮花)이요, 열매는 연(蓮: 蓮房)이요, 뿌리는 우(藕: 연근)인데, 그 속에 적(菂: 연밥, 蓮子)이 있고, 적 속에 의(薏: 蓮子心, 연밥 속의 푸른 심)가 있다.” 농상통결: “연자[蓮子]는 8~9월중에 단단하고 검은 것을 수확한다. 질그릇 위에다 연밥의 머리를 갈아서 얇게 한다. 도랑가의 진흙을 가져다가 진흙과 잘 섞어서 봉하는데, 손가락 3개 굵기에 길이는 2치쯤 되도록 하고, 꼭지[蔕: 연자가 달린 줄기] 끝은 평평하고 무겁게 만들고 갈았던 곳은 뾰족하게 하여, 진흙이 말랐을 때 진흙 속에 던져두면 무거운 머리(꼭지)가 아래로 가라앉아 자연히 바로잡힌다. 껍질이 얇으면 쉽게 싹이 터 불시에 나온다. 갈지 않은 것은 껍질이 단단하고 두꺼워 싹이 얼른 트지 못한다. 연근 심는 법: 초봄에 연근을 파내고 머리를 붙여서 물고기가 사는 못의진흙 속에 심으면 그해에 연꽃이 핀다. 연자는 갈아서 반찬을 만들 수 있으니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을 도와서 사람을 건강하게 해준다. 연근은 갈증을 그치게 하고 피를 맑게 해주지만 상식(常食)하는 것은 안 된다. 못에 있는 연근은 2월 사이에 진흙 묻은 채로 작은 것을 취하여 연못의 얕은 물 속에 옮겨 심는다. 이때는 물이 깊어서는 안 되고, 연이 무성해지고 나면 깊어도 무방하다. 혹 거름이나 콩깻묵으로 북돋아주면 더욱 무성해진다.”현호가 말하기를 ‘깊은 못 속에 연근을 심을 때 지금은 종분하법(種盆下法: 그릇에 심어 두는 법)을 사용한다. 숯 바구니[炭簍] 안에다 연근을 옆으로 나란히 심고 끈으로 묶어서 물밑 바닥에 놓아둔다. 삼오(三吳)) 사람은 좋지 않은 밭[下田] 속에 큰 연근을 심는 일이 가장 성하다. 춘분 전에 심으면 꽃이 잎 위에 나온다. 대개 심을 때 크고 좋으며 세마디에 상한 것이 없는 연근을 심으면, 위에서 그대로 따라 퍼지며 머리가 남쪽을 향하고 싹이 위를 향한다. 갈아 부순 유황과 태운 종이를 굵은 새끼에 꽂아 넣으면 우절(藕節: 연근의 마디 부분) 1~2줄은 그 해에 꽃이 핀다. 관자(管子): “오옥(五沃)의 땅에서 연이 나오므로 심는 데는 비옥한 토양[壯土]이 알맞지만 강한 거름[壯糞]을 많이 주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열이 나서 연근이 썩게 된다.” 연자(蓮子)를 심는 법: 계란[鷄子] 하나를 가져다가 작은 구멍 하나를 뚫고 청황(靑黃: 계란속)을 제거하고 연자를 가득 채워서 종이에 풀칠하여 서너 겹으로 구멍을 막고 닭으로 하여금 품도록 한다. 닭이 나오면 가져다가 따뜻한 곳에 놓아두고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 천문동(天門冬) 가루와 유황과 동비니(同肥泥) 혹은 주담니(酒罈泥) 같은 진흙을 그릇 밑에 두고 연자를 심는다. 이에 술과 물을 대어주면 꽃이 필 때 전(錢: 삽처럼 생긴 농기구)과 같다.연자를 갈아서 끝을 얇고 뾰족하게 만들어 청대 항아리[靛缸] 속에 담그면 이듬해 청명 때에 심은 씨앗에서 청련화(靑蓮花)가 핀다. 대개 연은 동니(桐泥: 오동 기름)를 겁내므로 이를 피해주어야 한다. 식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449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Neferine inhibit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stem cells through p38 MAPK/JNK activation. Suat Erdogan, Kader Turkekul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2020 조회
    <i>Nelumbo nucifera</i> Leaves Prevent NMU-Induced Mammary Tumor through Downregulation of Fatty Acid Synthase, Estrogen Receptor-α and Her2 Expression. Li-Sung Hsu, Chun-Hua Chang, Yi-Ju Lee, Chau-Jong Wang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9 조회
    Neferine-induced apoptosis is dependent on the suppression of Bcl-2 expression via downregulation of p65 in renal cancer cells. Eun-Ae Kim, Eon-Gi Sung, In-Hwan Song, Joo-Young Kim, Hwa-Jung Sung, Ho-Yong Sohn, Jong-Yi Park, Tae-Jin Lee Acta biochimica et biophysica Sinica 2019 조회
