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투구꽃

Aconitum jaluense Kom.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투구꽃

Aconitum jaluense Kom.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투구꽃

Aconitum jaluense Kom.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투구꽃 Aconitum jaluense Kom.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Magnoliidae (목련아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conitum (초오속) > jaluense (투구꽃)
이명정보
[학명이명]
Aconitum pseudoproliferum (개싹눈바꽃)
Aconitum uchiyamae (H. Lév. & Vaniot) Kadota (그늘돌쩌귀)
Aconitum triphyllum (세잎돌쩌귀)
Aconitum proliferum (싹눈바꽃)
Aconitum seoulense (진돌쩌귀)
Aconitum kaimaense Uyeki & Satake
Aconitum kitagawae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var. lasiogynum Nakai
Aconitum liaotungense Nakai
Aconitum triphyllum var. manshuricum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var. lasiogynum f. ochroleucum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Nakai
Aconitum saitoanum Ohwi
Aconitum saxatile Vorosch. & Vorob.
Aconitum sichotense Kom.
Aconitum stenanthum Nakai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8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잎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맹독성이며, 한방에서 뿌리를 약용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국 [2]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9월에 핀다. 주로 낙엽활엽수 안의 그늘이 지고 토양이 비옥하며 습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해발 400m 이상의 산지의 계곡과 능선에서 자란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변산과 노령이 전하는 생물이야기

    [2]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