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Aconitum pseudoproliferum (개싹눈바꽃)
Aconitum uchiyamae (H. Lév. & Vaniot) Kadota (그늘돌쩌귀)
Aconitum triphyllum (세잎돌쩌귀)
Aconitum proliferum (싹눈바꽃)
Aconitum seoulense (진돌쩌귀)
Aconitum kaimaense Uyeki & Satake
Aconitum kitagawae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var. lasiogynum Nakai
Aconitum liaotungense Nakai
Aconitum triphyllum var. manshuricum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var. lasiogynum f. ochroleucum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Nakai
Aconitum saitoanum Ohwi
Aconitum saxatile Vorosch. & Vorob.
Aconitum sichotense Kom.
Aconitum stenanthum Nakai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8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잎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맹독성이며, 한방에서 뿌리를 약용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국 [2]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9월에 핀다. 주로 낙엽활엽수 안의 그늘이 지고 토양이 비옥하며 습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해발 400m 이상의 산지의 계곡과 능선에서 자란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변산과 노령이 전하는 생물이야기
[2]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21건)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이병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김규리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봄에 산에서 초우(투구꽃) 뿌리를 채취하여 술로 담그거나 명태 말린것과 함께 달여 무릎 아플 때 먹는다. 초우가 너무 독해서 마른 명태와 함께 달인다. 단 많이 먹으면 잠이 안온다. 2 구전 약용 초고(투구꽃)를 채취하여 명태와 함께 삭신 아플 때 먹는다. 3 구전 약용 겨울에 산에서 초오뿌리(투구꽃 뿌리)를 채취하여 창출(삽주 뿌리), 칡 뿌리를 함께 넣고 달여서 다리 아플 때 먹는다. 4 구전 약용 봄에 산에서 초오(투구꽃)를 채취하여 돼지 족발, 명태와 함께 삶아서 식힌 물을 신경통, 담결림에 먹는다. 뜨거울 때 먹으면 독이 되어 반드시 식혀 먹어야 한다. 5 구전 약용 산에서 초오(투구꽃) 뿌리를 채취하여 생으로 갈아서 낙태를 해야 할 때 먹는다. 6 구전 약용 가을~겨울에 야산에서 채취한 초우(투구꽃) 3~4 뿌리를 말린 명태 뱃속에 넣고 볏집으로 묶어서 약한 불에 24시간 달인 후 무릎아플 때나 관절염있을 때 식후에 소주잔에 조금씩 먹는다. 7 구전 약용 한약재 용도로 상시에 채취한 초호 뿌리를 다른 한약재와 섞어서 사용한다 것을 동네 어른들에게 들었으며 직접 경험한 적 없음 8 구전 약용 부자도 속이 냉하거나 설사 나고, 삭신이 아플 때 고아먹음 뜨겁게 먹으면 안됨 9 구전 약용 매우 독한 약임 달여서 조금씩 먹어야 함 10 구전 약용 초오는 망사라고 하는데 팔다리 아플 때 북어를 넣고 끓여 그 물을 식혀서 먹음 -
표본 (총967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191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경상북도 문경... 옥녀봉 / 2008-10-1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512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강원도 인제군... 대암산 / 2007-09-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040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전라북도 무주... 덕유산국립 / 종자/포자 1건 NIBRVP0000100862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9-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66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경상남도 의령... 자굴산 / 2002-10-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69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 2000-06-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70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 2001-10-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472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경상남도 함양... 지리산 / 2002-10-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473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충청북도 진천... 두타산 / 2003-10-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474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노자산 / 1997-06-0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10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1761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경상남도 하동... 지리산 / 2007-10-10 DNA 1건 NIBRGR0000058608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 2006-09-27 조직 1건 NIBRGR0000064808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경상북도 영덕... 형제봉 / 2008-10-18 DNA 1건 NIBRGR0000068071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충청북도 괴산... 군자산 / 2007-09-09 조직 1건 NIBRGR0000068142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강원도 화천군... 광덕산 / 2007-10-01 조직 1건 NIBRGR0000068157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강원도 화천군... 광덕산 / 2007-10-01 조직 1건 NIBRGR0000068168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 2007-10-14 조직 1건 NIBRGR0000069645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강원도 평창군... 흥정산 / 2009-09-04 조직 1건 NIBRGR0000069666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강원도 평창군... 계방산 / 2009-09-03 조직 1건 NIBRGR0000071241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 2009-09-22 조직 1건 -
염기서열 (9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conitum seoulense 진돌쩌귀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pseudoproliferum 개싹눈바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pseudoproliferum 개싹눈바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김태운(Tae Woon Kim), 김충열(Chung Yeol Kim), 강미영(Mee Young Kang), 문현식(Hyun Shik Moon) (2016) 함양군 산림휴양단지 조성예정지의 관속식물상. 농업생명과학연구 50 (5) : 69 – 80
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광평리 일대 ( 20150400 ) -
Oh, Sang-Hun ; Park, Chong-Wook (1998) Crossability of the Aconitum jaluense Species Complex (Ranuncul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2 (4) : 435 – 438
Kangwon Prov.: Mt. Kwangduck ( Kang&Oh ) Kyunggi Prov.: Mt. Kukmang ( Kang&Oh ) Kyunggi Prov.: Mt. Myungji ( Kang&Oh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