    Protective effect of Nelumbo nucifera (Gaertn.) against H<sub>2</sub>O<sub>2</sub>-induced oxidative stress on H9c2 cardiomyocytes. Rajendran Harishkumar, Murugesan Susitra Manjari, Chellan Rose, Chinnadurai Immanuel Selvaraj Molecular biology reports 2020 조회
    Genome-wide transcriptional analysis of submerged lotus reveals cooperative regulation and gene responses. Bei Wang, Qijiang Jin, Xiao Zhang, Neil S Mattson, Huihui Ren, Jing Cao, Yanjie Wang, Dongrui Yao, Yingchun Xu Scientific reports 2018 조회
    Protective effect of Nelumbo nucifera extracts on beta amyloid protein 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in vitro model of Alzheimer's disease. Alaganandam Kumaran, Cheng Chang Ho, Lucy Sun Hwang Journal of food and drug analysis 2018 조회
    Flavonoid glycosides and alkaloids from the embryos of Nelumbo nucifera see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Xi-Lan Jiang, Lun Wang, En-Jun Wang, Guo-Lin Zhang, Bin Chen, Ming-Kui Wang, Fu Li Fitoterapia 2018 조회
    TMT-Based Quantitative Proteomic Analysis Reveals the Physiological Regulatory Networks of Embryo Dehydration Protection in Lotus (<i>Nelumbo nucifera</i>). Di Zhang, Tao Liu, Jiangyuan Sheng, Shan Lv, Li Ren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1 조회
    Extraction Kinetics and Reaction Rates of Sacred Lotus Stamen Tea Infusion-Derived Flavonoids in Relation with Its Antioxidant Capacity. Duangjai Tungmunnithum, Laurine Garros, Samantha Drouet, Natália Cruz-Martins, Christophe Hano Plants (Basel, Switzerland) 2022 조회
    Toxicity Profiles of Kleeb Bua Daeng Formula, a Traditional Thai Medicine,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Memory Impairment in Animals. Pornthip Waiwut, Kanchana Kengkoom, Wanassanun Pannangrong, Natdanai Musigavong, Chantha Chheng, Kusawadee Plekratoke, Pitchayakarn Taklomthong, Nutchareeporn Nillert, Supaporn Pitiporn, Pakakrong Kwankhao, Supawadee Daodee, Yaowared Chulikhit, Orawan Montakantirat, Chantana Boonyarat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2 조회

    특허 (831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植物及び真菌由来の脱細胞化された細胞壁構造並びに足場材料としてのその使用 ペリング アンドリュー エドワード|キュリエール シャルル ミシェル|モデュレフスキー ダニエル ジェイ.|ヒッキー ライアン ジョセフ 2021-10-06 조회
    ORGANIC NON-WETTABLE SUPERHYDROPHOBIC FULLERITE FILMS Debashis Chanda|Rinku Saran 2022-10-27 조회
    Cosmetic Cleansing Powder Marlene Battermann|Sylvia Kerl|Heike Schelges|Sameh Hasan Fares 2021-11-30 조회
    Powder System For The Care Of Hair Marlene Battermann|Sylvia Kerl 2021-11-30 조회
    NOURISHING AND CREAMY SHOWER CREAM KIRSTEN SARTINGEN|BARBARA HEIDE 2020-10-30 조회
    COMPOSITION FOR THE CARE OF HUMAN HAIR RENE KROHN|ERIK SCHULZE ZUR WIESCHE 2019-11-20 조회
    Shine conditioners Thomas Schroeder|Soeren Scheele|Manuela Mette 2019-02-21 조회
    WATER-SOLUBLE FILM AND CHEMICAL AGENT PACKAGE Takahiro HIURA 2019-05-28 조회
    WATER-SOLUBLE FILM AND CHEMICAL AGENT PACKAGE Takahiro HIURA 2019-06-25 조회
    Hair care products Edith von Aspern|Dirk Hentrich|Manuela Mette|Thomas Schroeder|Soeren Scheele 2018-06-28 조회

    전통지식(문헌) (234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유원총보 이아(爾雅)에 “연[荷]은 부거이니 줄기는 ‘가(茄)’라 하고 잎은 ‘하(荷)’라 하며 그 밑둥은 ‘밀(蔤)’, 꽃은 ‘하다담(菡萏)’, 열매는 ‘연(蓮)’, 뿌리는 ‘우(藕)’라 한다. 그 가운데가 연밥[的]이고 그 가운데가 연심[薏]이다”라 하였다. 고금주(古今注)에 이르기를 일명 "수지단(水芝丹), 수지(水芝), 택지(澤芝), 수화(水花)"라 한다고 했다. 화산기(華山記)에 이르기를 “화산의 산꼭대기에 연못이 있고 연못 가운데 잎이 천 개인 연꽃이 있는데 그것을 먹으면 우화등선한다고 해서 화산(華山)이라고 한다”고 했다. 식용 비공개
    해동농서 적이라고 한다. 연밥은 벌집모양의 연방에 들어있다. 6~7월에 연한 것을 따서 날로 먹는다. 깊은 가을이 되면 연방이 마라 시들고 씨는 검어지고 돌처럼 단단해진다. 이 씨를 석련자 또는 연육이라 한다. (본초강목) 연뿌리를 2월 사이에 진흙이 붙은 채로 캐서 작은 연뿌리를 못의 얕은 물속에 옮겨 심는다. 물이 깊으면 안되는데 무성하게 자란 후엔 깊어도 상관없다, 거름을 주거나 콩깻묵으로 북돋아주면 더 무성해진다. (농상통결) 입하 2~3일 전에 연뿌리를 캐서 술지게미를 발라 진흙 속에 심고 우분으로 북돋아 준다. 붉은 색 연과 휜색 연을 한 못에 심어서는 안된다. 흰 연이 성하면 붉은 연이 쇠하니 경계를 나누어 심는다, 오동나무기름과 칡을 싫어한다. 연못에 칡을 담그면 대가 끊어지고, 못 위에다 심어도 무성해지지 않는다. (증보산림경제) 식용 비공개
    해동역사 고려에서는 연근(蓮根)과 화방(花房)을 감히 따지 않는데, 나라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것은 불족(佛足)이 탔던 것이기 때문이다.” 한다. (고려도경) 조선은 그 나라 안에 역시 모란과 연꽃이 있다. (언폭담여(偃曝談餘)) 비공개
    향약집성방 연실(우실, 연자) 줄기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차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비위를 보하고 정신을 좋게 하며 기력을 돕고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늙지 않으면 배고픔을 모르고 오래 산다. 일명 손가락단, 연이라고도 한다. 못에서 자라며 음력 8월에 딴다. 지금 말하는 연밥인데 음력 8∼9월에 굳고 검은 것을 따서 말리어 찧어 연밥만 가려 쓴다. 신선방에는 꽃과 뿌리도 썼다. 줄기라고 한 것은 뿌리를 말한 것 같다. 그렇지 않으면 달다고 말할 수 없다. 송나라때 어느 한 대관의 집에서 선지국을 끓일 때 요리하는 사람이 잘못하여 껍질을 벗긴 연근을 국에 떨어뜨렸는데 피가 흩어지기만 하면서 엉키지 않았다. 의사들이 이 사실을 알고 혈증 환자들에게 연근을 써서 적지 않은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도은거) 연근즙 한 가지만으로도 쓰는데 맛은 달고 어혈을 삭인다. 우절을 짓찧어 낸 즙은 피를 토하는 것을 멈추고 입안이나 코에서 피가 나는 것도 멈춘다. (약성론) 연근은 생것도 먹을 수 있다. 주로 곽란을 알고 난 뒤에 허해서 입이 마르고 안타깝게 답답해하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산후에는 생것이나 찬 것을 먹지 말아야 하지만 연근만은 생것을 먹을 수 있다. 생것과 찬 것은 파혈시키기 때문이다. 쪄 먹으면 오장을 더 잘 보하고 하초를 실하게 하며 꿀과 같이 먹으면 배안의 장기가 든든해지고 여러 가지 충증이 생겨나지 못한다. 낟알대용으로도 쓸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석련자와 마른 연근을 오래 저장하였다가 먹으면 좋다고 했다. 연밥은 성질이 차다. 오장이 약한 것, 상중, 기가 몹시 약한 것 등을 치료하고 12경맥의 혈기를 보한다. 생것을 먹으면 기가 약간 동할 수 있으므로 쪄 먹는 것이 좋다. 또 익혀서 속을 버리고 가루내어 황랍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환약을 만들어 하루 30알씩 먹으면 배고픔을 모르고 오래 살 수 있다. (맹선) 우실은 연밥이다. 이것을 치료목적이 아닌데 먹을 경우에는 보통 쪄 먹는다. 날것을 먹으면 배가 불러오른다. 연밥눈(배아)을 먹으면 토하기 때문에 연밥을 먹을 때에는 이것을 버려야 한다. 가을이 지나면 까맣게 되는데 이것을 석련이라 한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고 소금물에 삶으면 뜬다. 산해지방의 석련은 100년이 지나도 썩지 않는다. 이것을 먹으면 머리털이 검어지고 늙지 않는다. 연근은 기본효능밖에 설사증과 속이 답답한 것도 치료하고 술독을 풀며 먹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또 알고 난 뒤에 열이 나면서 갈증이 나는 것을 없앤다. 하체는 맛이 쓰고 성질이 평하며 독이 없다. 안태시키고 궂은피를 없애며 새혈이 생겨나게 한다. 혈리증에는 삶아 먹는다. 연잎의 꼭지를 하비라고 한다. 잎과 연방은 혈창, 복통, 산후에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 쓰는데 술에 삶아 먹는다. 버섯중독 때에는 물에 삶아 먹는다. (진장기) 연밥 생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미음에 타 먹으면 혈갈증이나 산후갈증이 곧 멎는다. (진사량) 연밥은 성질이 따뜻하다. 석련과 함께 기운을 돕고 갈증을 멈추며 심을 보하고 이질, 요통, 유정, 몽설 등을 치료하며 마음을 안정시킨다. 많이 먹으면 마음이 상쾌해진다. 일명 연작, 연자심이라고도 하는데 곽란을 멈춘다. 또한 연화는 성질이 따뜻하며 독이 없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몸을 거뜬하게 하며 얼굴빛을 좋아지게 한다. 향에 넣으면 더 좋다. 연밥을 쓸 때 지황과 마늘은 금기이다. 또 하엽은 갈증을 멈추고 유산시키며 버섯중독을 풀고 산후에 입이 마르는 것과 심과 폐에 열이 있어서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멈춘다. 약에는 볶아서 넣는다. (일화자) 연밥을 속씨를 버리지 않고 먹으면 곽란이 생긴다. (손진인) 연밥은 맛이 달고 성질이 평하며 독이 없다. 비위를 보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기력을 도와서 여러 가지 병을 낫게 한다. 장기간 먹으면 마음이 상쾌해지고 갈증이 멎으며 열이 내린다. 또한 몸이 거뜬해지고 배고픔을 모르며 늙지 않는다. (식의심경) 연근도 열갈을 멈추고 몰려있는 피를 헤치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장기간 먹으면 살이 윤기나면서 부드러워진다. (과부상품, 84권, 2019p) [육기소] 연밥은 푸른 껍질에 싸여있다. 속이 흰 것을 작이라 하고 작속의 푸른 것을 의라 하는데 맛이 몹시 쓰다. 약용-과부 상품 비공개
    소문사설 연뿌리가루 죽[藕粉粥] 연뿌리를 뽑아낸다. 가늘고 줄기가 뚫린 것은 버리고 머리끝을 취하여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겨 잘게 편으로 썰어 볕에 말린 뒤에 맷돌에 갈아 체질한다. 가루 약 1량과 설탕가루 2전(錢)을 사발에 담아 냉수로 약간 뒤섞은 다음 아주 뜨거운 물을 부으면 우리나라의 율무[薏苡粥]이나 우모(芋毛)처럼 반쯤 응고된 상태를 된다. 김수장(金壽長)의 수본(手本)에 이것은 진정부(眞定府)․양주부(楊州府)․고우현(高郵縣)의 상품(上品)으로 만드는 방법대로 죽을 쑤었다고 했다고 한다. 『본초(本草)』에는 이러한 가루에 관한 말이 없기 때문에 막연하여 알 수가 없다. 을미(乙未)년에 내가 연경[燕]에 갔을 때 여러 왕을 받들어 모시는 하적간(夏迪簡)이란 자가 병에 걸리자 침을 맞으러 여러번 왕래하였다. 침을 맞은 뒤에 매번 이 죽을 먹었다며 나에게도 먹으라고 권했는데 아주 맛있었다. 집으로 돌아온 후에 우연히 『장로의통(張璐醫通)』을 읽었다. 장(張)은 바로 만력(萬曆) 연간 사람으로 이가루로 죽 쑤는 방법을 시작하였다. 수비(水飛)하여 가루를 만드는데 천화분(天花粉: 하눌타리 뿌리의 가루)이나 칡가루[葛粉]같다. 식용 비공개
    소문사설 황단(黃丹) 만드는 법 만약 단으로 납을 만들려면 단지 연수(連鬚)와 총백즙(蔥白汁)을 고르게 섞어 천천히 달여 금물[金汁]을 만들어 따라내면 도로 납이 된다. 기타 비공개
    소문사설 납(鑞)을 씻는 법[洗鑞法] 연 줄기[荷梗] 달인 물로 때를 씻어내면 새 것처럼 저절로 제거된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식료찬요 안목 귀와 눈에 도움이 되며 속을 보하고 의지를 강하게 하려면 어린 연밥[嫩蓮實] 반량을 껍질을 벗겨 잘게 썰고 멥쌀[粳米] 3홉을 준비한다. 먼저 연밥을 끓여 익게 한 다음 멥쌀을 넣어 죽을 만들고 익기를 기다려 연밥을 넣어 고루 섞어 뜨겁게 먹는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리 구금(口噤: 입을 벌리지 못하여 말을 하지 못하고 먹지도 못하는 증상)과 적백이질[赤白痢]을 치료하려면 연밥[蓮子]의 껍질[膜]을 벗기고 속[心]은 남겨서 분말로 만들고 싸라기[碎米]와 같은 분량으로 나눈다. 먼저 쌀을 삶아서 익으려고 할 때 연밥분말을 넣어 죽을 만들어 약간 졸인 꿀[小熟蜜]을 넣고 공복에 먹는다. 약용 비공개
    농정서 이아: “연은 부거(芙蕖: 부용, 연꽃)이니, 줄기는 가(茄: 연 줄기, 荷梗)요, 잎은 하(蕸: 연잎, 荷葉)요, 뿌리는 밀(蔤: 연 뿌리, 藕蔤)이요, 꽃은 함담(菡萏: 연꽃 봉오리, 蓮花)이요, 열매는 연(蓮: 蓮房)이요, 뿌리는 우(藕: 연근)인데, 그 속에 적(菂: 연밥, 蓮子)이 있고, 적 속에 의(薏: 蓮子心, 연밥 속의 푸른 심)가 있다.” 농상통결: “연자[蓮子]는 8~9월중에 단단하고 검은 것을 수확한다. 질그릇 위에다 연밥의 머리를 갈아서 얇게 한다. 도랑가의 진흙을 가져다가 진흙과 잘 섞어서 봉하는데, 손가락 3개 굵기에 길이는 2치쯤 되도록 하고, 꼭지[蔕: 연자가 달린 줄기] 끝은 평평하고 무겁게 만들고 갈았던 곳은 뾰족하게 하여, 진흙이 말랐을 때 진흙 속에 던져두면 무거운 머리(꼭지)가 아래로 가라앉아 자연히 바로잡힌다. 껍질이 얇으면 쉽게 싹이 터 불시에 나온다. 갈지 않은 것은 껍질이 단단하고 두꺼워 싹이 얼른 트지 못한다. 연근 심는 법: 초봄에 연근을 파내고 머리를 붙여서 물고기가 사는 못의진흙 속에 심으면 그해에 연꽃이 핀다. 연자는 갈아서 반찬을 만들 수 있으니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을 도와서 사람을 건강하게 해준다. 연근은 갈증을 그치게 하고 피를 맑게 해주지만 상식(常食)하는 것은 안 된다. 못에 있는 연근은 2월 사이에 진흙 묻은 채로 작은 것을 취하여 연못의 얕은 물 속에 옮겨 심는다. 이때는 물이 깊어서는 안 되고, 연이 무성해지고 나면 깊어도 무방하다. 혹 거름이나 콩깻묵으로 북돋아주면 더욱 무성해진다.”현호가 말하기를 ‘깊은 못 속에 연근을 심을 때 지금은 종분하법(種盆下法: 그릇에 심어 두는 법)을 사용한다. 숯 바구니[炭簍] 안에다 연근을 옆으로 나란히 심고 끈으로 묶어서 물밑 바닥에 놓아둔다. 삼오(三吳)) 사람은 좋지 않은 밭[下田] 속에 큰 연근을 심는 일이 가장 성하다. 춘분 전에 심으면 꽃이 잎 위에 나온다. 대개 심을 때 크고 좋으며 세마디에 상한 것이 없는 연근을 심으면, 위에서 그대로 따라 퍼지며 머리가 남쪽을 향하고 싹이 위를 향한다. 갈아 부순 유황과 태운 종이를 굵은 새끼에 꽂아 넣으면 우절(藕節: 연근의 마디 부분) 1~2줄은 그 해에 꽃이 핀다. 관자(管子): “오옥(五沃)의 땅에서 연이 나오므로 심는 데는 비옥한 토양[壯土]이 알맞지만 강한 거름[壯糞]을 많이 주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열이 나서 연근이 썩게 된다.” 연자(蓮子)를 심는 법: 계란[鷄子] 하나를 가져다가 작은 구멍 하나를 뚫고 청황(靑黃: 계란속)을 제거하고 연자를 가득 채워서 종이에 풀칠하여 서너 겹으로 구멍을 막고 닭으로 하여금 품도록 한다. 닭이 나오면 가져다가 따뜻한 곳에 놓아두고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 천문동(天門冬) 가루와 유황과 동비니(同肥泥) 혹은 주담니(酒罈泥) 같은 진흙을 그릇 밑에 두고 연자를 심는다. 이에 술과 물을 대어주면 꽃이 필 때 전(錢: 삽처럼 생긴 농기구)과 같다.연자를 갈아서 끝을 얇고 뾰족하게 만들어 청대 항아리[靛缸] 속에 담그면 이듬해 청명 때에 심은 씨앗에서 청련화(靑蓮花)가 핀다. 대개 연은 동니(桐泥: 오동 기름)를 겁내므로 이를 피해주어야 한다. 식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84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208020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경상북도 상주... 낙동강 / 2009-06-29 건조표본 2건
    NIBRVP0000210031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대구광역시 달... 낙동강 / 2009-06-29 건조표본 2건
    NIBRVP0000217600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전라북도 전주... 천잠산 / 1994-09-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17636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전라북도 전주... 천잠산 / 1992-10-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19115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경상북도 의성... / 2004-10-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68421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전라북도 익산... 웅포제 / 2009-07-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68422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전라북도 익산... 웅포제 / 2009-07-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68423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전라북도 익산... 웅포제 / 2009-07-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88226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 2010-09-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7597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강원도 강릉시... / 2010-06-23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644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경기도 용인시... . / 2008-07-09 조직 1건
    NIBRGR0000071297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경상북도 상주... 낙동강 / 2009-06-29 조직 1건
    NIBRGR0000119479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전라북도 익산... / 2011-08-05 조직 1건
    NIBRGR0000164152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충청남도 서천... / 2014-07-17 조직 1건
    NIBRGR0000164153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충청남도 서천... / 2014-07-17 조직 1건
    NIBRGR0000164154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충청남도 서천... / 2014-07-17 조직 1건
    NIBRGR0000164155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충청남도 서천... / 2014-07-17 조직 1건
    NIBRGR0000407616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경기도 용인시... . / 2008-07-09 DNA 1건
    NIBRGR0000407617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경기도 용인시... . / 2008-07-09 DNA 1건
    NIBRGR0000413480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경상북도 경산... / 2017-10-29 종자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Nelumbo nucifera Gaertn.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Nelumbo nucifera Gaertn.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Nelumbo nucifera Gaertn.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